$\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hite beech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extract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6 no.4, 2018년, pp.324 - 330  

김수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혜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조수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써 흰색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tyrosinase 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8.4{\pm}3.27mg\;GAE/g$$7.3{\pm}2.85mg\;GAE/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8{\pm}3.81ug/mg$$2.5{\pm}1.95ug/mg$이었으며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메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2% 알부틴(arbutin)비해 40 m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열수 추출물은 69.72%, 메탄올 추출물은 52.67%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 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80%와 74%로 낮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B16BL6 melanoma cell의 세포생존율로 확인하였으며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0-40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B16BL6 melanoma cell은 9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므로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을 모두 B16BL6 melanoma cell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xidant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hite beech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extracts. The white beech mushroom was extracted into hot water and methanol.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hot water extract ($8.4{\p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기능성 식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95 ug/mg이었으며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메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2% 알부틴(arbutin)비해 40 m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열수 추출물은 69.72%, 메탄올 추출물은 52.67%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 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80%와 74%로 낮게 나타났다.
느티만가닥버섯이란 무엇인가? 느티만가닥버섯(Hypsizigus marmoreus)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갓의 크기에 비하여 대의 길이가 길어 엿가락처럼 보이며 여러 개체가 무리지어 발생한다. 느티만가닥버섯은 육질은 두껍고 치밀하지만 표고 또는 느타리버섯에 비하여 잘 부스러지고 발생 초기에는 둥근 단추 모양이거나 반구형이며 짙은 크림색을 나타내다가 자라면서 점차 갓이 편평해지고 크림색이 점차 옅어지면서 표면이 갈라져 거북이등 모양의 무늬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느타만가닥 버섯의 생리활성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 2012). 느티만가닥 버섯은 저지방 고단백질 함유버섯으로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 중에서 정미성분인 글루탐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느타만가닥 버섯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종양성 β-(1-3)-Dglucan, 지용성 추출물의 peroxyl과 alkoxyl radical에 대한 효과, 항산화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Ikekawa, 1995; Matsuzawa et al., 1998;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urjai T, Natshen FM. 2003. Plants used in cosmetics. Phytother Res 17: 987-1000. 

  2. Aitken RJ, Bukingham D, Harkiss D. 1993. Use of xanthine oxidase free radical generating system to investigate the cytotoxic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human spermatozoa. J Reprod Fertil 97: 441-450. 

  3. Barros L, Ferreira MJ, Ferreira ICFR, Baptista P. 2007. Total phenols, ascorbic acid, ${\beta}$ -carotene and lycopene in portuguese wild edible mushroom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103: 413-419. 

  4. Baublis AJ, Lu C, Clydesdale FM, Decker EA. 2000. Potential of wheat-based breakfast grains as a source of dietary antioxidants. J Am Coll Nutr 19: 308S-311S.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6. Cao G, Alessio HM, Cutler RG. 1993.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for antioxidants. Free Radic Biol Med 14: 303-311. 

  7. Cha JY. 2009. Func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rketing black garlic. MS Thesis. Gyengsang National University. 

  8. Chang ST, Buswell JA, Chiu SW. 1993. Mushroom biology and mushroom product.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Hong Kong pp. 3-17. 

  9. Chang T, Miles PG. 1989. Edible mushrooms and their cultivation. CRC press. pp. 27-40. 

  10. Chen HY, Lin YC, Yen GC.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extracts from guava (Psidium guauva L.) leaves. Food Chem 101: 686-694. 

  11. Droge W. 2001.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1. 

  12. Dubost NJ, Ou B, Beelman RB. 2007. Quantification of polyphenols and ergothioneine incultivated mushrooms and correlation to total antioxidant capacity. Food Chem 105: 727-735. 

  13. Ferreira I, Barros L, Abreu R. 2009. Antioxidants in wild mushrooms. Current med Chem 16: 1543-1560. 

  14. Francoeur AM, Assalian A. 1996. Microcat: A novel cell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 based on WST-1. Biochemica 3: 19-25. 

  15. Guk MH, Kim DH, Lee C, Jeong ES, Choi EJ, Lee JS, Lee TS. 2013.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methanol extract. J Mushroom Sci Prod 11: 99-106. 

  16. Halliewell B, Gutterridge JM. 1990. Roles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review, Methods Enzymol. Fleischer, S. and packer, L. (ed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86: 1-12. 

  17. Hearing VJ, Ekel TM. 1976. Mammalian tyrosinase. Biochem J 157: 549-557. 

  18. Hirase S, Nakai S, Akstus T. 1976. Sturucture studies on the antitumor active polysaccharides from Coriolus versicolor (Basidiomycetes). I. Fractionation with barium hydroxide. Yakugaku Zasshi. 96: 413-418. 

  19. Ikekawa T. 1995. Bunashimeji, Hypsizygus marmoreus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and polysaccharides. Food Rev Int 11: 207-209. 

  20. Jo SH, Kim TH, Yu YB, Oh JN, Jang MJ, Park KM.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uricularia spp. Kor J Food Sci Technol 44: 350-355. 

  21. Kim DJ, Oh S K, Yoon MR, Chun AR, Hong HC, Lee JS, Kim YK.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and milled rice by cultiv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67-473. 

  22. Kim SC, Ryu HM, Jung SM, Lee YH, Kim HS, Kim JO, Cho YU, Cho SJ. 2013.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Hypsizygus marmoreus (brown cultivar) methanol extracts. J Mushroom Sci Prod 11: 254-260. 

  23. Kim SC, Kwon HS, Kim CH, Kim HS, Lee CY, Cho SJ. 2016.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Pileusand Stipe from White Beech Mushrooms (Hypsizygus marmoreus). J Life Sci 26: 928-935. 

  24. Lee M, Oh SI. 2007. Antioxidative stress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Lentinus edodes 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0: 341-348. 

  25. Lee JS, Bolormaa Z, Kim MK, Seo GS, Lee YW. 2011. Screening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Hypsizygus marmoreus (White Cultivar) fruiting body. Kor J Mycol 39: 185-188. 

  26. Makato O.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glucosamine. Jap J Nutr 44: 307-315. 

  27. Matsuzawa T, Sano M, Tomita I, Saitoh H, Ohkawa M, Ikekawa T. 1998. Studies on antioxidants of Hypsizygus marmoreus. II. Effects of Hypsizygus marmoreus for antioxidants activites of tumor-bearing mice. Yakugaku Zasshi 118: 476-481. 

  28. Nita A, Young AR. 2005. Melanogenesis: A photoprotective response to DNA damage? Mutation Research 571: 121-132. 

  29. Ohashi H. 2010. Trends of mushrrom production and marketing. InL "Annual report of mushroom 2010" (ed. by Ohashi, H.). p. 18. Plant's world Co. Ltd. Tokyo. Japan. 

  30. Singleton VL. 1981.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cants: phenolic substances of plant origin common in foods. Adv Food Res 27: 149-242. 

  31. Tomita K, Oda N, Ohbayashi M, Kamei H, Miyaki T, Oki T. 1990. A new screening method for melanin biological synthesis inhibitor using Streptomyces bikiniensis. J Antibiotics 43: 1601-1605. 

  32. Verckei A, Toncsev H, Feher J, Hajdu E. 1992.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indicators of free radical activity. Clin Cardiol 15: 706-707. 

  33. Yang CS, Landau JM., Hung MT, Newmak HL. 2001. Inhibition of carcnogeneses by dietary polyphenolic compounds. Annu Rev Nutr 21: 381-406. 

  34. Zanabaatar B, Kang MG, Seo GS, Lee YW, Lee JS. 2012. Analysis of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Hypsizygus marmoreus (Brown cultivar). Kor J Mycol 40: 104-108. 

  35.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8. The determination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istry 64: 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