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sis of Container Liner Service Routes Patter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Busan Port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2 no.6, 2018년, pp.529 - 538  

류기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운경영학과) ,  남형식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조상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운경영학과) ,  류동근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만산업은 수출입 중심인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글로벌 선사 물동량 유치를 위해 정기선 항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노력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상에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항만은 싱가포르항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제 연도별 부산항 주요 국가 항만별 처리물동량 순위와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간 순위 비교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부항만이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의 허브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 항로 수는 증가하더라도 해당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이 중소형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상 부산항이 싱가포르항 기항을 위한 피더항(Feeder Port)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rt industry is an important national industry which significantly affects Korea's imports and exports which are centered on economic structure. For instance, the Port of Busan, which handles 75% of domestic container freight volume,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critical for container lin...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부산항 연계 주요 항만별 처리 물동량과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 간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을 중심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부산항을 기항하고 있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패턴분석을 통해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항 중심으로 항만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고 세계 주요항만의 중심성을 파악한 연구이며, 실제 부산항을 기항하는 정기선의 서비스 항로에 따른 기항패턴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도별 중심성 추이를 분석하고자 시계열 자료(2012년~2016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정기선 서비스 현황자료를 통해 부산항을 입출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를 파악하고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 SNA) 방법 중 연결정도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활용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을 중심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부산항을 기항하고 있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패턴분석을 통해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항 중심으로 항만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고 세계 주요항만의 중심성을 파악한 연구이며, 실제 부산항을 기항하는 정기선의 서비스 항로에 따른 기항패턴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부산항 연계 주요 항만별 처리 물동량과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 간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1954년 존 반즈(John A, Barnes, 1918~2010)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써, 부족 또는 가족과 같은 경계가 있는 집단이나 성, 민족 등과 같은 사회적범주를 나타내는 개념들을 포함하며, 연결 관계의 패턴을 나타내는 용어라고 하였다. 사회 네트워크는 초기 인간관계 네트워크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사회적 개체들의 네트워크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특히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국내 해운업의 불황 및 중국 항만의 급속한 성장 등으로 인해 물동량이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자동화 터미널 시설을 갖춘 신항 개장, 신 해운동맹 출범에 따른 선석 조정, 해운 선사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의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동량 유치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한 외국적 선사들의 얼라이언스 개편, 정기노선 확보를 위해 선사들의 합병 등 경영환경 변화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글로벌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외국적 선사의 물동량 유치를 위해서 정기선 항로 서비스 확대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사회연결망 분석의 종류는?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정기선 서비스 현황자료를 통해 부산항을 입출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를 파악하고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 SNA) 방법 중 연결정도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활용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san Port Authority(2017a), Busan Port Container Transportation Statistics. 

  2. Busan Port Authority(2017b), Busan Por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3. Busan Port Authority(2017c), Busan Port Statistical Booklet. 

  4. Ducruet, C. and Notteboom, T. E.(2012), "Developing Liner Service Networks in Container Shipping", Maritime Logistics: A complete guide to effective shipping and port management, Kogan page, Londen, ISBN 9780 7494 6369 4, pp. 77-100. 

  5. Fremont, A.(2007), Global maritime networks: the case of Maersk.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5(6), pp. 431-442. 

  6. Freeman, L. C.(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ssification. Social Networks, 1(3), pp. 215-239. 

  7. Jeon, J. W. et al.(2016), "An Analysis of the Cruise Courses Network in Asian Reg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2, No. 1, pp. 17-28. 

  8. Jhang, S. E. and Lee, S. H.(2016), "A Study of Themes and Trends in Research of Global Maritime Economic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2, No. 1, pp. 79-95. 

  9. Jung, B. M.(2003), "The Growth of Containership Size and Shipping Market Trend",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37, pp. 19-30. 

  10. Kang, D. J. et al.(2014), "A Study on the Liner Shipping Network of the Container Port",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0, No. 1, pp. 73-96. 

  11. Kang, D. J.(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Liner Shipping Network Characteristics to the World Regional Major Port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1, No. 4, pp. 189-207. 

  12. Kim, J. H. and Kwon, O. K.(2014), "Correlation Between Network Centrality and Efficiency of Port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Logistics, Vol. 22, No. 4, pp. 1-15. 

  13. Kim. T. G. et al.(2014),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 Market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4, No. 6, pp. 93-107. 

  14. Lee, S. S. (2012),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Nonhyoung. 

  15. Park, C. H. et al.(2000), "Study of Establishment of the Northest Asian Port Logistics Networks focused on the South and North Korean Ports",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31, pp. 91-116. 

  16. Park, K. H.(2016), "Analysis of the Changes of Liner Service Networks by Using SNA",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Master degree dissertation. 

  17. Park, Y. A. and Choi, K. Y.(2013), "Analysis of Development of Korea-Japan Liner Rout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ainer Throughput",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76, No. 1, pp. 53-81. 

  18. Shuaian, W. Qiang, M. Zhuo, S., 2013. Container routing in liner shipp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49, pp. 1-7. 

  19. Sohn, D. W.(2002), Social Network Analysis, Kyeongmunsa. 

  20. Suh, H. R.(2013), "Correlation Between Network Centrality and Efficiency of Port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Geography, Master degree dissertation. 

  21. Wang, S., Liu, Z., & Meng, Q., 2015. Segment-based alteration for container liner shipping network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72, pp. 128-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