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변화 분석: 인천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hanges of Liner Service Networks by Using SNA: Focused on Incheon Port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2 no.1, 2016년, pp.97 - 122  

박기현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임미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안승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인천항은 국내 컨테이너 처리물동량 3위 항만으로 2013년~2014년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 200만 TEU를 달성하였으며 국내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 2위인 광양항과의 물동량 차이를 줄이며 국내 2위 컨테이너 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에 대비하여 2015년 6월 인천 송도에 인천 신항을 개장하며 국내 및 세계 주요 컨테이너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처럼 인천항의 컨테이너 항만으로서의 역할이 커지고 있어 인천항을 기항하고 있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항만 네트워크)의 역할과 향후 방향성 설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를 중심으로 하는 시계열 자료(2008년~2015년)를 분석하여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변화에 대해 확인 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중국/동남아시아 항로의 증가세가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과 2008년도에 비해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최근 해운 항만 분야에 도입되고 있는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해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상의 중앙성(Centrality) 분석을 시행하였다.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상에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 인접 중앙성(closeness centrality), 사이 중앙성(betweenness centrality)이 높은 항만 및 그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에는 부산항이 국외에는 홍콩항이 높은 중심성(Centrality)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천항의 네트워크상 허브 항만은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순위(14년 기준) 1위, 2위를 차지하는 상해, 싱가포르가 아님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중국 동부 항만의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에서 현재까지 중국 동부 항만이 인천항의 네트워크상 허브 역할을 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heon port attained two million TEU of container throughput between 2013 and 2014 as a third port in domestic container throughput. It opened a new port in Song-do, Incheon in June 2015 to prepare for the continuing increase in container throughput.Therefore, it has provided the platform for be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시각화 자료 및 각 중앙성(centrality)의 변화 추이 등을 확인코자 한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론과 시사점, 향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 논의코자 한다.
  • 먼저, 인천항의 전반적인 현황으로 인천항 물동량,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어서, 본 연구 수행을 위한 국내외 문헌고찰을 진행할 예정으로 인천항 관련 연구, 컨테이너 정기선 및 항로(항만네트워크) 관련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관련 연구를 진행코자 한다.
  •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인천항이라는 항만을 중심으로 하는 항만 네트워크, 특히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를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중요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컨테이너 물량 증가 및 인천 신항 개장, 미주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개설 등으로 새로운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인천항 컨테이너 시장에 대한 기초 분석으로 물동량, 항만서비스, 경쟁력 강화 라는 기존 시설, 공급적 분석 측면에서 벗어나 인천항을 기항하고 있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인천항의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인천항에 기항하고 있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시계열 자료를 구하기 위해 인천항 관련기관에서 공시하는 2차 자료를 확보 하고자 하였으나 이 부분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부득이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들이 각 터미널별 내부적으로 공유하는 터미널 운영사 내부자료를 확인 하여 하기 위해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현황을 과 같이 작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장기간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5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인천항을 잇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내부자료를 활용하여 인천항을 잇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를 정리하고 이를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 중 하나인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 인접 중앙성(closeness centrality), 사이 중앙성(betweenness centrality)을 활용하여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항만의 변화 추이 및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성이라는 개념이 통계 분석에서 훌륭한 변수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앙성(Centrality)이란 영향력이라는 개념과 연결되어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표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성이 높을 경우 좋은 성과 혹은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중앙성이라는 개념은 통계 분석에서 훌륭한 변수로 사용된다.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인천항과 관련된 어떤 결과를 도출했는가?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상에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 인접 중앙성(closeness centrality), 사이 중앙성(betweenness centrality)이 높은 항만 및 그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에는 부산항이 국외에는 홍콩항이 높은 중심성(Centrality)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천항의 네트워크상 허브 항만은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순위(14년 기준) 1위, 2위를 차지하는 상해, 싱가포르가 아님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중국 동부 항만의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에서 현재까지 중국 동부 항만이 인천항의 네트워크상 허브 역할을 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접 중앙성이란 무엇인가? 인접 중앙성(closeness centrality)은 한 점(node)이 다른 점(node)에 얼마나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다른 점(node)들과의 인접성(closeness) 또는 거리(distances)로 측정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점(node)이 전체 중앙성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 전체의 중심을 차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동준.방희석.우수한 (2014),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1호, 73-96. 

  2. 김병국.정석봉.권기석 (2013), "사회연결망분석에 의한 온라인 쇼핑몰의 구매품목 관계 분석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집 제11호, 209-217. 

  3. 김병일.김홍섭 (2011), "인천항의 브랜드파워 제고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2호, 111-136. 

  4. 김성국 (2013), "SNA를 이용한 우리나라 연안여객항로의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24호, 1-24. 

  5. 김용학 (2011),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6. 김주혜.권오경 (2014), "항만네트워크 중심성과 효율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제22집 제4호, 1-15. 

  7. 남흥우.남영우.조용철.이창호 (2011), "인천항 입.출항 선박형태에 따른 기여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3집 제2호, 203-210. 

  8. 모수원.이광배 (2013), "광양항과 인천항의 수출경쟁력 분석: 항만물동량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80집, 993-1008. 

  9. 박력 (2011), "아시아 지역 항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항만의 역할 분석: 사회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통상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일.정현재.전준우.여기태 (2012), "System Dynamics를 활용한 인천항 철재화물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2호, 75-93. 

  11. 박용안.최기영 (2013), "한일 정기선항로의 발달과 항만물동량 특성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76집, 53-81. 

  12. 박용안 (2015), "광양항 해운과 내륙 네트워크 발달에 대한 고찰",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제28집 제3호, 215-234. 

  13. 박창호.노홍승.여기태 (2000), "남북한 항만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항만물류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1집, 91-116. 

  14. 송영진 (2011), "SNA분석방법의 이론과 응용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통계학전공 석사논문. 

  15. 서홍용 (2014), "우리나라 연안해운 물류체계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시멘트를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제59.60집, 141-169. 

  16. 양원 (2007), "동북아시아의 항만경쟁으로 인한 주요 간선 항로의 변화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17집 제3호, 5-26. 

  17. 임병학 (201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항만의 영향력과 순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SCM학회지, 제12집 제1호, 37-47. 

  18. 임영태.박창호.최창호 (2013), "수도권 무역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인천항, 평택.당진항, 경인항을 대상으로", 해운물류연구, 제78집, 435-456. 

  19. 이윤수 (2004), "세계 정기선 해운의 현황과 선사들의 대응 전략", 해운물류연구, 제40집, 197-204. 

  20. 인천항만공사 (2015), 2015 인천항 주요통계. 

  21. 인천항만공사 (2008), 인천항사 (The history of incheon port) 

  22. 장흥훈.한병섭 (2009), "Network 관점에서 본 글로벌해운선사의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의 주요 무역항만을 대상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2호, 1-24. 

  23. 정봉민 (2003),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와 해운시황", 해운물류연구, 제37집, 19-30. 

  24. 정태원 (2010),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인천항의 전략과제", 물류학회지, 제20집 제5호, 5-26. 

  25. 정태원.안우철 (2011), "Trigger Rule 도입에 따른 인천신항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1호, 137-154. 

  26. 조윤호.방정혜 (2009), "신상품 추천을 위한 사회연결망분석의 활용", 지능정보연구, 제15집 제4호, 183-199. 

  27. 조인교.이태휘.여기태 (2012), "인천항 온도크 (On-Dock)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22집 제3호, 217-234. 

  28. 조수원.김태원.남기찬.곽규석 (2007), "해운 기간항로 점유율에 따른 항만 거점화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07집, 245-246. 

  29. 진형인.정국뢰 (2012), "인천항과 북중국 주요 항만의 코피티션 방안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제20집 제2호, 37-51. 

  30. 이재무.이재성 (2014),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아이돌봄지원사업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제16집 제3호, 209-234. 

  31. 임병학 (2011), "컨테이너항만 네트워크가 항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제19집 제3호, 19-35. 

  32. 최성구.김주혜.권오경 (2014), "세계 주요 공항의 효율성과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구: DEA와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로지스틱스연구, 제22집 제1호, 29-42. 

  33. 황천사.양창호.여기태 (2012), "중국주요 항만과 인천 및 부산항간의 컨테이너 처리량 변화에 관한 실증분석", 물류학회지, 제22집 제4호, 5-25. 

  34. IPUS 인천항 포탈 (http://www.ipus.co.kr/ipa/ipapt/mai n.do) 

  35. 한국무역협회 (http://stat.kita.net/stat/kts/port/PortImpExpList.screen#) 

  36. De Langen, P., Nidjam, M., and van der Horst, M. (2007), "New indicators to measure port performance," Journal of Maritime Research, Vol.4 No.1, 23-36. 

  37. Ducruet, C., Rozenblat, C., and Zaidi, F. (2010), "Ports in multi-level maritime networks: evidence from the Atlantic (1996-2006),"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8 No.4, 508-518. 

  38. Ducruet, C., Lee, S. W., and Song, J. M. (2011), "Network position and throughput performance of seaports," Current Issues in Shipping, Ports and Logistics, 189-201. 

  39. Ducruet, C., and Notteboom, T. (2012a), "The worldwide maritime network of container shipping: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dynamics," Global Networks, Vol.12 No.3, 395-423. 

  40. Ducruet, C., and Notteboom, T. (2012b), Developing liner service networks in container shipping, Maritime Logistics: A complete guide to effective shipping and port management, 77-100. 

  41. Fremont, A. (2007), "Global maritime networks: the case of Maersk,"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5 No.6, 431-442. 

  42. Hu, Y., and Zhu, D. (2009),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wid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Vol.388 No.10, 2061-2071. 

  43. Lam, J. S. L., and Yap, W. Y. (2011), "Dynamics of liner shipping network and port connectivity in supply chain systems: analysis on East Asia,"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9 No.6, 1272-1281. 

  44. Molano, S., and Polo, A. (2015), "Social Network Analysis in a Learning Communit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85, 339-345. 

  45. Mulder, J., and Dekker, R. (2014), "Methods for strategic liner shipping network desig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35 No.2, 367-377. 

  46. Park, Y. A., and Medda, F. (2010), Classification of container ports on the basis of networks, Proceeding of 12th WCTR, Lisbon, Portugal, 1-17. 

  47. Plum, C. E., Pisinger, D., Salazar-Gonzalez, J. J., and Sigurd, M. M. (2014), "Single liner shipping service design,"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45, 1-6. 

  48. Shafiq, O., Alhajj, R., and Rokne, J. G. (2015), "On personalizing Web search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Information Sciences, Vol.314, 55-76. 

  49. Shuaian, W. Qiang, M. Zhuo, S. (2013), "Container routing in liner shipp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49, 1-7. 

  50. Wang, S., and Meng, Q. (2013). "Reversing port rotation directions in a container liner shipping network,"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ol.50, 61-73. 

  51. Wang, S., Liu, Z., and Meng, Q. (2015), "Segmentbased alteration for container liner shipping network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ol.72, 128-145. 

  52. Xu, M., Li, Z., Shi, Y., Zhang, X., and Jiang, S. (2015), "Evolution of regional inequality in the global shipping network,"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44, 1-12. 

  53. Sentinel Visualizer (http://www.fmsasg.com/Social Network Analysi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