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주요지역 항만의 네트워크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Liner Shipping Network Characteristics to the World Regional Major Port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1 no.4, 2015년, pp.189 - 207  

강동준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이론 관점에서 정기선 운항에 따른 해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세계 주요 항만의 중심성을 분석해 보고 항만경쟁력으로 대변되는 항만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선사 중심의 항만경쟁력 평가 및 항만당국 및 항만운영자의 컨테이너항만 경쟁력 향상방안과 개발정책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항만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된 데이터는 Containerization Yearbook과 online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 6년간의 정기선사 서비스 및 항만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그래프 이론의 한 부문인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항만의 중심성과 항만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하여 항만물동량과의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계 주요항만의 중심성을 분석하여 시간에 흐름에 따른 항만 네트워크 내 역할에 대해 파악되었고,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으로 선택된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거시경제변수인 GDP, 선석의 변화율 및 항만 중심성 중 위세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ports and their performance that is represented by port competitiveness for the port operators. The study employs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evaluate network characteristics comprising four central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ters가 제시한 항만경쟁력의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Peters(1990)는 항만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항만의 서비스, 설비의 능력 및 상태, 항만운영전략, 정치 및 사회경제요인, 특성, 수송 및 하역기능 변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Murphy 외(1992)는 항만체선ㆍ체화의 여부, 항만규모, 항만 근접도, 선박기 항빈도 등을 항만 경쟁력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설명에 앞서 네트워크의 개념을 살펴보면 수학의 그래프 이론에 의해 G={N, L, f}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G는 네트워크이며, N은 노드들의 집합이고 L은 링크들의 집합, f는 노드들이 각각 링크를 통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하는 N×N 연결 함수로 정의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과학(network science)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으로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모든 것들을 어떠한 구성 성분과 그들 사이의 상호관계라는 연결선으로 바라본다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해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세계 주요 항만의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해 논문의 저자가 이용한 데이터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이론 관점에서 정기선 운항에 따른 해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세계 주요 항만의 중심성을 분석해 보고 항만경쟁력으로 대변되는 항만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선사 중심의 항만경쟁력 평가 및 항만당국 및 항만운영자의 컨테이너항만 경쟁력 향상방안과 개발정책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항만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된 데이터는 Containerization Yearbook과 online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 6년간의 정기선사 서비스 및 항만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그래프 이론의 한 부문인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항만의 중심성과 항만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하여 항만물동량과의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용학(2011), 사회연결망분석, 제3판, 박영사, 2011. 

  2. 김율성.김상열(2011), "항만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73-90. 

  3. 김진구.여기태.이종인(2002). "국제해운항만 로지스틱스에 있어서 항만 경쟁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제10집 제2호, 37-69. 

  4. 김태원.유주영.김현.곽규석.남기찬(2006), "항만 경쟁구조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집 제6호, 509-515. 

  5. 김학소(1993), "우리나라 수출입 화주의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원. 

  6. 손동원(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7. 여기태(2001),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쟁력에 관한 연구: 컨테이너항만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지, 제11호, 179-203. 

  8. 이수상(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집 제2호, 297-315. 

  9. 이재열.안정옥.송호근(2007), 네트워크 사회의 구조와 쟁점, 제3호, 서울대학교출판부. 

  10. 이정동.오동현(2010), 효율성 분석이론, IB Book. 

  11. 이호상(2010), "항공교통을 통한 도시 간 국제적 상호작용 패턴", 국토연구, 163-179. 

  12. 임병학(2011), "컨테이너항만 네트워크가 항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제19집 제3호, 19-35. 

  13. 장흥훈.이종규(2008), "선.화주의 항만결정요인에 따른 광양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18집 제3호, 87-109. 

  14. 전일수.김학소.김범중(1993),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원, 90, 219-258. 

  15. 최충익(2009), "알기쉬운 국토연구 방법론", 국토연구원, 191-201. 

  16. 한철환(2005), "북중국 환적 화물추정에 관한 실증연구-북미항로를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44(단일호), 41-60. 

  17. 허윤수(2006), "항만경쟁력 변화분석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방안", 부산발전연구원. 

  18. Baltagi, B. H.(2008), Econometric Analysis of Panel Data,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19. Bonacich, P.(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70-1182. 

  20. Ducruet, C & Notteboom, T. E.(2012), Developing Liner Service Networks in Container Shipping. in: Song, D. W., Panayides, P. (eds.), Maritime Logistics: A complete guide to effective shipping and port management, Kogan Page, Londen, ISBN 978 0 7494 6369 4, 77-100. 

  21. Ducruet, C., Lee, S. W. and Song, J. M.(2011), "Network position and throughput performance of seaports," Current Issues in Shipping, Ports and Logistics, 189-201. 

  22. Heaver, T., Meersman, H. and Van de Voorde, E.(2001),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international container transport: strategies for port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28 No.3, 293-305. 

  23. Hyung-Sik, Nam. and Dong-Wook, Song(2011), "Defining maritime logistics hub and its implication for container port,"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8 No.3, 269-292. 

  24. Hsiao, C.(1985), "Benefits and limitations of panel data," Econometric Reviews, Vol.4 No.1, 121-17. 

  25. Hsiao, C.(1986), Analysis of Panel Data, Econometric Society Monograph, 11. 

  26. Johnston, J. and DiNardo, J.(1997), Econometric methods(pp.348-58). McGraw-Hill: NewYork. 

  27. Klevmarken, A.(1989), Modelling Labor Supply in a Dynamic Economy (No. 247). 

  28. Laxe, F. G., Seoane, M. J. F. and Montes, C. P.(2012), "Maritime degree,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port hierarchies and emerging areas in containerized transpor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24, 33-44. 

  29. Malchow, M. and Kanafani, A.(2001), "A disaggregat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ort selection,"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28 No.3, 265-277. 

  30. Matsumoto, H.(2004), "International urban systems and air passenger and cargo flows: some calculations,"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Vol.10 No.132, 241-249. 

  31. Notteboom, T. E.(2009), "Complementarity and substitutability among adjacent gateway port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41 No.3, 743. 

  32. Peters, H. J.(1990), Structural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and transport markets: The importance of logistics, The 2nd KMI International Symposium, Seoul, 151-189. 

  33. Simmel, G.(1971), On Individuality and Social Form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4. Slack, B.(1985), "Containerization, inter-port competition and port selection,"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12, 293-303. 

  35. Solon, G.(1989), The value of panel data in economic research, Panel Survey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486-496. 

  36. Valentine, V. F. and Gray, R.(2002), "An organizational approach to port efficiency,"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time Economists Conference, 13-15. 

  37. Wang, J. J. and Ng, A. K. Y.(2011), "The geographical connectedness of Chinese seaports with foreland markets: a new trend?,"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Vol.102 No.2, 188-204. 

  38. Weber, W. and Williams, G. (2001), "Drivers of long-haul air transport route developmen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9, 243-2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