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화규소(SiC) 반도체를 사용한 모듈에서의 방열 거동 해석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Dissipation using Silicon Carbide (SiC) Powder Semiconductor Module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5 no.4, 2018년, pp.89 - 93  

정청하 (강남대학교 전자패키지연구소) ,  서원 (강남대학교 전자패키지연구소) ,  김구성 (강남대학교 전자패키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200V 이상 급의 전기자동차파워 모듈에 적용되는 세라믹 기판은 구동 전력으로 고전력이 인가되는 특성상 고열전도도, 고 전기절연성, 저열팽창계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성의 특성이 요구된다. 방열기판에 적용되는 세라믹 중 질화알루미늄질화규소는 그 요구를 충족하는 소재로서 고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질화알루미늄과 질화규소의 방열기판 소재로서의 특성을 상용해석프로그램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질화규소는 질화알루미늄에 대해 각각 동일한 조건의 열을 부여하는 공정을 시물레이션으로 구현했을 때 스트레스와 휨이 덜 발생하여 더 우세한 내충격성, 내stress성을 보였다. 열전도도 측면에서는 질화알루미늄이 방열 소재로서 더 우수한 특성을 지니지만 신뢰성 측면에서는 질화규소가 더 우세함을 시물레이션을 통해 관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ramic substrates applied to power modules of electric vehicles are required to have properties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high electrical insulation,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resistance to abrupt temperature change due to high power applied by driving power. Aluminum nitride and s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1200V 이상 급의 전기자동차의 모듈에서 방열 기판으로 사용되는 DC 기판의 소재로 질화 알루미늄과 질화규소을 적용하여 이에 대한 상용 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열적,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파워 모듈에 적용되는 방열 기판의 소재로서 질화알루미늄과 질화규소의 특성 비교를 수행하였다. 첫째, 모듈의 솔더와 방열기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구현한 실험에서 질화규소 기판보다 질화알루미늄 기판을 적용했을 때 상대적으로 모듈이 받는 최대 von-mises stress는 6.

가설 설정

  • 두 번째 해석은 모듈이 제조된 후 진행하는 내열성 테스트를 구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장 부품의 신뢰성에서 많이 사용하는 −55℃에서 150℃로 온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500번 반복 수행하였을 때의 stress 및 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 해석은 모듈이 제조된 후 구동했을 때의 열적 구조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 내의 칩이 구동되어 칩만 발열한다고 가정하고 이때 모듈 전체에 가해지는 stress와 휨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워 모듈로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1,2)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파워 모듈의 경우 고온 및 진동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므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3) 파워 모듈로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열적 특성으로, 고온의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 소재를 적용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워 모듈은 반도체와 기판, EMC등의 소재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파워 모듈의 구성도는 Fig.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파워 모듈에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소자의 성능 열화와 신뢰성 저하를 촉진한다.1,2)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파워 모듈의 경우 고온 및 진동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므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3) 파워 모듈로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열적 특성으로, 고온의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 소재를 적용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워 모듈에 적용되는 반도체에 인가되는 높은 전력에 의한 발열량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파워 모듈에 적용되는 반도체에 사용되는 전류는 수백 A, 전압은 수백 V로 고전력의 전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발열량도 하나의 이슈가 되고있다. 이는 소자의 성능 열화와 신뢰성 저하를 촉진한다.1,2)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파워 모듈의 경우 고온 및 진동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므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Y. J. Park, J. W. Ko, J. M. Kim, J. W. Lee, and H. D. Kim, "High Thermal Conductivity Silicon Nitride Substrate Material for Power Devices(in Kor.)", CERAMIST, 15(5), 7 (2012). 

  2. J. Faltenbacher, and C. Gobl, "Low temperature sinter technology Die attachment for power electronic applications", Proc.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grated Power Electronics Syste (CIPS), 1 (2010). 

  3. J. W. Yoon, J. H. Bang, Y. H. Ko, S. H. Yoo, J. K. Kim, and C. W. Lee, "Power Module Packaging Technology with Extended Reliability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in Kor.)", J. Microelectron. Packag. Soc., 21(4), 1 (2014). 

  4. K. Shinozaki, and A. Tsuge, "Characterization Techniques of Ceramics: Development of High Thermal Conductive Aluminum Nitride (in Japan)", Ceramics, 12, (1986). 

  5. K. I. Kim, S. C. Choi, K. S. Han, K. T. Hwang, and J. H. Kim, "Synthesis of high purity aluminum nitride nanopowder by RF induction thermal plasma(in Kor.)",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24(1), 1 (2014). 

  6. K. Bai, S. K. Woo, I. S. Han, and D. W. Seo, "Fabrication of Silicon Nitride Ceramics by Gel-Casting and Microwave Gas Phase Reaction Sintering(I)",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8(5), 348 (2011). 

  7. O. S. Jeon, G. Y. Jeun, S. Y. Park, K. H. Lee, and B. G. Kim, "Cost-effective Power Module Package using Leadframe and Ceramic substrate", Proc. 6th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on Microeletronics and Packaging (ISMP), Seoul, 9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