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웹 접근성 준수 정도 분석
A Study on Analyzing the Degree of Conforming to Web Accessibility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of Cities and Provinces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1 no.2, 2018년, pp.59 - 71  

김미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정보전공)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K-12의 구성원 및 관계자들에게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시 도 교육청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 분석을 통해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9개의 교수학습지원센터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전문가 2명에 의한 1차 전문가 수동평가와 18명의 사용자가 진행하였다. 사용자 평가는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뇌병변 장애인, 고령자, 다양한 브라우저 사용자, 다양한 운영체제 사용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전문가와 사용자 평가에서 웹 접근성을 준수하고 있는 교수학습지원센터는 1곳도 없었다. 전문가 평가 결과, 웹 디자인 개선, HTML 소스 오류 수정, 장애인을 위한 대체 수단 제공 등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을 통해 향후 국내 웹 접근성 평가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by analyzing the state of abiding by the web accessibility by the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t the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which provide the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s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전문가 평가와 사용자 평가의 순위가 다르게 나타난 것에 대한 관점이다. 전문가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KWCAG 2.
  • 본 연구는 9개 평가 대상 사이트의 특성상 부가 애플리케이션 페이지 평가가 어려운 관계로 24개 검사 항목 중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항목을 제외한 23개 항목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을 개선한 평가 방법으로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파악해봄으로써 유·초·중등학교와 관련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웹 접근성 평가를 개선한 방법으로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 사이트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접근기회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구현을 위한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자동평가가 갖는 제한점을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웹 접근성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 수동평가를 실시하였다.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다각도로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평가와 사용자 평가를 병행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웹 접근성 평가를 개선한 방법으로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특히 사용자 평가자의 경우, 장애인, 고령자 외에 기존 연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다양한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 사용자를 본 연구의 사용자 평가자에 포함함으로써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향을 좀 더 다각도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웹 접근성 평가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학습센터란? K-12 교육정보화 분야의 대표 사업은 교수학습센터의 구축 및 운영이라 할 수 있다. 교수학습센터는 지식기반사회 학교의 교수학습 관련 활동과 자원을 온·오프라인에서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인적·물적 조직체제이다[2]. 역할과 기능에 따라 중앙과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 학교 교수학습도움센터로 구성된다[3][4].
웹 접근성 평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은? 김미정 외(2018)는 국내 웹 접근성 평가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사용자 평가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은 자동평가와 수동평가 병행, 자동평가 1가지 사용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하나의 방법보다는 두 가지의 방법을 병행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웹 접근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13].
웹 접근성 오류 관점에서 웹 디자인 개선, HTML 소스 오류 수정, 장애인을 위한 대체 수단 제공 등에 대한 오류가 발견된 이유는? 교육 콘텐츠 특성에 따른 오류는 없었지만, 웹 디자인 개선, HTML 소스 오류 수정, 장애인을 위한 대체 수단 제공 등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는 키보드 컨트롤이 복잡한 콘텐츠 제공, 동적 화면이나 플래시 위주의 구성이 아닌, 대부분 일반 게시판 위주로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도 한정적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2014 교육정보화백서. 

  2.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2004 교육정보화백서. 

  3.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2007 교육정보화백서.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2009 교육정보화백서. 

  5. 한태명, 반문섭, 김소미, 이철주 (2003a). 교수학습센터 가이드북-교수학습지원센터. 

  6. 박연심, 최선아, 김관식, 김재덕, 윤승진, 현자욱 (2005). 교수학습도움센터 구축, 운영 가이드북. 

  7.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2005 교육정보화백서. 

  8. 정종기 (2006). 국내 광역시.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과 이용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173-191. 

  9. 박병위 (2005). 2005년 전국 교수학습지원센터 모니터링 보고서. 

  10. 김경철, 김은정 (2005). 시.도 단위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유아교육부분 운영 현황 및 내용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4(-), 85-105. 

  11. 김은정, 김경철 (2007). 웹기반 교수학습센터 유아교육부분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6(2), 105-124. 

  12.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2016 교육정보화백서. 

  13. 김미정, 김자미 (2018). 한국의 웹 접근성 평가 연구동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7(1), 33-42. 

  14.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006 교육정보화백서. 

  15. 육주혜 (2007).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의 접근성 및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1), 101-118. 

  16. 김창수, 최석윤, 김정훈 (2011).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487-495. 

  17. 이희연, 채수정 (2013).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5(4), 57-76. 

  1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웹 접근성 품질인증심사가이드 v.1.3. 

  19. 류영일, 하성필, 김혜일, 성영한, 박수만 (2013). (장애인차별금지법 대응을 위한) 웹 접근성과 품질인증. 의왕: 에이콘. 

  20. 김성남, 고등영 (2010). 전국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 및 개선방안.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2), 63-79. 

  21. 박노경 (2010). 상업계 고등학교의 웹 접근성 평가. 商業敎育硏究, 24(2), 1-21. 

  22. 서창교, 황채영 (2013). 전국 장애인복지관 웹 접근성 평가. 한국장애인복지학, 21(-), 1-18. 

  23. 국립전파연구원 (2015). 한국형 웹 콘텐츠접근성 지침 2.1. 

  24. 미래창조과학부. 웹 접근성 품질인증 표준심사 지침. 

  25. 조현미, 정진헌 (2007). 웹 접근성 지침에 기반한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8(2), 487-497. 

  26. 문현미, 임미성 (2014).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에 따른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및 분석.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5(1), 281-303. 

  27. 문태은, 문형남 (2009). 국내 중앙행정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과 사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大韓經營學會誌, 22(3), 1511-1535. 

  28. 김영석 (2015). 화장품 웹사이트 접근성과 만족도 제고를 위한 웹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인에 대한 전략. 기초조형학연구, 16(2), 71-86. 

  29. 이양규 (2005). 국내 주요 웹 사이트의 접근성에 관한 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2(4), 33-44. 

  30. 조윤희 (2009).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35-3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