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에 대한 한국어판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or Caring (K-NSPIC)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218 - 226  

이신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이화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Wade와 Kasper가 개발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D 광역시 3개 대학교 간호학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04일에서 6월 2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varimax 직각 회전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27문항 5개 확인되었으며 존중하는 배려, 돌봄을 통한 신뢰, 통제와 유연성, 지지적인 교육환경, 삶의 의미에 대한 공감으로 구분되었다. 동시타당도 검정 결과, 임상실습교육환경 측정도구의 상관관계에서 r=.64 (p<.001)로 나타나 타당도가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최종 도구의 Cronbach's ${\alpha}$는 .88이었고, 각 요인별 Cronbach's ${\alpha}$는 .91, .86, .80, .76, .85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한국어판 NSPIC 도구는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 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 유용한 도구로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or caring (NSPIC) scale developed by Wade and Kasper for nursing students. We collected data from 219 nursing students in the 3rd to 4th year at three nursing c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ade 와 Kasper [15]가 개발한 NSPIC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수정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 역량을 평가하는 NSPIC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본 도구의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원도구와 동일하게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적합한 것으로 검정되었다.
  • Watson의 개인 초월적 돌봄 이론[6]을 토대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발된 NSPIC 측정도구는 임상 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을 사정하기 위한 도구로 국외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15-17]. 본 연구에서는 NSPIC 도구를 우리나라의 문화에 적용되도록 번역을 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에 대한 한국어판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간호대학생과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SPIC 측정도구[15]를 우리나라 간호교육의 중심인 임상실습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측정하고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SPIC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환경이 중요한 이유는? 모든 임상실습현장지도자가 동일한 수준의 돌봄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임상실습현장지도자와 간호 대학생 간의 돌봄의 상호작용을 경험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은 돌봄을 배우며 돌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7]. 또한 임상실습을 하는 병동의 분위기, 임상실습현장지도자 의 태도, 간호대학생에 대한 공감과 배려가 간호대학생의 돌봄 역량과 직업 정체성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1, 9]. 특히 임상실습 환경에서의 돌봄적 분위기는 간호대학생의 불안을 감소시켜 학습을 촉진시키고 자신감과 동기부여를 촉진시킨다[10-12].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임상실습 중에 환경적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는 교육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10].
간호대 학생이 임상실습 현장에서 배우는 것은? 임상실습은 간호 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임상에서 실제의 간호 상황을 경험하거나 간호술기를 배울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1-2].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현장에서 실제로 돌봄(caring)을 제공함으로써 돌봄에 대한 지식과 실무를 총체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전문직업인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배우고 익히게 된다[3]. 또한 임상실습 현장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수간호사나 간호사는 임상실습 현장지도자로서 간호대학생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돌봄에 대한 학습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4].
간호의 본질은 무엇인가? 모든 사람은 돌봄을 주고받는 존재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통한 돌봄이 제공될 때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5]. 특히, 간호사가 환자의 요구를 수용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이러한 돌봄이 간호의 본질이다[5-6]. 돌봄은 간호사와 환자 간의 진정한 상호관계가 존재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환자 뿐 아니라 동료 또는 간호대학생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하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Ha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2, no. 5, pp. 2595-2607, 2010. 

  2. R. Nazari, E. Mohammadi, "Characteristics of competent clinical instructors: A review of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and instructor",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Sciences, vol. 2, no. 2, pp. 11-22, 2015. DOI: https://dx.doi.org/10.7508/jnms.2015.02.002 

  3. I. Mansutti, L. Saiani, L. Grassetti, A. Palese, "Instruments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psychometric proper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68, pp. 60-72, 2017. DOI: https://dx.doi.org/10.1016/j.ijnurstu.2017.01.001 

  4. M. S. Chung, J. S. Park, E. Ryu, G. Shin, H. Y. Jun, B. J. Kim, "Teaching effectiveness and adequacy of practical trai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4, pp. 550-560, 2015. DOI: https://dx.doi.org/10.5977/jkasne.2015.21.4.550 

  5. A. Boykin, S. O. Schoenhofer, Nursing as caring: A model for transforming practice. pp. 1-16.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1. 

  6. J. Watson,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nd ed. p. 3-23,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2009. 

  7. J. Longo, "Acts of caring: Nurses caring for nurses",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 25, no. 1, pp. 8-16, 2011. DOI: https://dx.doi.org/10.1097/HNP.0b013e3181fe2627 

  8. J. M. Morse, J. Bottorff, W. Neander, S. Solberg, "Comparative analysis of conceptualizations and theories of caring",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23, no. 2, pp. 119-126. 1991. DOI: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1.tb00655.x 

  9. M. R. Lee, M. J. Kim, "The influences of college adaptation, satisfaction of major and clinical practice on vocational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6, pp. 197-208, 2018.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8.19.6.197 

  10. S. H. Kim, S. Y. Yoo, Y. Y.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scale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ment, supervision and nurse teacher evaluation (CL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48, no. 1, pp. 70-83, 2018. DOI: https://dx.doi.org/10.4040/jkan.2018.48.1.70 

  11. L. J. Labrague, D. M. McEnroe-Petitte, I. V. Papathanasiou, O. B. Edet, J. Arulappan, "Impact of instructors' caring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own caring behavior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7, no. 4, pp. 338-346, 2015. DOI: https://dx.doi.org/10.1111/jnu.12139 

  12. C. P. Lovecchio, M. J. K. DiMattio, S. Hudacek, "Predictor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 secondary analysi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 36, no. 4, pp. 252-254, 2015. DOI: https://dx.doi.org/10.5480/13-1266 

  13. I. H. Park, Y. O. Suh, "Development of teaching efficacy scale to evaluate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30, no. 1, pp. 18-29, 2018. DOI: https://dx.doi.org/10.7475/kjan.2018.30.1.18 

  14. S. J. Hong, E. H. Kim, "Effects of preceptorship on nursing and caring concepts measured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0, pp. 6204-6214,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10.6204 

  15. G. H. Wade, N. Kasper,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instructor caring: an instrument based on Watson's theory of transpersonal car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5, no. 5, pp. 162-168, 2006. 

  16. J. Li, L. Zhou, D. Zhu, C. Hu, X. Zhang, Y. Xu, "Chinese version of th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or caring (C-NSPIC):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Nurse Education Today, vol. 33, pp. 1482-1489, 2013. DOI: https://dx.doi.org/10.1016/j.nedt.2013.05.017 

  17. C. Arrigoni, M. Puci, A. M. Grugnetti, L. Collivasone, E. Fenizia, P. Borrelli, et al., "Italian version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or Caring (I-NSPIC):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MC Medical Education, vol. 17, pp. 218, 2017. DOI: https://dx.doi.org/10.1186/s12909-017-1032-y 

  18. A. L. Comrey, H. B. Lee,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2nd ed. p. 217,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19.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 3rd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012. 

  20. S. V. Dunn, P. Burnett,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2, no. 6, pp. 1166-1173, 1995.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5.tb03119.x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 WHO.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accessed July, 02, 2018) 

  22. J. P. Woo,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s 4.0-20.0)", Hanarae, 2012. 

  23. C, Vandenhouten, S, Kubsch, M, Peterson, J, Murdock, L, Lehrer, "Watson's theory of transpersonal caring: Factors impacting nurses professional caring",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 26, no. 6, pp. 326-334, 2012. DOI: https://dx.doi.org/10.1097/HNP.0b013e31826ed0e8 

  24. M. Tomietto, L. Saiani, A. Palese, L. Cunico, G. Cicoloni, P. Watson, et 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plus nurse teacher (CLES+T) scale: testing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Italian version", Giornale Italiano di Medicina del Lavoro ed Ergonomia, vol. 34, no. 2, pp. B72-B80, 2012. 

  25. H. A. Park, "Theory: Problems and issues in developing measurement scales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Query, vol. 14, no. 1, pp. 46-72, 2005. 

  26. D. Iacobucci, A. Duhachek, "Advancing alpha: Measuring reliability with confiden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3, no. 4, pp. 478-487, 2003. DOI: https://dx.doi.org/10.1207/S15327663JCP1304_14 

  27. D. L. Streiner, G. R. Norman, J. Cairney.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5th ed. p. 33-3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