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섯재배 배지재료용 수입 농업부산물에서의 세균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the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for the use as media materials in mushroom cultiv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4 no.4, 2018년, pp.410 - 419  

김준영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김수산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김성환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버섯 생산용 배지재료 용도로 수입되는 밀짚, 피트모스, 비트펄프, 면실피, 면실박 등 농업부산물에 대한 안전성 자료 구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에 대한 조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년 동안 호주, 캐나다, 중국, 이집트, 독일, 인도,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한 농업 부산물인 밀짚, 피트모스, 면실박, 면실피, 비트펄프를 대상으로 인체, 식물, 버섯에 유해가능성 있는 세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된 수입된 농업부산물에는 $1.35{\times}10^2$에서 $8.34{\times}10^6CFU/g$ 농도 범위로 세균이 존재하였다. 세균을 분리하여 16S rDNA를 분석한 결과 총 19속 45종의 세균이 동정되었다. Basillus 속 세균이 우점으로 존재 하였고 그 다음으로 Paenibacillus 속 세균이 많이 존재하였다. 종 수준에서는 Firmicutes,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그룹에 속하는 순으로 다양성이 존재하였다. 농업부산물 별로 볼 때는 밀짚과 피트모스에서 더 다양한 속의 세균들이 존재하였다. 이 중 인체 유해성이 보고된 세균은 5속 6종으로서 Enterobacter asburiae, Enterobacter ludwigii,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Pseudomonas monteilii, Bacillus anthracis, Cellulosimicrobium funkei가 존재하였다. 놀랍게도 인체병원균이면서 동시에 식물 병원균으로 보고된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 그리고 식물병원균 Bacillus altitudinis가 존재하였다.또한 곤충 병원성의 Lysinibacillus sphaericus와 버섯 병원성의 Ochrobactrum pseudogrignonense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버섯재배 배지용 농업부산물에 여러 종류의 잠재성 있는 병원성 세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입되고 있는 농업부산물이 버섯생산에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위생 검사와 관리가 시급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urgently required to construct safety data on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for use as medium materials for domestic mushroom production. However, research on microorganisms is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bacteria that have the possibility of harm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2016년, 2017년 2년 동안 7개국으로부터 수입된 농업부산물에서 세균의 존재를 농도 수준에서 확인하고 순수분리 후 종 동정을 수행하여 농업부산물에 대한 세균의 다양성과 그 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체, 식물, 버섯에 대한 유해세균의 종으로 추정되는 존재를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선행 연구 결과는 수입되는 국가와 재료들이 다양하고 연도별 수입되는 농업부산물에 대한 미생물 상이 다를 수 있는 바 유해미생물의 범위가 어디까지 인지 보다 확대된 조사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2016년, 2017년 2년 동안 7개국으로부터 수입된 농업부산물에서 세균의 존재를 농도 수준에서 확인하고 순수분리 후 종 동정을 수행하여 농업부산물에 대한 세균의 다양성과 그 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체, 식물, 버섯에 대한 유해세균의 종으로 추정되는 존재를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또한 버섯 유해균의 존재는 재배하는 버섯에 피해를 일으켜 생산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수입 농업 부산물에 대한 세균 정보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GAP 생산 정책의 확대에 있어서 버섯의 식품안전생산에 필요한 미생물기 초를 세우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근거를 제시한다.
  • 이 같은 결과는 같은 나라에서 수입된 같은 농업부산물 품목이라도 연도에 따라 세균 농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수입되는 모든 농업부산물에 세균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를 제시한다. 수입 연도와 수입국가에 따라 세균 농도에 변동이 있음을 볼 때 세균의 종도 변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 우크라이나 비트펄프에서는 2속 2종으로 분리되었으나 유해균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동정된 세균에 인체, 식물, 버섯 그리고 곤충에 병원성 있는 유해 세균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 자료를 제시한다.
  • 그러나 미생물에 대한 조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년 동안 호주, 캐나다, 중국, 이집트, 독일, 인도,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한 농업 부산물인 밀짚, 피트모스, 면실박, 면실피, 비트펄프를 대상으로 인체, 식물, 버섯에 유해가능성 있는 세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된 수입된 농업부산물에는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우수관리 제도의 목적은? 농산물우수관리(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제도는 생산에서부터 수확 후 포장단계에 이르기까지 농산물에 잔류 가능성이 있는 유해생물, 농약, 중금속 등 위해 요소들을 사전에 철저하게 관리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제도로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농산물을 공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제도는 EU(유럽연합),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보편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5년에 수입된 5가지 농업 부산물 분석으로 발견된 인체에 유해성이 알려진 미생물로 무엇이 있는가? 수입용도가 버섯 배지 또는 축산사료의 조사료로 들여오기 때문에 유해병원균의 검출을 수행하는 검역적 단계를 거치지 않고 수입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유해한 미생물들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다분히 존재하다. 이에 따라 유해미생물 존재 가능성에 대해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로서 2015년에 수입된 5가지 농업 부산물을 분석하여 Bacillus anthracis, B. oleronius, Eurotium amstelodami, Aspergillus flavus 등 인체에 유해성이 알려진 미생물이 존재함을 보고하였다(Kwon et al., 2015; Lee et al.
농산물우수관리 제도는 어디에서 보편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농산물우수관리(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제도는 생산에서부터 수확 후 포장단계에 이르기까지 농산물에 잔류 가능성이 있는 유해생물, 농약, 중금속 등 위해 요소들을 사전에 철저하게 관리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제도로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농산물을 공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제도는 EU(유럽연합),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보편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내에는 2006년부터 도입이 되었고, 2009년에 GAP 표준재배지침서를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하여 농산물우수관리인증을 위한 전반적인 관리기준을 설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erry C. 2012. The bacterium, Lysinibacillus sphaericus, as an insect pathogen. J. Invertebr. Pathol. 109, 1-10. 

  2. Bosmans L, De Bruijn I, Gerards S, Moerkens R, Van Looveren L, Wittemans L, Van Calenberge B, Paeleman A, Van Kerckhove S, De Mot R, et al. 2017. Potential for biocontrol of hairy root disease by a Paenibacillus clade. Front. Microbiol. 8, 447. 

  3. Carlson CJ, Getz WM, Kausrud KL, Cizauskas CA, Blackburn JK, Bustos Carrillo FA, Colwell R, Easterday WR, Ganz HH, Kamath PL, et al. 2018. Spores and soil from six sides: interdisciplinarity and the environmental biology of anthrax (Bacillus anthracis). Biol. Rev. Camb. Philos. Soc. 93, 1813-1831. 

  4. Chandel S, Allan EJ, and Woodward S. 2009.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oxysporum f.sp. lycopersici on tomato by Brevibacillus brevis. J. Phytopathol. 158, 470-478. 

  5. Cohen SN, Chang AC, and Hsu L. 1972. Nonchromosomal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 genetic transformation of Escherichia coli by R-factor DNA. Proc. Natl. Acad. Sci. USA 69, 2110-2114. 

  6. Elbanna K, Elnaggar S, and Bakeer A. 2014.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altitudinis as a new causative agent of bacterial soft rot. J. Phytopathol. 162, 712-722. 

  7. Fan B, Blom J, Klenk HP, and Borriss R. 2017.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velezensis, and Bacillus siamensis form an "Operational Group B. amyloliquefaciens" within the B. subtilis species complex. Front. Microbiol. 8, 22. 

  8.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9. Flores-Carrero A, Labrador I, Paniz-Mondolfi A, Peaper DR, Towle D, and Araque M. 2016. Nosocomial outbreak of extended-spectrum ${\beta}$ -lactamase-producing Enterobacter ludwigii co-harbouring CTX-M-8, SHV-12 and TEM-15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Venezuela. J. Glob. Antimicrob. Resist. 7, 114-118. 

  10. Gao X, Zhang M, Li X, Han Y, Wu F, and Liu Y. 2018. Effects of a probiotic (Bacillus licheniformis) on the growth,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of Haliotis discus hannai Ino. Fish Shellfish Immunol. 76, 143-152. 

  11. Gautam R and Sharma J. 2012. Optimization, purification of cellulase produced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under solid state fermentation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denim industry. Int. J. Sci. Res. (Raipur) 3, 1759-1763. 

  12. Jang MJ, Lee YH, Kang YZ, and Ju YC. 2014. Effect of albasia sawdust in Pleurotus ostreatus by bottle cultivation. J. Mushroom 12, 8-11. 

  13. Kaito S, Sekiya N, Najima Y, Sano N, Horiguchi S, Kakihana K, Hishima T, and Ohashi K. 2018. Fatal neutropenic enterocolitis caused by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 rare and underrecognized entity. Intern. Med. DOI: 10.2169/internalmedicine.1227-18. 

  14. Kim JJ, Lee SW, Park KW, Seo KI, and Yee ST. 2012. Effect of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cultivated with oriental herbal plan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Life Sci. 22, 828-836. 

  15. Kim JY, Lee GS, Lee CJ, and Kim SH. 2017. Investigation of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and nutrient component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as medium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Korean J. Environ. Agric. 36, 217-221. 

  16. Kim MK, Sathiyaraj S, Pulla RK, and Yang DC. 2009. Brevibacillus panacihumi sp. nov., a ${\beta}$ -glucosidase-producing bacterium. Int. J. Syst. Evol. Microbiol. 59, 1227-1231. 

  17.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18. Koth K, Boniface J, Chance EA, and Hanes MC. 2012. Enterobacter asburiae and Aeromonas hydrophila: Soft tissue infection requiring debridement. Orthopedics 35, e996-e999. 

  19. Kumar S, Stecher G, and Tamura K. 2016.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33, 1870-1874. 

  20. Kwon HW, Min SW, Lee GS, Kim BY, Lee CJ, and Kim SH. 2015.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imported supplemental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J. Odor Indoor Environ. 14, 225-233. 

  21. Latzer IT, Paret G, Rubinstein M, Keller N, Barkai G, and Pessach IM. 2018. Management o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infections in critically III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37, 981-986. 

  22. Lee GS, Kim JY, Kim BY, Hyun MW, Lee CJ, Kong WS, and Kim SH. 2016. Detection of fungi in imported supplemental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J. Odor Indoor Environ. 15, 337-344. 

  23. Lee S, Ka JO, and Song HG. 2012. Growth promotion of Xanthium italicum by application of rhizobacterial isolates of Bacillus aryabhattai in microcosm soil. J. Microbiol. 50, 45-49. 

  24. Liu PP, Jiang X, Bi D, Xie Y, Tai C, Deng Z, Rajakumar K, and Ou HY. 2012. Complete genome sequence of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HS11286, a multidrug-resistant strain isolated from human sputum. J. Bacteriol. 194, 1841-1842. 

  25. Mannaa M, Oh JY, and Kim KD. 2017. Biocontrol activity of volatileproducing Bacillus megaterium and Pseudomonas protegens against Aspergillus flavus and aflatoxin production on stored rice grains. Mycobiology 45, 213-219. 

  26. Mayer FL and Kronstad JW. 2017. Disarming fungal pathogens: Bacillus safensis inhibits virulence factor production and biofilm formation by Cryptococcus neoformans and Candida albicans. MBio 8, e01537-17. 

  27. Nam MH, Park MS, Kim HG, and Yoo SJ. 2009.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using Bacillus velezensis BS87 and RK1 formulation. J. Microbiol. Biotechnol. 19, 520-524. 

  28. Nicolau Korres AM, Aquije GMDFV, Buss DS, Ventura JA, Fernandes PMB, and Fernandes AAR. 2013. Comparison of biofilm and attachment mechanisms of a phytopathological and clinical isolate of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Sci. World J. 2013, 925375. 

  29. Okaiyeto K, Nwodo UU, Mabinya LV, and Okoh AL. 2015. Bacillus toyonensis strain AEMREG6, a bacterium isolated from south African marine environment sediment samples produces a glycoprotein bioflocculant. Molecules 20, 5239-5259. 

  30. Ortiz?Castro R, Valencia?Cantero E, and Lopez?Bucio J. 2008. Plant growth promotion by Bacillus megaterium involves cytokinin signaling. Plant Signal. Behav. 3, 263-265. 

  31. Padgham JL and Sikora RA. 2007.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and modes of action of Bacillus megaterium against Meloidogyne graminicola on rice. Crop Prot. 26, 971-977. 

  32. Perez JAM, Garcia-Ribera R, Quesada T, Aguilera M, Ramos-Cormenzana A, and Monteoliva-Sanchez M. 2008.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the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Paenibacillus jamila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4, 2699-2704. 

  33. Petkar H, Li A, Bunce N, Duffy K, Malnick H, and Shah JJ. 2011. Cellulosimicrobium funkei: first report of infection in a nonimmunocompromised patient and useful phenotypic tests in differentiation from Cellulosimicrobium cellulans and Cellulosimicrobium terreum. J. Clin. Microbiol. 49, 1175-1178. 

  34. Ramesh D, Souissi S, and Ahamed TS. 2017. Effects of the potential probiotics Bacillus aerophilus KADR3 in inducing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in Labeo rohita. Fish Shellfish Immunol. 70, 408-415. 

  35. Regmi S, Yoo HY, Choi YH, Choi YS, and Yoo JC. 2017. Prospects for bio-industrial application of an extremely alkaline mannanase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 Biotechonol. J. 12, 1700113. 

  36.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7. Shariff M and Beri K. 2017. Exacerbation of bronchiectasis by Pseudomonas monteilii: a case report. BMC Infect. Dis. 17, 511. 

  38. Singh RS, Singh RP, and Yadav M. 2013.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ew endoinulinase producing bacterial strain of Bacillus safensis AS-08. Biologia 68, 1028-1033. 

  39. Stoecker MA, Herwig RP, and Staley JS. 1994. Rhodococcus zopfii sp. nov., a toxicant-degrading bacterium. Int. J. Syst. Bacteriol. 44, 106-110. 

  40. Tian J, Yu C, Xue Y, Zhao R, Wang J, and Chen L. 2016. Performance of trichlorfon degradation by a novel Bacillus tequilensis strain PA F-3 and its proposed biodegradation pathway. Biodegradation 27, 265-276. 

  41. Watanabe T, Oyanagi W, Suzuki K, and Tanaka H. 1990. Chitinase system of Bacillus circulans WL-12 and importance of chitinase Al in chitin degradation. J. Bacteriol. 172, 4017-4022. 

  42. Weid IVD, Alviano DS, Santos ALS, Soares RMA, Alviano CS, and Seldin L.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aenibacillus peoriae strain NRRL BD-62 against a broad spectrum of phyto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J. Appl. Microbiol. 95, 1143-1151. 

  43. Wu Z, Peng W, He X, Wang B, Gan B, and Zhang X. 2016. Mushroom tumor: a new disease on Flammulina velutipes caused by Ochrobactrum pseudogrignonense. FEMS Microbiol. Lett. 363, fnv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