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이즐넛 첨가에 따른 청국장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Hazelnu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6, 2018년, pp.926 - 932  

김종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대학원) ,  이영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난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대현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 ,  최웅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the addition of hazelnut (10, 20, 30 and 40%) including; water content, pH, hydrophilic and lipophilic substances, color, viscos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CE 저해활성과 항산화성이 뛰어난 헤이즐넛을 활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기능성이 향상된 청국장의 제조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청국장의 고부가 가치화와 제품다양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헤이즐넛을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의 제품 다양화와 고부가 가치화를 위하여 청국장 제조에 적합한 견과류인 헤이즐넛의 함량을 10~40%로 달리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과 AC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pH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헤이즐넛 첨가에 따른 변화는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의 효능은? 대두를 주원료로 한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인 청국장은 단백질 함량이 높은 중요한 식물성 식품원료이며(Kim 등 2004), 된장과 간장에 비해 발효기간이 매우 짧을 뿐만 아니라, 발효과정에 소금이 사용되지 않아 나트륨으로부터 자유로운 전통발효식품이다(Shon 등 2000). 최근 청국장에 골다공증 예방효과(Kim JS 1996), 혈전형성 억제능(Heo 등 1998),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효과(Kwon HJ 1999), 체중감소 및 혈압강하효과(Yang 등 2003) 등이 밝혀지고, 제품의 형태가 환, 분말, 과립, 음료 등으로 다양화됨에 따라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청국장이란? 대두를 주원료로 한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인 청국장은 단백질 함량이 높은 중요한 식물성 식품원료이며(Kim 등 2004), 된장과 간장에 비해 발효기간이 매우 짧을 뿐만 아니라, 발효과정에 소금이 사용되지 않아 나트륨으로부터 자유로운 전통발효식품이다(Shon 등 2000). 최근 청국장에 골다공증 예방효과(Kim JS 1996), 혈전형성 억제능(Heo 등 1998),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효과(Kwon HJ 1999), 체중감소 및 혈압강하효과(Yang 등 2003) 등이 밝혀지고, 제품의 형태가 환, 분말, 과립, 음료 등으로 다양화됨에 따라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청국장의 품질을 고급화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 사례는? 청국장의 소비가 확대됨에 따라 청국장의 품질을 고급화하기 위한 시도는 재료의 다양화와 제조방법 변화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청국장 제조방법의 변화를 통해 품질향상을 시도한 것으로 원료 콩을 각각 암조건과 명조건하에서 싹 틔운 후 청국장을 제조하여 아미노산 함량 및 이화학적 성분의 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Choi 등 2007b; Kim 등 2007), 청국장의 맛성분 함량과 기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훈연공정을 도입한 시도도 보고되고 있다(Choi 등 2014; Ko 등 2014). 청국장의 재료 다양화를 위한 연구로 율무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고한 바 있으며(Park 등 2011), 황기 첨가에 따른 청국장의 항산화 활성과 ACE 저해효과 상승을 확인한 사례도 보고되었다(Choi 등 2007a). 호두를 20% 첨가한 청국장의 항산화 활성과 관능적 특성이 모두 우수하다는 결과도 보고된바 있다(Park 등 2015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a WS, Bok SK, Kim MU, Chun SS, Choi UK, Cho YJ.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Appl Biol Chem 43:247-252 

  2.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a.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356-363 

  3. Choi SJ, Ko HM, Choi WS, Lee NH, Choi UK. 2014. Chang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smoked soybeans. Korean J Food Nutr 27:280-286 

  4. Choi UK, Ji WD, Chung YG. 1998. Characteristics of chunggugjang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DC-2.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846-851 

  5.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Kwon OJ, Kim YC, Hwang YH. 2007b.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by the degree of germination of raw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6:734-739 

  6. Choi WS, Lee NH, Choi UK. 2017.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using hazelnut. Korean J Food Nutr 30:1229-1234 

  7. Choi WS, Park HY, Choi U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e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by the addition of smoking process. Korean J Food Nutr 28:493-498 

  8.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1637-1648 

  9. Gorjes N, Moeini R, Memariani Z. 2018. Almond, hazelnut and walnut, three nuts for neuroprotection in Alzheimer's disease: A neuropharmacological review of their bioactive constituents. Pharmacol Res 129:115-127 

  10. He R, Ma H, Zhao W, Qu W, Zhao J, Luo L, Zhu W. 2012. Modeling the QSAR of ACE-inhibitory peptides with ANN and its applied illustration. Int J Pept 620609 

  11. Heo S, Joo HK, Lee SK.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ppl Biol Chem 41:119-124 

  12. Hong HK, Shin HS. 1978.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hazelnut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10:361-365 

  13. Hong SW, Kim JY, Lee BK, Chung KS. 2006. The bacterial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enriched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48-553 

  14. Hwang SH, Chung HS, Kim SD, Youn KS. 2004. Effect of Glycyrrhizia uralensis extract addition on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571-575 

  15. Kameda, Y, Ouhira S, Matsui K, Kanatomo S, Hase T, Atsusaka T. 1974. Antitumor activity of Bacillus natto isolation characterization of surfactin in the culture medium of Bacillus natto KMD 2311. Chem Pharm Bull 22:938-944 

  16.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94-298 

  17.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n Soybean Digest 13:17-24 

  18. Kim MH, Kang WW, Lee NH, Kwon DJ, Kwon OJ, Chung YS, Hwang YH, Choi UK.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76-680 

  19. Ko HM, Choi SJ, Choi WS, Lee NH, Choi UK.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the smoked soybeans. Korean J Food Nutr 27:214-279 

  20. Kwon HJ. 1999. Bioactive compounds of soybean and their activity in angiogenesis regulation. Korean Soybean Digest 16:63-68 

  21. Lee BY, Kim DM, Kim KH. 199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599-604 

  22. Lee MY, Park SY, Jung KO, Park KY, Kim SD. 2005.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various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J Food Sci 70:191-196 

  23. Liu C, Fang L, Min W, Liu J, Li H. 2018. Exploration of 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angiotensin-I-converting enzyme (ACE) and th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hazelnut (Corylus heterophylla Fisch.). Food Chem 245:471-480 

  24. Masthoff LJN, Mattsson L, Zuidmeer-Jongejan L, Lidholm J, Andersson K, Akkerdaas JH, Versteeg SA, Garino C, Meijer Y, Kentie P, Versluis A, Jager CFH, Bruijnzeel-Koomen CAFM, Knulst AC, Ree R, Hoffen EV, Pasmans SGMA. 2013. Sensitization to Cor a 9 and Cor a 14 is highyl specific for a hazelnut allergy with objective symptoms in Dutch children and adults. J Allergy Clin Immunol 132:393-399 

  25. Nitride C, Mamone G, Picariello G, Mills C, Nocerino R, Berni Canani R, Ferranti P. 2013. Proteomic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new food allergen from hazelnut (Corylus avellana). J proteom 86:16-26 

  26. Park HY, Choi HE, Jo YI, Choi UK. 2016.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by addition of walnut. Korean J Food Nutr 29:628-634 

  27. Park HY, Choi WS, Choi UK. 2015a. Changes in taste component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by the addition of smoking process. Korean J Food Nutr 28:499-506 

  28. Park HY, Ryu BS, Choi UK. 2015b.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onggukjang by addition of walnut. Korean J Food Nutr 28:1004-1010 

  29. Park JH, Lee KW, Cho KD, Kim SS, Lee BH, Lee HJ, Han CK. 2011.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dded with job's tears on body weight gains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09-415 

  30. Shon MY, Seo KI, Lee SW, Choi SH, Sung NJ.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the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936-941 

  31. Toyomizu M, Chung CY. 1968. Studies on discoloration of fishery products-V:mechanism of rusting in amino acidreducing sugar-lipid system. Jpn Fisheries Sci 34(9):857-862 

  32. Yang JL, Lee SH, Song YS. 2003. Improving effect of powders of cooked soybean and cheonggukjang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99-9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