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국장 발효시의 성분 변화 및 펩티드의 생성
Changes in Compon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ook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1, 2011년, pp.124 - 131  

안용근 (충청대학 식품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국장으로부터 펩티드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을 $40^{\circ}C$에서 180시간 발효시키면서 성분 변화와 펩티드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pH는 초기에 7.07을 나타낸 이후 24시간에 pH 7.41, 이후 점차 증가하여 180시간에 pH 8.63을 나타냈다. 산도는 12시간에 0.2, 24시간에 0.5를 나타낸 이후 0.1로 고정되었다. 총당은 초기에 1.54 mg/$m\ell$이었으나, 점차 저하하여 48시간에 0.76 mg/$m\ell$, 120시간에 1.0 mg/$m\ell$, 180시간에 0.8 mg/$m\ell$이었다. 환원당은 초기에 0.14 mg/$m\ell$, 24시간에 0.88 mg/$m\ell$, 48시간에 0.64 mg/$m\ell$, 72시간에 0.26 mg/$m\ell$를 나타내고 180 시간까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유리 아미노산 양은 초기에 $0.19\;{\mu}M/\ell$, 72시간에 $4.88\;{\mu}M/\ell$, 120시간에 $5.5\;{\mu}M/\ell$이었고, 이후 급격하게 저하하여 180시간에 $0.23\;{\mu}M/\ell$이었다. 280 nm에서의 단백질과 펩티드의 흡광도는 48시간에 12.40, 120시간에 31.12, 180시간에 31.12였다. HPLC 분석 결과, 발효가 진행될수록 큰 분자량의 단백질은 여러 크기의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었고, 48시간 후는 유형이 거의 같았다. Protease 활성은 발효 36시간에 0.011 unit/$m\ell$로 가장 높았고, 이후 저하하였다. 이상과 같이 청국장은 발효 100시간 후 부터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가 많이 시작되었으므로 펩티드 같은 유용물질은 발효 100시간 이내에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content and peptid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from Cheonggookjang(fast-fermented soybean paste), fermenting it for 180 hours at $40^{\circ}C$. Results showed that pH was 7.07 at the start and became 7.41 in 24 hours, it eventually increased to 8.63 after 180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청국장의 펩티드 생성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없다. 본 연구는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킨 청국장의 pH, 산도, protease, 단백질, 아미노산, 당 등의 경시적 변화와, HPLC로 단백질이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가는 형태를 분석한 결과로, 청국장에서 생리활성 펩티드 등을 생산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에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청국장은 항산화(Hwang 등 2009), 혈전 용해(Lee 등 2005; Sohn 등 2008ab), 항생물질 분비(Ahn KJ 2009), 혈당 및 혈청지질 감소(Kim 등 2008), 암세포 억제(Min 등 2008), DNA 손상 회복(Song 등 2008) 작용 등 비만, 암, 혈전, 당뇨, 고혈압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가루, 환, 캡슐 등 건강식품으로 쓰이고 있다(Yang 등 2009). 청국장에서 분비되는 점질물은 글루탐산 중합체인 γ-polyglutamic acid(γ-PGA)와 프룩토오스 중합체인 레반(levan)이다.
청국장균이 콩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중간산물로 생산하는 것은 무엇인가? 펩티드는 수많은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청국장균이 콩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중간산물로 생산한다. 청국장 발효에 따른 단백질 및 아미노산 변화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Park KI 1972), 낫토균으로 발효시키면서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종류와 양을 분석한 결과(Sung 등 1984), 낫토균과 청국장균에 의한 발효 시 단백질, 아미노산, 암모니아의 양(Park KI 1972), 단백질가수분해 효소력이 강한 Bacillus subtilis 균주를 분리한 결과(Ahn 등 2006)가 있다.
청국장에서 악취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natto 등의 세균이 분비한 protease가 콩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아미노산을 생성한다(Lee 등 1971; Oh 등 2009).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세균의 시스테인 분해효소가 황화수소를 발생시키고, deaminase가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를 암모니아로 탈아미노시키고, decarboxylase가 카르복시기와 탄소사슬을 이산화탄소로 탈탄산 분해시키며 악취를 낸다. 이 같이 청국장은 보존성이 없어서 식품공전(KFIA 2000) 상에 보존료(방부제)를 허용하고, 가정에서는 냉동하여 보존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안용근. 1994. 단백질정량. 효소단백질 정제법. pp.63-64. 양서각 

  2. 안용근. 1995. 아미노산의 정량. 생화학실험법. pp.18-19. 양서각 

  3. Ahn KJ. 2009. Characterization and production of antibiotic by Bacillus subtilis 028-1, a Chungkookjang fermenting strain. Korean J Microb 45:185-192 

  4. Ahn YS, Kim YS, Shin DH. 2006.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with high protease activity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82-87 

  5. Bok JY. 1993.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eam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and in alkylpyrazines during aging of chungkookjang. Ph D. Thesis. Chungang Uni. Seoul 

  6. Cho YJ, Cha WS, Bok SK, Kim MU, Chun SS, Choi UK.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247-252 

  7.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c 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350-356 

  8. Eom SM, Jung BY, Oh Hl. 2009.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J Appl Biol Chem 52:133-141 

  9. Hwang JS. Kim SJ, Kim HB. 2009. Antioxidant and blood-pressure reduction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Korean J Microb 45:54-57 

  10. Jung HJ, Nam ES, Park Sin. 2006a. The study on the consumption and the preference of Chungkukjang product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Nutrition 19:427-434 

  11. Jung HJ, Nam ES, Park Sin. 2006b.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Chungkukjang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Nutrition 19:416-426 

  12. KFIS(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2000. Food Code of Korea. pp.378-379 

  13. Kim SH, Jung SH, Kim IH, Lee YS, Lee JM, Kim JG, Lee MC, Choi MJ, Kim DJ. 2008. The effects of Chungkookjang biopolymer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ower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 37:35-41 

  14. Kim SK, Lee HC, Byun HG, Jeon YJ. 199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yellowfin sole skin gelatin. J Korean Fish Soc 29:246-255 

  15. KO HS, Cho DH, Hwang SY, Kim YM. 1999.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by Chungkuk-jang's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ition 12:1-6 

  16. Lee DG, Shin SY, Lee MK, Hahm KS. 1997. Fungicidal and hemolytic activity of cecropin A-magainin 2 Analogue peptides against Trichospoon beigelii and human red blood cells. Korean J Microb 33:170-174 

  17. Lee DS. 1977.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alcohol on the quality change of Chungkookjang during the aging. Culinary Research 3:239-257 

  18. Lee HJ, Suh JS. 1981.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1) Chan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during Chungkookjang-koji preparation. Korean J Nutrition 14:97-104 

  19. Lee JY, Paek JS, Kim YM. 2005. Medium optimization for fibrinolytic enzyme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MG410 isolated. Korean J Food Nutrition 18:39-47 

  20. Lee KH, Lee HJ, Chung MK. 1971. Study of Chung-Kook-Jang (I). On the changes of soy-bean protein in manufacturing Chung-Kook-Jang. J Korean Agric Chem Soc 14:191-200 

  21. Lee YL, Kim SH, Choung NH, Yim NH. 1992.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202-209 

  22. Min HK, Kim HJ, Chang HC. 2008.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f porphyran-chungkookjang on cancer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 37:826-833 

  23. Mok EK, Nam ES, Park SI. 2008. Surve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Chungkukjang in Seongnam area. Korean J Food Nutrition 21:366-373 

  24. Mok EK, Park SI. 2008. The study on the consumption and the preference of Chungkukjang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ngnam area. Korean J Food Nutrition 21:218-226 

  25. Nelson N. 1944. A photometric ada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375-379 

  26. Oh JH, Lee BJ, Jung SC, Back GS, Choi SG. 2009. Isolation of bacteria from Chunggukjang prepared by rice straw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 secreted. J Life Sci 19:397-402 

  27. Park KI. 1972a. Studies on the N-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Meju fermentation (1) Changes of soybean protein during Chung-Kook-Jang Meju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15:93-109 

  28. Park KI. 1972b. Studies on the N-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Meju fermentation (2) Amino acids of oligopeptides formed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15:111-142 

  29. Sohn BH, Song YJ, Oh KH. 2008a. Fibrinolytic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HK-12 isola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Biotech Bioeng 23:251-256 

  30. Sohn BH, Kwon SC, Oh KH. 2008b.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teomic analysis of Bacillus licheniformis HK-12 isolated from Chungkuk-Jang. J Korea Acad Indust Coop Soc 9:800-806 

  31. Son DH, Kwon OJ, Ji WD, Choi UK, Kwon OJ, Lee EJ, Cho YJ, Cha WS. 2000. The quality changes of Chungugjang prepared by Bacillus sp. CS-17 during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1-6 

  32. Song EJ, Kim HP, Ho DO, Heo MY. 2008. Protective effect of genistein and Korean fermented soybean(Chungkookjang) extract against benzo(a)pyrene induced DNA damage in HepG2 cells. Yakhak Haeji 52:376-383 

  33. Suh JS, Lee SG, Ryu MK, 1982.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 II. Chan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storage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5:309-314 

  34. Sung NJ, Ji YA, Chung SY.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2:273-284 

  35. Yang HR, Park SS, Lee JW, Lee KB, Han MK. 2009. Comparison of vitamin cont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in powdered Cheongkukjang dri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ition 22:192-198 

  36. You KO, OH YN, Kim BW, Nam SW, Jeon SH, Kim DE, Kim YM, Kwon HJ. 2005. Isolation of Bacillus sp. producing poly- $\gamma$ -glutamic acid with high efficiency and its characterization. Korean J Microb Biotech 33:200-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