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미 품종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s from Brown Rice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6, 2018년, pp.949 - 956  

김현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병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유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병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of brown rice cultivars, to select good cultivar to be used for processing of mixed-rice in the food industry. Proximate compositions, phytic aci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were signif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현미의 식미 향상 및 질감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Kim 등 2012), 한국에서는 쌀 소비 확대를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Cho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산업에서 가공용 또는 혼반용 등으로 활용 가능한 우수한 품종 선정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육성된 많은 품종들 중에서 11품종을 선정하여 현미에 대한 기능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추후 품종 선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란 무엇인가? 현미(whole grain, brown rice)는 벼(rough rice)의 왕겨(hull)를 제거한 것으로 지방,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 및 각종 미네랄과 효소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Mo 등2006; Lee 등 2016). 또한, 현미에는 α-tocopherol, α-tocotrienol, γ-tocopherol, γ-aminobutyric acid(GABA), arabinoxylan, ferulic acid, vitamin B 1 , vitamin E 등과 같은 항산화, 항당뇨, 항고혈압, 면역기능 증진 등의 생리기능성 물질들이 백미, 보리 및 밀 등의 기타 곡물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Ha 등 1999; Krishna 등 2001; Kang 등 2003; Kim 등 2004; Moon 등 2010).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하는 쌀 소비 확대 정책은 무엇인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쌀 소비 확대 정책으로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쌀 가공 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가공용 쌀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 중장기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Park 등 2016). 또한, 농촌진흥청은 가공용으로 적합한 다수성 벼와 밥쌀용 벼로 구분하여 품종을 육성하고, 재배 및 생산하는 등 쌀 품종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다.
현미의 생리기능성 물질은 무엇인가? 현미(whole grain, brown rice)는 벼(rough rice)의 왕겨(hull)를 제거한 것으로 지방,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 및 각종 미네랄과 효소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Mo 등2006; Lee 등 2016). 또한, 현미에는 α-tocopherol, α-tocotrienol, γ-tocopherol, γ-aminobutyric acid(GABA), arabinoxylan, ferulic acid, vitamin B 1 , vitamin E 등과 같은 항산화, 항당뇨, 항고혈압, 면역기능 증진 등의 생리기능성 물질들이 백미, 보리 및 밀 등의 기타 곡물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Ha 등 1999; Krishna 등 2001; Kang 등 2003; Kim 등 2004; Moon 등 2010). 그러나 현미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현미는 단단한 껍질과 phytic acid 등으로 인하여 식감이 거칠고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주로 한국을 포함한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백미를 주식으로 섭취 하고 있는데, 이는 현미가 가수율이 낮고 식감이 거칠며 딱딱 하기 때문이다(Park &Woo 1991; Ohtsubo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Wahsh IA, Horner HT, Palmer RG, Reddy MB, Massey LK. 2005. Oxalate and phytate of soy foods. J Agric Food Chem 53:5670-5674 

  2. Anderson RL, Wolf WJ. 1995. Compositional changes in trypsin inhibitors, phytate, saponins and isoflavones related to soybean processing. J Nutr 125:581-588 

  3. Arano MB, Cano A, Acosta M. 2001. The hydrophilic and liphophilic contribution to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73:239-244 

  4.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70-76 

  5. Cheryan M, Rackis JJ. 1980. Phytic acid interaction in food systems. CRC Crit Rev Food Sci Nutr 13:297-335 

  6. Cho DH, Park HY, Lee SK, Park JY, Choi HS, Woo KS, Kim HJ, Sim EY, Won YJ, Lee DH, Oh SK. 2017.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in various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62:172-183 

  7.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130-138 

  8. Deng GF, Xu XR, Guo YJ, Xia EQ, Li S, Wu S, Chen F, Ling WH, Li HB. 2012.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property and their lipophilic and hydrophilic phenolic contents in cereal grains. J Func Foods 4:906-914 

  9.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36-341 

  10. Jeong MS, Ko JY, Song SB, Lee JS, Jung TW, Yoon YH, Oh IS, Woo KS.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using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785-1790 

  11. Kang MY, Nam SY, Shin SH. 2003.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solvent-fractionated layers of colored rice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951-958 

  12. Kim JM, Yu M, Shin M. 2012. Effect of mixing ratio of white and germinated brown ri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ies of extruded rice flours. Korea J Food Cook Sci 28:813-820 

  13. Kim KC, Hwang IG, Kim HY, Song HL, Kim HS, Jang KI, Lee J, Jeong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neral, oxalate and phytate contents of tofu manufactured by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86-991 

  14.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i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ns. Korea J Food Sci Technol 36:930-936 

  15. Krishna AGG, Khatoon S, Shiela PM, Sarmandal CV, Indira TN, Mishra A. 2001. Effect of refining of crude rice bran oil on the retention of oryzanol in the refined oil. J Am Oil Chem Soc 78:127-131 

  16. Lee KH, Ham H, Kim HJ, Park HY, Sim EY, Oh SK, Kim WH, Jeong HS, Woo KS. 2016.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variety. Korean J Food Nutr 29:145-152 

  17. Lee KH, Kim HJ, Lee SK, Park HY, Sim EY, Cho DH, Oh SK, Lee JH, Ahn EK, Woo KS. 2017.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rown rice according to addition rate and cook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350-357 

  18. Lee YR, Woo KS, Kim KJ, Son JR, Je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Food Sci Biotechnol 16:765-770 

  19. Li HB, Wong CC, Cheng KW, Chen F. 2008. Antioxidant properties in vitro and total phenolic contents in m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LWT-Food Sci Technol 41:385-390 

  20.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21. Mo KH, Choi YM, Choi SG, Lee JS. 2006. The change of some compounds in brown rice germinated by filtrate of loess suspension. J Agric Life Sci 40:41-48 

  22. Moon GS, Kim MJ, Jin MH, Kim SY, Park SY, Ryu BM. 201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stored in an unused tunnel. Korean J Food Cook Sci 26:220-228 

  23. Ohtsubo K, Suzuki K, Yasui Y, Kasumi K. 2005. Biofunctional components in the processed pre-germinated brown rice by a twin-screw extruder. J Food Compos Anal 18:303-316 

  24. Park CK, Hwang IK. 1994. Effect of coagulant concentration and phytate addition on the contents of Ca and P and rheological property of soybean cu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55-358 

  25. Park HW, Woo KJ. 1991. The hydration properties and the cooking qualities of various brow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7:25-40 

  26. Park HY, Shin DS, Woo KS, Sim EY, Kim HJ, Lee SK, Won YJ, Lee SB, Oh SK. 2016. Mechanical quality evaluation of rice cultivars that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produce processed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61:145-152 

  27. Park SJ, Park KW, Shin MS. 2011.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high-yielding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Korean J Food Cook Sci 27:735-743 

  28.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152-159 

  29. Sandberg AS, Carlsson NG, Svanberg U. 1989. Effects of inositol tri-, tetra-, penta-, hexa-phosphates on in vitro estimation of iron availability. J Food Sci 54:159-186 

  30. Strong FM. 1974. Toxicant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Nutr Rev 32:225-231 

  31. Woo KS, Song SB, Ko JY, Kim YB, Kim WH, Jeong HS. 2016.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ccording to cultivated methods. Korean J Food Nutr 29:134-143 

  32. Yoon MR, Lee JS, Lee JH, Kwak JH, Chun A, Won YJ, Kim BK. 2014. Comparison of textural properties in various types of brown rice. Korean J Food Nutr 27:294-3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