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CVC의 투자동기 및 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CVC 9개사(社)의 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CVC's Investment Motivations and Investment Decision Factor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3 no.6, 2018년, pp.27 - 38  

조세근 (중앙대학교 창업학) ,  한주희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CVC(Corporate Venture Capital)가 투자했던 기술창업기업에게 공통으로 보이는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찾고 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2015년 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3년 6개월 동안 기술창업기업에 투자했던 17개 CVC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종적인 9개 CVC를 확정하였고 피투자기업 188개를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VC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CVC의 투자동기로 4가지가 확인되었는데, 첫째, CVC는 강화형 투자에 집중하였으며, 둘째, 피투자기업의 업력으로는 초기에는 평균 19개월의 기술창업기업에게 투자하다가 최근에는 36개월의 검증된 기술 창업기업에 투자하였으며, 셋째, 피투자기업의 업종으로는 ICT서비스가 주를 이루었고, 넷째, 피투자기업의 단계로는 Series A~B의 단계에 집중되었다. CVC의 투자 결정요인에서는 제품/서비스와 모기업 연관성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피투자기업의 창업선행요인으로는 혁신성, 기술 기능적 역량, 사업계획 수립 역량 등의 요인들이 크게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이 CVC 투자 결정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CVC의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의 이해는 피투자자 대상의 창업 및 경영 교육프로그램, CVC의 투자 프로세스 수립에 근거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CVC의 창업기업 투자 시 우수기업 선별, 창업교육 프로그램, 멘토링, 코칭 가이드라인 개발, 기타 투자기관의 투자 프로세스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mmon investment decision factors for CVC's invested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analyze them. We examined 17 CVCs that invested in technology startups for three years and six months from 2015 to June 2018. As a result, the final 9 CVCs that can be used 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연구자 입장에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며,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6개월의 기간 동안, 9개CVC의 188건 투자사례를 바탕으로 CVC의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여 이를 제시하고 우수 창업기업에게 시사점을 제시하여 CVC 투자 유치 성공률을 제고하고자 한다.
  • 김현중(2013)의 연구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국내 CVC는 40개의 기업이 운영 중으로 확인하였으며, 그의 연구에 준거하여 KVCA(2017) 연간보고서에 수록된 회원사 및 비회원사를 확인 결과, 2017년 기준으로 50개의 CVC가 운영 중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50개 CVC를 대상으로 연구하고자한다.
  • 최근 3년간 ‘CVC 연구’를 Google Scholar, EBSCO,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 등에서 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기업벤처캐피탈,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사내캐피탈 등으로 교차탐색하였는데 그 결과, CVC에 대한 연구가 31편에 이르는데, CVC의 가치에 대한 연구가 19편, CVC의 투자포트폴리오 관리에 대한 연구 10편, CVC 피투자기업의 투자 유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1편, CVC 투자동기에 대한 연구 1편으로 CVC의 중요함을 인식하면서도 CVC의 투자동기나 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CVC투자동기, CVC 투자 결정요인, CVC 투자 결정지표에 주목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3년 6개월의 CVC 투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CVC 투자의 특성과 평가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9개 CVC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투자동기와 평가 기준을 밝혀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3년 6개월의 CVC 투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CVC 투자의 특성과 평가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9개 CVC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투자동기와 평가 기준을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 연구들에 준거하여, CVC는 재무적 수익 즉 수동적 투자유형을 추구하는 기존 VC와 다른 투자형태를 보일 것이며, 투자 유형으로 추진형, 강화형, 개척형, 수동형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CVC는 기존의 VC의 주 투자 대상인 일정수준 이상의 검증된 후기단계 기술창업기업에 투자하는 것과는 다른 투자 형태를 보일 것이라는 논거에 의하여, CVC의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CVC 투자의 전략적 목적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타당성을 확보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사례연구 특성상 연구과정에서 도출되는 의사결정상황에서 다양한 타당성 전략이 활용되었다. 우선, 중재집단을 구성하여, 사례 CVC 선정, 사례연구 결과, 투자동기 및 투자 결정요인 등을 검증하였다.
  • CVC를 탐색적 연구하였기에, CVC 투자 내용을 가장 잘 아는 본 연구 대상에 포함되는 CVC 심사역에게 검증 받으며, 본 연구 사례에 포함된 9개 CVC 중 5개 CVC의 담당자에게 검토 받았고 일부 수정된 부분을 재정리하여 중재집단에게 검증 받고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례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CVC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분석 단위를 CVC로 설정하고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2018b) 벤처투자정보센터에 의하면, 국내 CVC는 50여개가 등록 운영 중이나, 24개 CVC만이 최근 4년내에 연 1회 이상 투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3년 6개월 동안 연3회 이상 기술창업기업에 투자했던 17개 CVC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도자료, 기술창업기업 투자정보 사이트, CVC 홈페이지 등에 공개된 자료를 기초하였다. 기사검색은 뉴스 및 검색포탈인 ‘네이버’와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플래텀’에서 ‘CVC 투자 유치’가 포함된 기사 34,614건(2018년 8월 현재)을 추출하였다.
  • THEVC에서는 상기 기준에 맞는 투자건 443건을 확인하였고 이중 신규 40건을 추가로 분석 자료에 포함하였다. 각 투자 건별로 9개 CVC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투자포트폴리오와 공시 자료를 조사하였고, 창업일 등은 중소기업현황 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를 중재집단이 검증하여 기준을 충족하는 188건의 CVC투자를 최종 선정하고 이를 본 연구의 활용하고자 데이터화 하였다
  • 본 연구의 서론에서 제기한 연구문제1(“CVC의 투자동기는무엇인가?”)에 확인하기 위하여 사례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따라서 투자 유형, 피투자기업의 업력, 피투자기업의 업종, 피투자기업의 단계 등을 탐색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CVC의 투자 결정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종합하여, CVC 투자 결정요인을 도출하였고 9개 CVC의 투자사례를 탐색하여 사례연구로 수행하였다. 본 사례연구 결과, CVC 투자동기에 대한 4가지의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는데, 첫째, 투자 목적에 따른 유형으로 강화형 투자에 집중하였으며, 둘째, 피투자기업의 업력으로는 초기에는 19개월의 평균을 보이다가, 최근에는 36개월의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투자하였으며, 셋째, 피투자기업의 업종으로는 ICT서비스가 주를 이루었고, 넷째, 피투자기업의 단계로는 Series A~B의 단계에 집중되었다.
  • 본 연구 결과에서는 CVC 투자 특징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있었으며, 특히 선행연구에서 확인하였듯이 CVC투자에 있어서 모기업의 전략적 확대를 목적으로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예비창업자나 초기 창업기업의 경우, 투자받고자 하는 CVC를 정하고 그 모기업의 현황 및 트랜드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준비를 하는 것이 CVC투자 유치에 유리하며, 일정기간의 업력을 갖추고, Series A~B의 단계에서 도전하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1) 투자행위가 2015년부터 2018년 6월 까지 기간에 이루어졌을 것. 2)투자사는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 된 CVC일 것.
  • 1) 투자행위가 2015년부터 2018년 6월 까지 기간에 이루어졌을 것. 2)투자사는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 된 CVC일 것. 3)피투자기업은 국내 기술창업기업으로서 4) 투자 당시 설립일이 7년 이내인 초기 기술창업기업일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VC는 무엇인가? CVC (Corporate Venture Capital)는 우리나라에서는 기업벤처캐피탈 또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이라고 하며, 주로 비금융권 대기업이 기술창업기업 등에 투자를 집행하고 이에 상응하는 지분투자자의 지위를 획득하는 벤처캐피탈 (VentureCapital)의 한 형태이다(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18a).CVC는 모기업의 기존 사업영역을 확장해 줄 수 있으며, 미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목적으로 운영되며, 이는 재무적 수익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독립 벤처캐피탈과 차이가 있으며, 운영 목적과 방법도 다르다(Basu et al.
CVC가 피투자자에게 어떤 효과를 주는가? CVC가 창업생태계 내에서 모기업인 대기업을 대신하여 전략적 목적을 수행하는데, 초기 기술창업기업에게 자금 투자하는 창구일 뿐만 아니라 경영 전반에 대해서도 지원하기 때문에 투자자와 피투자자 상호간 시너지 효과가 크며, CVC를 운영하는 모그룹은 기업 내부의 한계로 정체되어 있는 신사업모델, 제품, 기술 등을 보완하며, 이를 도입하여 내재화하기위한 혁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피투자자 입장에서는 자금지원, 기술, 보완적 자산, 경영 컨설팅까지 제공받는 효과가 있어 시너지 효과가 크다(Chesbrough, 2002).
각종 대기업 관련 규제가 재검토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우리나라도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협력을 이끌어낼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대기업의 투자를 막는 지주회사 규제나 벤처캐피털 규제 등은 대기업과 벤처기업 간 투자나 M&A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대기업 집단에 속하는 즉시 적용받게 되는 각종 대기업 관련 규제들은 벤처기업에게도 영향을 미쳐서 벤처기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김주완, 2018).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연구자 입장에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며,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6개월의 기간 동안, 9개CVC의 188건 투자사례를 바탕으로 CVC의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여 이를 제시하고 우수 창업기업에게 시사점을 제시하여 CVC 투자 유치 성공률을 제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bell, P., & Nisar, T. M.(2007). Performance Effects of Venture Capital Firm Networks, Management Decision, 45(5), 923-936. 

  2. Bahn, S. S., Andrew, Z. & Song, K. M.(2002). Evaluation Models for Venture Capitalists Investment Decis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U.S.,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19(2), 271-297. 

  3. Bahn, S. S., & Song, K. M.(2002). Evaluation Model and Factors for Investment Decision Making of Korean Venture Capitalist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42, 267-291. 

  4. Basu, S., Phelps, C., & Kotha, S.(2011). Towards understanding who makes corporate venture capital investments and wh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6(2), 153-171. 

  5. Belderbos, R., Jacob, J., & Lokshind, B.(2018). Corporate venture capital(CVC) investments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3(1), 20-34. 

  6. Cardullo, M. W.(1999). Technological Entrepreneurism: Enterprise Formation, Financing and Growth, Research Studies Press Ltd., Baldock, England. 

  7. Checkley, M., Higon, D. A., & Angwin, D.(2010), Venture Capital Syndication and Its Causal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Outcomes. Strategic Change, 19(5-6), 195-212. 

  8. Chemmanur, T. J., Loutskina E., & Tian X.(2014). Corporate Venture Capital, Value Creation, and Innovation. Review Financ Stud., 27, 2434-2473. 

  9. Chesbrough, H. W.(2002). Making Sense of Corporate Venture Capital. Harvard Business Review, 80, 90-99. 

  10. Cho, B. J.(1999). Case Study Methods Application to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Research Questions Development, Asia-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21(2), 139-159. 

  11. Gompers, P., & Lerner, J.(2000).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Venture Capital Success: Organizational Structure, Incentives, and Complementarities. In: Morck RK(ed) Concentrated Corporate Ownership.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7-54. 

  12. Han, M. S.(2017). Research on corporate venture capital syndication,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Ivanov, V., & Xie, F.(2006). Do Corporate Venture Capitalists Add Value to Startup Firms? Evidence from Venture-Backed IPOs, Unpublished Working Paper. 

  14. Jo, S. K., & Han, J. H.(2018). A Case Study on the Entrepreneurs of CVC-Funded Technology Startups, Korea Journal of Entrepreneurship, 13(5), 229-262. 

  15. Kim, B. G.(2017). The Impact do Corporate Venture Capital Investment Compani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einforcement of Export Cap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16. Kim, H. J.(2013). Investment Trends of Corporate Venture Capital,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8(2), 16-24. 

  17. Kim, J. S., & Hong, D. H.(2014).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Process of Corporate Venture Capital,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9(2), 16-25. 

  18. Kim, J. W.(2018, June 28). Grow unicorns, but ankle in regulation. Hankyung Business, Retrieved fr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62866351. 

  19. Ko, Y. H., & Lee, H. S.(2016). Interrelation Between Start-up Characteristic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Portfolio for Strategic Decis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2), 63-73. 

  20. Korea Venture Capital Association(2018a). Definition of venture capital, Retrieved (0828) from http://www.kvca.or.kr. 

  21. Korea Venture Capital Association(2018b). Venture Investment Center, Retrieved (0828) from http://www.kvca.or.kr/contents/business/official_noti ce.html?sm1_6. 

  22. Korea Venture Capital Association(2018c). SMEs Investment Road-Show, Retrieved (0828) from http://diva.kvca.or.kr/div/cmn/DivDiscl sMainInq. 

  23. KVCA(2017). 2017 KVCA Yearbook & VENTUR CAPITAL DIRECTORY, KVCA. 

  24. Lee, K. H.(2005). The Impact of Corporate Venture Capital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8(2), 153-174. 

  25. Lee, S. U.(2018). External Knowledge Sourcing Strategies through Corporate Venture Capital Investment,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6. Lee, S. U., Park, G., & Kang, J.(2018). The double-edged effects of the corporate venture capital unit's structural autonomy on corporate investors' explorative and exploitative innov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88, 141-149. 

  27. Lim, E. C., & Kim, D. H.(2017). A Study of Grandstan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Venture Capita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2(6), 85-94. 

  28. Lim, S. J., & Lee, J. D.(2006).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s in CVC Investment: Focused on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19(4), 1741-1759. 

  29. Miles, M. B., & Huberman, A. M., & Saldana, J.(201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methods sourcebook(3rd ed.), Thousand Oaks, CA: Sage. 

  30. NVCA(2018). Corporate Venture Investments, Retrieved (2018, 3 Sep) from http://nvca.org/research/corporate-venture. 

  31. Oh, J. S., & Kim, B. G.(2017). The Effect of the Risk Avoiding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Venture Capital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Invested Companies, Asia-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9(2), 89-107. 

  32. Pare, G., & Elam J. J.(2004). Investigating Information Systems with Positive Case Study Research,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3(Special Issue), 237-259. 

  33. Park Y. J., & Jung, T. H.(2017).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Syndicated Investment of Korean Venture Capital,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6), 65-77. 

  34. Patrick, R., Andreas, K., Andreas, K., & Hermann S. D.(2018). A world of difference? The impact of corporate venture capitalists' investment motivation on startup valuation,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88(3-4), 531-557. 

  35. Shim, J. S., & Yoon, B. S.(2017). The Effect of CVC on Technological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30(2), 231-251. 

  36. Siegel, A. W., Cousins, J. H., Rubovits, D., Parsons, J. T., Lavery, B., & Crowley, C.(1994).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Benefits and Risks of Their Own Risk-Taking,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 89-98. 

  37. Strong, D.(1992). Are Trophic Cascades All Wet? Differentiation and Donor-Control in Speciose Ecosystems,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73(3), 747-754. 

  38. Sykes, H. B.(1990). Corporate Venture Capital: Strategies for Succes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5, 37-47. 

  39. Wadhwa, A., Phelps, C., & Kothac, S.(2016). Corporate venture capital portfolios and firm innov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1(1), 95-112. 

  40. Wen, J., Yanga, D., Feng, G. F., Dong M., & Chang, C. P.(2018). Venture capital and innovation in China: The non-linear evidence.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46, 148-162. 

  41. Yin, R. K.(2016).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42. Yoon, B. S., Kim, J. S., & Jang, J. I.(2012). The Impact of the Corporate Venture Capital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of Investment,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Association, 41, 243-264. 

  43. Zacharakis, A. L., & Meyer, G. D.(2000). The Potential of Actuarial Decision Models: Can They Improve The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is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5(4), 323-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