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0, 2018년, pp.77 - 92
조성연 (국립춘천박물관 보존과학실) , 권윤미 (국립춘천박물관 보존과학실) , 최보배 (국립춘천박물관 보존과학실)
A stone seated bodhisattva (Sinsu5971) was discovered in Pyeongchang-gun, Gangwon-do in 1974 and was transferred to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upon its opening in 2002. The statue had damage to wide areas and was thus difficult to restore. This study utilized 3D scanning and 3D printing technolo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석조보살좌상은 어디에서 발견되었는가? | 석조보살좌상(신수5971)은 1974년 강원도 평창군에서 발견되었다. 2002년 국립춘천박물관이 개관하면서 옮겨진 보살상은 파손 부위가 넓어 복원이 쉽지 않았다. | |
보살상의 결실부를 어떻게 복원하였는가? | 2002년 국립춘천박물관이 개관하면서 옮겨진 보살상은 파손 부위가 넓어 복원이 쉽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3D스캐닝과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전체적인 형태와 손상정도를 파악하여 정확한 형태 복원이 불가능한 결실부를 복원하였다. 표면 장식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동형 X-선 형광분석기(p-XRF, Potable X-ray Fluorescence Analyzer)로 주성분을 분석한 후 보존처리하였다. | |
문화재의 복원에 어떤 시도가 새로이 도입되고 있는가? | 최근까지 문화재의 복원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근래 3D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에도 이를 적용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평창군 대화면에서 발견된 석조보살좌상은 2002년 국립춘천박물관이 개관하면서 보살상의 머리와 보관부분이 1/3 가량 결실되고 파손되어 전체적인 형상을 알 수 없이 전해져 왔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안료 비파괴 분석 길라잡이, p21,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6).
이희정,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佛石製 佛像의 등장과 유행, 불교미술사학 14, p35-70, (2012).
이해순.위광철, 3D 프링팅을 이용한 백자수주의 복원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16, p112-137, (2015).
한국광물자원공사, 광물자원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00612&cid42441&categoryId42441, (201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