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민참여형 마을녹화사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 모형 - 서울시 생활권녹화사업을 대상으로 -
Social Capital Formation Model in the Resident Participation Greening Projects - For the Greening Project of the Living Area in Seoul -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5 no.1, 2018년, pp.35 - 44  

이애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전공)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사회, 경제 그리고 환경적 문제들이 최근 다양한 시민 참여형사업으로 극복되고 있다. 이는 도시재생에서 마을 사업에 이르기까지 현장중심의 협력적 운영체계를 통한 지역 거버넌스와 주민주도의 파트너십이 성공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이 중 거주민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발성이 필요한 마을녹화사업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공유로 인해 다양한 참여주체들의 역할과 협력이 요구된다. 사회적 자본은 신뢰와 참여, 네트워크와 규범 등을 중심으로 한 관계자본으로 위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참여의 활성화에 핵심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녹지 체계를 생활권까지 확대하는 참여형 녹화사업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형성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의 주체 유형과 사업 진행의 구성요소, 사회자본 형성의 분석 요소를 문헌조사와 참여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추출하고 검증하였다. 이는 추후 도시의 참여형 생활권녹화확산에 지속가능성과 활성화전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모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have been recently overcome by various civic participation projects. Local governance and resident - led partnership through field - based cooperative operating systems from urban regeneration to village projects are conside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의 브레인스토밍은 본 사업에 장기간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선정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한 분석 변수에 대해 구체적인 진행 과정의 실증적인 항목을 추출하기 위하여 구성하였다. 2차의 심층인터뷰는 참여형 녹화사업에 대한 연구와 활동 경험이 많고 관련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을 대상자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 문헌 연구를 통해 추출한 지역커뮤니티관련 사업내용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의 분석 변수에 대해 FGI (전문가 심층면접)은 참여형 녹화사업의 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도출의 실증적 준거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2차의 심층인터뷰는 참여형 녹화사업에 대한 연구와 활동 경험이 많고 관련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을 대상자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문헌조사와 브레인스토밍에서 분석한 항목들에 대해 항목의 대표성과 측정 변수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녹음을 실시하여 녹기 하였고, 항목별로 분류하여 검증을 진행하였다.
  • 사회적 자본은 신뢰와 참여, 네트워크와 규범 등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의 관계자본으로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참여의 활성화에 핵심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의 녹지체계를 생활권까지 확대하는 참여형 녹화사업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형성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조사와 FGI를 통해 기존 연구사와 참여자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1차로 분석모형의 틀을 만들고 이 모형을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검토와 보완을 거쳐 참여형 녹화사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모형을 구축하였다.
  • 셋째, 사회적 자본을 적용한 실증연구는 계획 수준의 도시재생이나 마을 만들기의 사업 전후 정성적 평가에 그쳐 사업과정에서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사업 후의 지속성과 활성화에 대한 논의와 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사업 과정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 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형 마을녹화사업의 사업진행단계와 참여의 주체별사회적 자본 형성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대상 사업의 범위는 ‘꽃과 나무로 가득한 고향 같은 도시, 서울’ 조성을 슬로건으로 한 ‘서울 꽃으로 피다’ 이다.
  • 본 사업은 2013년부터 2017년의 5년간 ‘아파트, 상가·건물, 학교, 골목길, 동네 자투리땅, 띠녹지’ 의 6대 분야를 중점추진구역으로 선정하고 집중 지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서울시가 직접적으로 사업을 시행하기 않고 시민사회의 자발성과 건강성을 살릴 수 있는 지원방식을 취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으로 5년간 10회에 걸쳐시민정원아카데미를 통해 2,000명의 시민정원사를 양성하고, 시민봉사자로 활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화가 발생시키는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도시화는 커뮤니티해체와 지역성 상실의 사회적 문제, 녹지훼손과 파편화로 대표되는 자연환경적 문제, 낙후지역과 빈부격차의 경제적 문제들을 발생시켰다. 농촌과 같이 기존 커뮤니티와 지역성, 자연환경의 기반 등이 유지되어 있지 않은 현대의 도시는 도시재생이나 마을만들기 등 참여형 사업을 통한 새로운 도시공동체의 회복과 건강한 도시환경의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Park et al.
대구시 녹화사업의 문제점은? 이 사업은 단순히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서서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커뮤니티성의 계획 개념 하에 보행자 중심, 지역문화와 커뮤니티 공간의 연계 계획, 주민참여 중심의 민관파트너쉽의 프로그래밍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했다 (Shin 2009). 그러나 관 주도의 하향식 공원녹지 조성 방식과 운영체계의 미숙은 조성과 관리체계에 있어 참여주체간의 이해와 참여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일시적 사업으로 그치거나 예산 낭비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Kim et al. 2016).
도시녹화운동의 목적은? 2015). 이 중 도시녹화운동은 도시환경의 회복탄력성을 증가시켜 소규모 녹지 조성과 연결성 확보를 통한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도시 녹지의 창출과 관리의 중요한 사항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심신의 안정과 여가활동 증진 등 생태계서비스 제공으로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을 준다. 특히 대구시의 담장없애기를 시작으로 한 주민주도의 생활권 녹화운동은 녹화사업으로 확장되어 환경 및 정서적 효과, 지역 이웃의 사회적 개방 효과까지 가져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Y.C. 2004. Constructing the social capital indicators at local level.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8(3): 119-144. (in Korea) 

  2. Fukuyama, F. 1995. Trust: Th 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3. Humnath, B. and Kumi Y. 2009. What is social capit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cept.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7: 480-510. 

  4. Homans, G. 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5. Jacobs, J. 1961. The life and death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6. Jung Y.S. 2013.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determinentsof social capital in local community ph.D.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 

  7. Kim, W.L. and Koo J.H. 2011. The influence of making collaborative governance on building social capital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 focused on case of Seoul human town, livable Maeul-mandulgi.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6(4): 105-119. (in Korea) 

  8. Kim, Y.G. and Lee, A.R. 2016. Critical review about the character of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ting stakeholders in the improving alley landscape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2): 25-36. (in Korea) 

  9. Lee K.M. and Lee J.M. 2004. A study on factor promoting social capital in voluntary community of urban park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39(2): 271-284. (in Korea) 

  10. Mok, J.H. and Park, J.H.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conjugation of resident agreement for enha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district unit plan.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7(2): 109-126. (in Korea) 

  11. No, J.M.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aily-based activities and project-based activities on social capital in the regeneration project of residential areas. ph.D.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 

  12. Park, S.J. and Na J.M.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s on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Administration, 28(4): 31-51. (in Korea) 

  13. Putnam, R.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N.J., U.S.A. : 167 

  14. Putnam, R.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New York, U.S.A. : 9-18 

  15. Park, E.J. Lee, Y.S. and Ahn, C.H. 2011.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rden ba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Architecture 11(6): 117-125. (in Korea) 

  16. Park, S.H. Han, B.H. and Choi, J.W. and Choi, T.Y. 2015.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s of community greenway in Nam-Gu,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16-28. (in Korea) 

  17. Sin, J.L. 2009. A study on the greenway planning enhance the community environment. Master's Thesis, Seoul City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 

  18. Shin, J.J and Shin H.J. 2010. Research on the support for 'Maul-mandulgi' projects according to changes in residents' roles - a case study of Doksan3-dong,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0): 233-244. (in Korean) 

  19. So, J.K. 2004. Toward developing social capital index,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6(1): 89-117. (in Korea) 

  20. Song, I.J. 20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contribution to green park and its Activation Plan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Policy Report 153: 11-15. (in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