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유휴부지의 정원조성방안
Developing Gardens in Urban Idle Spa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1, 2021년, pp.327 - 335  

최재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연구는 도시 유휴공간 유형화를 통한 도시 내 정원 조성을 위한 새로운 공간 형태와 특성을 발굴하여 향후 정원 조성 시 활용가능한 가이드라인의 제시 및 그린인프라 확충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유휴공간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조성방안에는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지역사회의 재개발을 통해 지역 사회 혜택 및 도시재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의 건강과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도시생태계서비스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 귀중한 도시경관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 유휴공간은 도시생태계의 건강을 지원하고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그린인프라의 역할로서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imed to find new space types and characteristics for creating gardens in the city through the type of idle space in the city, present guidelines that can be used in creating gardens in the future, and establish basic data for expanding green infrastructur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dle sp...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0)

  1. K.B. Lee, K.P. Hong, H.J. Lee, "Evaluation of Citizens' Perception on the Utilization of Children's Parks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6, No.4, pp507-515, 2020. DOI : 10.17703/JCCT.2020.6.4.507 

  2. Yoo, S.,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expressed in the 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2018. 

  3. Kim, H., "A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Idle Spaces for Building Culture and Art Space : Focusing on Siheung," Master's Thesis. Hansei University, Korea, 2020. 

  4. Hwang, D., "A Study on the Space Design Policy for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Idle Space in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8. 

  5. Park, J.,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factors and value perception in the multiplex cultural space by utilizing unused spac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020. 

  6. N.Y. Baek, C.H. Min, "The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unused and misused space in the city," Design Forum 21, Vol.5, pp163-195, 2002. 

  7. D.H. Hwang, J.W. Chae, "A Study on the Space Design Policy for the Cultural Restoration of Vacant Spa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Vol.13, No.6, pp31-40, 2018. DOI :10.35216/kisd.2018.13.6.31 

  8. S.R. Park, J.G. Lee,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Vol.13, No.6, pp155-164, 2018. DOI : 10.35216/kisd.2018.13.6.155 

  9. Y.N. Kim, "A Study on Recycling Plan of Participatory Community Idle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tue of culture architecture, No.67, pp21-30, 2019. 

  10. M.S. Kim, K.S. Kim, "A Study on the Unused Space by Utilization Case for City Amenity -Focused on the Lower Part Space of Flyo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20, No.1, pp131-143,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