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사시대에 분화한 백두산 화산재의 화학 성분
Geochemical Composition of Volcanic Ash from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1, 2018년, pp.37 - 47  

윤성효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고정선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장철우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에서 역사시대에 분화한 화산재의 시료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주성분과 미량성분을 분석하였다. 화산재의 주성분 원소 함량은 $SiO_2$ 58.8~71.1 wt.%, $Al_2O_3$ 9.6~16.8 wt.%, ${Fe_2O_3}^T$ 4.5~6.9 wt.%, MgO 0.1~1.7 wt.%, CaO 0.3~1.6 wt.%, $Na_2O$ 5.2~6.3 wt.%, $K_2O$ 4.3~5.9 wt.% 그리고 $TiO_2$ 1.2 wt.%이하로 분석되었다. Ba, Cu, Cr. Co, Ni, Sr, V, Zn와 Zr을 포함하는 32개 미량원소가 분석되었는데, 이들 화산재는 일부 미량원소와 경희토류 원소의 부화정도에 따라 두 그룹(그룹 A, 그룹 B)으로 구분되며, 그룹 A에는 1천년 전의 밀레니엄 분화물, 1668년과 1903년 분화물이, 그룹 B에는 1702년 분화물이 해당된다. 중금속원소인 Cu, Co, Zn, Mn 등은 소량 함유되어 나타난다. 백두산 화산재는, 섭입대 기원의 일본 사쿠라지마 화산의 화산재와 비교하여, 미량성분원소 중 Y, Nb, Pb, U, Sc, V, Ni 그리고 Cu 함량은 낮게 나타나며, Zr, Ba, Hf, Cr, Co, Zn 그리고 희토류(Eu제외) 등은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canic ash samples of historical eruptions from Mt. Baekdu were analyzed for major oxides,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by a variety of analytical techniqu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hes consist of approximately 58.8~71.1 wt.% $SiO_2$, 9.6~16.8 wt.% $Al_2O_3$, 4.5~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화산재의 성분을 대표할 수 있는 역사시대에 분화한 백두산 부석의 지구화학적 성분 특성을 알아보고 동시에 2014년 분화한 수렴경계 섭입대 화산활동에 의해 생긴 일본 사쿠라지마 화산재를 채집하고 분석을 통해 지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백두산 부석 시료는 백두산 천지 외륜산 주변 산정부에 남아있는 부석층 및 천지 호숫가에 남아있는 화쇄난류(surge)퇴적층에서 신선한 것을 채취하여 주성분, 미량성분 및 희토류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주변에서 섭입대 화산작용으로 현재 화산 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 사쿠라지마(櫻島; Sakurajima) 화산의 화산재를 채취하여 이를 분석하였으며, 백두산 화산분출물의 함량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재란 무엇인가? 화산의 분화로 인해 생긴 모래와 실트 크기(직경 2 mm 이하)의 암석, 광물 그리고 화산유리의 미세한 들쭉날쭉한 조각들을 ‘화산재(volcanic ash)’라 부른다 (Fig. 1).
화산재의 이화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화산재는 불에 탄 목재, 나뭇잎, 또는 종이에 의해 생성되는 부드러운 솜털 같은 연소물이 결코 아니다. 화산재는 딱딱하고,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강한 연마성과 가벼운 부식성을 가지며, 젖은 경우 전도체가 된다(Heiken, 1974).
백두산의 화산재의 K2O 함량은 무엇에 따라 변화하는가? 백두산의 화산재는 높은 K2O를 성분을 나타내는데, 이는 제 4기 후기동안 일본에서 분출한 많은 화산재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K-장석이 B-Tm에는 특징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백두산이 강한 알칼리성을 가지는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Nakagawa and Ohba, 2002). TiO2가 감소함에 따라 K2O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분출할 때 마그마 속에 K-장석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yhurst, G.K., Wohletz, K.H., and Mason, A.S., 1994, A method for characterizing volcanic ash from the Decemver 15, 1989, eruption of Redoubt volcano, Alaska, Volcanic Ash and Aviation Safety;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Volcanic Ash and Aviation, U.S. Geological Survey Bulletin 2047, p.450 (Edited by Casadevall, T.J.), p.13-17. 

  2. Furukawa, R., Yoshimoto, M., Yamagata, K., 1997. Did Hokkaido Komagatake Volcano Erupt in 1694? - Reappraisal of the Eruptive Ages of 17th-18th Centuries in Hokkaido, Bulletin of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42, pp. 269-27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3. Furuta, T., Fujioka, K., and Arai, F., 1986, Widespread submarine tephras around Japan-Petrographic and chemical properties. Marine Geology, 72, 125-142. 

  4. Heiken, G., 1974, An atlas of volcanic ash, Smithonian Contributions to the Earth Sciences, 12, Smithonian Institution Press, City of Washington, 101p.. 

  5. JMA, 2015, 90. Sakurajima, Continuously Monitored by JMA(Jap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data.jma.go.jp/svd/vois/data/tokyo/STOCK/souran_eng/volcanoes/90 

  6. Kim, N.-H., Song, Y.-S., Park, K.-H., and Lee, H-S., 2009,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granite gneisses from the Pyeonghae area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baeksan Massif).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8, p. 3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uritani, T., Kimura, J., Miyamoto, T., Wei, H., and Shimano, T., 2009, Intraplate magmatism related to deceleration of upwelling asthenospheric mantle: Implications from the Changbaishan shield basalts, northeast China. Lithos, 112, 247-258. 

  8. Kuritani, T., Ohtani, E., and Kimura, J. I., 2011, Intensive hydration of the mantle transition zone beneath China caused by ancient slab stagnation, Nature geoscience, 4, 713-716. 

  9.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10. Machida, H. and Arai, F.,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from large lat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 151-164. 

  11. Machida, H., Arai, F., and Moriwaki, H., 1981, Two Korean tephras, Holocene markers in the Sea of Japan and the Japanese Islands, Kagaku, 51, 562-569(in Japanese). 

  12. Machida, H., Moriwaki, H., and Zhao, D.C., 1990, The recent major eruption of Changbai volcano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Geographical Reports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25, 1-20. 

  13. Machida, H., 1999. The stratigraphy, chronology and distribution of distal marker-tephras in and around Japan. Global and Planetary Change, 21, 71-79. 

  14. Nakagawa, M. and Ohba, T., 2002, Minerals in volcanic ash 1: Primary minerals and volcanic glass,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64(2), 1-51. 

  15. Nakagawa, M., Ishizuka, Y., Kudo, T., Yoshimoto, M., Hirose, W., Ishizaki, Y., Gouchi, N., Katsui, Y., Alexander, S., Steinberg, G.S. and Abdurakhmanov, A.I., 2002, Tyatya volcano, southwestern Kuril arc: Recent eruptive activity Inferred from widespread tephra. Island Arc, 11, 236-254. 

  16. Park, C.S., Shin, H.S., Oh, H., Moon, J.H., Cho, H., and Cheong, C.S. 2013,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geological reference materials G-3, GSP-2 and SGD-1a by low dilution glass bead digestion and ICP-MS, Geostandards and Geoanalytical Research, 37, 361-368. 

  17. Poitrasson, F. Duthou, J.L., and Pin, C.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petrology and Nd isotopes as evidence for contrasting anorogenic granite genesis: Example of the Corsican Province(SE France). Journal of Petrology, 36, 1251-1274. 

  18. Sun, C., Liu, J., You, H., and Nemeth, K., 2017, Tephrostratigraphy of Changbaishan volcano, northeast China, since the mid-Holocene. Quaternary Science Reviews, 177, 104-119. 

  19.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 42, 313-345. 

  20. Wei, F., Xu, J., Shangguan, Z., Pan, B., Yu, H., Wei, W., Bai, X., and Chen, Z., 2016, Helium and carbon isotopes in the hot springs of Changbaishan Volcano, northeastern China: a material connection between Changbaishan Volcano and the west Pacific plate?,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327, 398-406. 

  21. Wei, H.Q., Liu, G.M., and Gill, J., 2013, Review of eruptive activity at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implications for possible future eruptions, Bulletin of Volcanology, 75, 1-14. 

  22. Winchester, J.A. and Floyd, P.A., 1977,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n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ical Geology, 20, 325-343. 

  23. Yun, S.H.,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456-46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un, S.H. and Lee, J.H., 2012, Analysis of unrest signs of activity at the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1), 1-1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un, S.H., Lee, J.H., and Chang, C.W., 2013, A study on the change of magma activity from 2002 to 2009 at Mt. Baekdusan using surface displacement,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470-48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un, S.H., Koh, J.S., and Chang, C.W., 2015, Magma genesis of Holocene volcanism at Mt. Baekdusan, Abstract Book of 2015 Fall Joint Conference of Geological Science of Korea, 39, 517p. 

  27. Zhang, M., Guo, Z., Sano, Y., Cheng, Z., and Zhang, L., 2015, Stagnant subducted Pacific slabderived $CO_2$ emissions: insights into magma degassing at Changbaishan volcano, NE Chin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06, 49-63. 

  28. Zhao, D., Tian, Y., Lei, J., Liu, L., and Zheng, S., 2009, Seismic image and origin of the Changbai intraplate volcano in East Asia: role of big mantle wedge above the stagnant Pacific slab.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173, 197-206. 

  29. Zou, H., Fan, Q., and Yao, Y., 2008, U-Th systematics of dispersed young volcanoes in NE China: asthenosphere upwelling caused by piling up and upward thickening of stagnant Pacific slab. Chemical Geology, 255, 134-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