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지원을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프로그램 모의실행에 대한 요구조사 및 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Pre-Training Program' to Support Pre-Librarians' Library Practicum: Pre-Librarians' Needs and Satisfaction Assessment Before and After Running a Mock Pre-Training Program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1, 2018년, pp.253 - 275  

권선영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구정화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운영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방법을 구상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습참가자들의 사전 요구들을 분석하여 최종 사전교육 내용구성과 운영방법을 제안하였다. 5가지 교육주제와 세부항목들로 구성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도서관실습에 참여하려는 H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사전교육 직후 설문지법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사서들은 교육 중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발'에 대한 내용에 가장 큰 만족도와 선호를 보였고,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자아성찰 및 자기설계' 순서였다. 교육내용에 대한 사전요구와 만족도는 실습참여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인, 학업성적, 진로결정 유무 등에 따라 다른 선호도를 표하는 바, 사전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일괄적 교육보다는 실습참여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전교육 내용을 선택적이고도 융통성 있게 조합하여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prospective librarians in order to help them better prepared for library practic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analyzes pre-librarians' expectation and needs of the pre-training program and designs a mock pre-training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진행되어온 선행연구들은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만을 강조하고 제언하였을 뿐, 이 사전교육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관련분야(간호학 및 교육학)에서 논의된 사전교육 프로그램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예비사서들을 위한 도서관실습과 이를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제안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예비사서들인 실습준비생 들을 대상으로 운영하여 보고 이들의 만족도 결과를 바탕으로 이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실행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전교육’이라는 용어는 광의의 개념보다는 협의의 개념으로 실습교육의 전단계인 일종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으로 이해하고,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구성과 수행방법을 제언하는 것을 이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한다.
  • 나아가, 디자인한 사전교육을 프로그램 안을 실제로 실습준비생들에게 적용·실행해 보고, 그 결과 실습생들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하고, 그 내용을 기초로 앞으로 사전교육 프로그램에 구성될 교육내용과 운영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미국의 도서관실습의 종류로 ‘실습제도(Practicum)’,1) ‘현장연구(Field Projects)’,2)‘대학원과정의 인턴십(Pre-master‘s Internship)’,3)‘수련제도(Trainnee Prgram) 및 작업연구제도 (Work-Stduy Programs)’4)로 나누어 그 의미를 설명하고, 한국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 실습 교육의 형태들을 이 종류들과 정의에 비추어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교육목표를 살펴보았다. 사전교육과 관련하여 문헌정보학과 내에서는 선행연구가 전무한 바, 간호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전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참고하였다.
  • 사전교육 프로그램 내용구성과 실행방법을 구상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사전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확인하고, 실습 준비생들의 요구조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서관실습을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런 배경하에 본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을 지원하기 위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시행방법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이런 현실적인 필요와 요구가 있었음에도 그동안 문헌 정보학 내에서 이와 관련한 실증적인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사서들의 효율적인 도서관실습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에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수행한 연구과정과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내용을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의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현실에서는 예비사서들이 도서관실습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과 실망 그리고 심리적 압박과 불만을 토로한다. 실습생들은 실습장소 및 시기와 기간에 대한 불만과 의견 불일치, 실습교육 내용의 부실로 인한 실망, 실무실습자인 사서와 이용자와의 소통에 있어 어려움, 업무 규범을 이해하고 준수해야 한다는 부담과 스트레스 등을 주요 어려움으로 호소한다(이수영, 김유승 2012; 차성종 2015, 2017; 박지영, 박성재 2017). 도서관실습 교육 과정 중 빈번히 겪게되는 이런 어려움과 불만은 도서관실습이 현장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실습의 의의와 가치를 누리기 위한 노력은 고스란히 예비사서의 부담으로 남게 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예비사서가 경험하는 현장 실습의 어려움과 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원체제와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가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나아가, 예비 사서들에게 도서관실습 과정은 “문헌정보학이라는 학문과 사서라는 직업인에 대한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아인식과 개발을 돕는 필수과정”의 하나로 이해된다(차성종 2015, 356). 그러므로,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는 이후 도서관 및 정보센터 혹은 이와 관련된 직장 진출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고, 전문적인 자질을 갖춘 정보전문가로 성장하고 발전하 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구본영 1983; 김성준 2011; 차성종 2016; 박지영, 박성재 2017).
‘도서관실습’ 교육은 무엇인가? ‘도서관실습’ 교육은 문헌정보학 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도서관 및 정보 센터라는 현장에서 사서의 일을 참관 또는 경험해 봄으로 정보전문가로써의 역할과 실무를 이해할 수 있는 실천적인 교육과정으로 이해된다. 이는 단순히 대학에서 배운 교과내용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일 뿐 아니라, 대학의 이론과 현장의 실무를 연결하는 기회이며 담당 사서와 직원 그리고 이용자와의 인간적인 관계와 다양한 사회활동이 경험되는 종합적인 직무학습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차 성종 2016; 박지영, 박성재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구본영. 1983. 한국에 있어서 사서실습교육의 실태조사연구. 도서관학, 10(1): 3-37. (Koo, Bon-Young. 1983.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0(1): 3-37.) 

  2. 김문영. 1999.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8(1): 83-96. (Kim, Mun-Young. 1999. "Effect of self growth program on the state anxiety of nursing students before initial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1): 83-96.) 

  3. 김성준. 2011.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93-213. (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93-213.) 

  4. 김옥주. 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사전교육 내용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요구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133-149. (Kim, Ok-Ju. 2013. "A needs analysis of cooperating teachers on pre-training of education practicum contents for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5): 133-149.) 

  5. 김옥주. 2016a.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협장실습을 지원하는 사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영유아보육학, 101: 67-93. (Kim, Ok-Ju. 2016a. "A funda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pre-training program supporting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kindergarten practicum: Using the delphi method."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01: 67-93.) 

  6. 김옥주. 2016b.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을 지원하는 사전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36(5): 235-260. (Kim, Ok-Ju. 2016b. "The development of the pre-educational program model supporting the kindergarten field practi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5): 235-260.) 

  7. 김옥진, 이재창. 2007.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35-653. (Kim, Oc Jean and Jae Chang Lee. 2007.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creasing of self-concept, self actualization and career maturi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3): 635-653.) 

  8. 김의향 외. 2010. 우리나라 보육실습의 현황분석: 사전교육, 보육실습 운영내용, 순회지도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243-265. (Kim, Eui-Hyang et al. 2010.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Korean student teaching: Focus on orientation for child care practice, child care practice curriculum, and itinerary guida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5(3): 243-265.) 

  9.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2010.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박경민 외. 2011. 임상실습 사전교육 유형에 따른 간호학생의 불안과 실습만족도의 차이. 계명간호과학, 15(1): 1-10. (Park, Kyung Min et al. 2011.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on anxiety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5(1): 1-10.) 

  11. 박지영, 박성재. 2017. 활동이론을 적용한 사서인턴십 개선 방안 연구: 인턴십 참여자의 관점에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307-332. (Park, Zi-young and Sung-jae Park. 2017. "Enhancement of library internship reflecting participants' opinions based on activity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1): 307-332.) 

  12. 석은조, 이경화. 2009. 사전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이 느끼는 혼란과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3(1): 269-287. (Seok, Eun Jo and Kyung Ha Lee. 2009. "Confusions and difficultie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the pre-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1): 269-287.) 

  13. 유사라. 2012. 전문가양성을 위한 직무관찰식 인턴쉽 시행연구: 문헌정보학 전공사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13-129. (Yoo, Sarah. 2012. "A case study of job-shadowing internship program for information specialis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113-129.) 

  14. 유사라. 2014. 인턴기관(도서관) 실무자의 인턴쉽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진단 사례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89-205. (Yoo, Sarah. 2014. "Internee's assessment of library internship program: capturing of the use of LIS practicu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189-205.) 

  15. 이수영, 김유승. 2012.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S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147-168. (Lee, Su-Young and You-Seung Kim. 2012. "A study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s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case of S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147-168.) 

  16. 이여진. 2007. 임상실습 적응을 위한 e-learning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19(4): 593-602. (Yi, Yeo-Jin. 2007. "Developmentand evaluation of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4): 593-602.) 

  17. 이여진. 2008. Blended learning을 이용한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30-37. (Yi, Yeo-Jin. 2008.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clinical practicum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30-37.) 

  18. 이정원. 2015. 군에서의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11-23. (Lee, Jung Won. 2015. "Study on the effect of self-improvement programs in milita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11-23.) 

  19. 이제환 외. 2005.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4): 45-69. (Lee, Jae-Whoan et al. 2005. "Evaluation and requirement of librarians on LI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4): 45-69.) 

  20. 이춘자. 2008. 사전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내용 및 정서 분석. 육아지원연구, 3(2): 75-97. (Lee, Choon Ja. 2008. "An analysis o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contents and emotion during the pre student teac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3(2): 75-97.) 

  21.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55-379. (Cha, Sung-Jong. 2015.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355-379.) 

  22. 차성종. 2016.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문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57-491. (Cha, Sung-Jong. 2016. "A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design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457-491.) 

  23. 차성종. 2017.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인식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2): 133-156. (Cha, Sung-Jong. 2017. "A study of practical Instructors' recognition o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2): 133-156.) 

  24. Krueger, R. and M. Casey.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