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1, 2018년, pp.277 - 298
임정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대전 반석고등학교) , 이종욱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by showing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e collected 761 survey responses from high school students and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 범람하는 지식과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지식 정보사회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취사선택하는 능력이 중시된다. 이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비판적 사고력과 함께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김명숙 2002). | |
비판적 사고능력이란 무엇인가? | 정보활용능력은 정보요구의 파악 및 탐색,분석, 종합, 표현 기능의 총체이자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으로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이병기 2011). 비판적 사고능력은 주장이나 진술을 객관적인 근거에 의해 분석하는 사고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한면희 2000; 노경주 2003). 한편 비판적 사고능력을 지니기 위해서는 비판적으로 분석하려는 태도나 경향성 즉,비판적 사고성향(critical thinking disposition)도 함께 필요하다(김지은, 한규훈 2016). | |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 또한 미국전문교사자격 기준위원회(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와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Information power)에서도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과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student learning)에 대한 교육 및 전략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AASL 1998). 이처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기위해서 정보활용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
강희정. 2009.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방안.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ang, Hee-Jung. 2009. How to Improve Self-learning Ability through the Class Using the School Libra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김명숙. 2002. 공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방향과 쟁점. 철학연구, 58: 107-144. (Kim, Myung-sook. 2002. "Issues and Direction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Philosophical Studies, 58: 107-144.)
김원영. 2009. 미디어리터러시 활용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광고 읽기 및 만들기.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교육전공. (Kim, Won-young. 2009.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with Application of Media Literacy: Adverticement Reading and Production in Social Study Clas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김지은, 한규훈. 2016.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광고활용교육의 적용과 효과 검증. 광고연구, 108: 5-30. (Kim, Ji-eun and Kyoo-Hoon Han. 2016.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ing-In-Education Program in Fostering Critic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dvertising Research, 108: 5-30.)
노경주. 1994. Higher Order Thinking in the Teaching of Social Studies. 시민교육연구, 18: 271-305. (Roh, Kyung-joo. 1994. "Higher Order Thinking in the Teaching of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18: 271-305.)
박상준. 2006.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의 질문법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45(1): 121-152. (Park, Sang-Joon. 2006. "A Study on Questioning Method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45(1): 121-152.)
변정현. 2009. 초등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활동과 비판적 사고력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사회학연구, 19(4): 63-92. (Byun, Jung-hyun. 2009.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power of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9(4): 63-92.)
변정현. 2013.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녀 학생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419-446. (Byun, Jung-hyun. 2013. "A Study on Media Literacy Activities on the Critical Thinking Faculty of Learn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3): 419-446.)
서진원. 2010.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구현요소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15-236. (Suh, Jin-Won. 2010.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as a Practical Element of Constructivis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215-236.)
우윤희, 김종성, 이용구. 2013.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 실행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289-313. (Woo, Yun-hee, Jong-sung Kim, and Yong-gu Lee. 2013. "Action Research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n the Library U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289-313.)
이병기. 2006.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5-65. (Lee, Byeong-Ki. 2006. "A Study on the Model of Library Assited Instruction Ba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25-65.)
이병기. 2011.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1-50. (Lee, Byeong-Ki.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Tools of Performance Task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1-50.)
이병기. 2012. 정보활용교육론. 서울: 조은글터. (Lee, Byeong-Ki. 2012.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eoul: Joeungeulteo.)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Lee, Byeong-Ki.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by Guilford's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181-200.)
이정연. 2007.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67-85. (Lee, Jung-Yeoun. 2007.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67-85.)
이혜영. 2008.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척도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정보봉사 전공. (Rhee, Hey-young. 2008. The Study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Scales for Undergradu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채서일. 2005.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앰북스. (Chaiy, Seoil. 2005.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Seoul: bnmbook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학교도서관 평가 적용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03-4.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3. A Study on Evaluation and Educational Effect of School Libraries. Seou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CR 2003-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I: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0-R17.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of Young Adults.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earch Report 10-R17.)
한면희. 2000. 초등 사회과에서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모형 및 범례 자료 개발 연구. 사회과교육, 33: 35-71. (Han, Myun-Hee. 2000. "The Development of Model and Sample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33: 35-71.)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1998. Information power.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f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Washington, D. C.: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Ennis, R. H. 1996.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Their nature and assessability." Informal Logic, 18(2-3): 165-182.
Facione, P. A. 1990.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5-423.
Hinton, P. R., C. Brownlow, I. McMurray, and B. Cozens. 2004. SPSS Explained. New York: Routledg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Netherland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online]. [cited 2017.12.11]. .
Pitts, J. M. 1994. "Constructivism: Learning Rethought." School Library Media Annual, 10: 14-24.
Van Loon, J. E. and H. L. Lai. 2014.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s a Critical Thinking Framework in the Undergraduate Engineering Curriculum." Library Scholarly Publications,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