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장품 판매직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정신적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Symptoms of Female Workers in Cosmetics Sales - With a focus on spiritual resilience -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1 - 11  

정명희 (두원공과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일개 화장품 회사 판매직 근로자의 우울수준을 확인하고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화장품 회사 판매직 여성 근로자 189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 의사진단 질병, 우울,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우울증상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결과 화장품 판매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증상률은 32.3%이었다. 우울증상 고위험군에 대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복탄력성(OR : 3.84, CI : 1.68-8.77), 의사진단 질병(OR : 3.82, CI : 1.73-8.47), 감정부조화(OR : 2.51, CI : 1.06-5.96), 직무요구도(OR : 2.12, CI : 0.93-4.85)가 우울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감정노동 저위험군을 기준값으로 나이, 의사진단, 직무스트레스를 보정하여 회복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증상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이 높고 회복탄력성이 좋은 경우는 우울증상이 2.35배(CI : 0.73-7.53) 높았으며, 감정노동이 낮고 회복탄력성이 나쁜 경우는 우울증상이 3.74배(CI : 1.17-11.97), 감정노동이 높고 회복탄력성도 나쁜 경우에 우울증상이 10.39배(CI : 3.34-32.2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화장품 판매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증상 관리를 위해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 운영과 감정노동 관리를 통한 감정적 부조화를 줄이고 신체적 질병 관리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도록 하는 건강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epression level of sales workers at a cosmetics company in South Korea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their depression symptom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9 workers at the cosmetic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정노동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들은 감정노동이 소진, 우울, 스트레스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감정노동이 조직의 성과 지표나 직무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고, 감정노동을 완화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인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는 외식서비스 종사자,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바 있지만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그간의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이 감정노동에 상관관계 또는 영향만을 파악한 연구이어서 본 연구는 감정노동을 가장 많이 수행한다고 볼 수 있는 화장품 판매직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우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근로자들에게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정적 영향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일개 화장품 회사 판매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 수준을 확인하고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사회화의 흐름을 반영하 듯 한국 또한 서구와 마찬가지로 산업구조 및 노 동 형태가 제조업 생산직 중심에서, 서비스산업으로 변화하면서 기존의 육체노동과 정신노동 이외에 감정노동(Emotional Labour)이라는 새로운 노동형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감정노동이란 다른 사람의 정서를 위해 외적으로 관찰 가능한 표정이나 몸짓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정서를 관리하고 규제하는 노동으로 정의된다[2].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한국의 근로자의 비율? 이러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한국의 근로자들은 약 740 만명으로 전체 임금근로자의 41.9%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중 판매를 업무로 하는 근로자는 226 만명으로 약 12.7%를 차지하고 있다 [3]. 판매직 근로자의 지속적인 감정노동의 수행은 실제 감정과 다른 감정을 계속 고객에게 표현함으로써 스트레스가 축적되고 자기 정체성에 혼란을 느낄 수가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직무 소진으로 이어져 감정고갈과 냉소주의에 빠지기도 한다[4].
감정노동이 근로자에게 미치는 원인과 영향은? 7%로 높게 나타났으며, 감정노동군과 비감정 노동군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증상에 대한 김수연 등의 연구에서도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근로자에게서 우울증상률이 높다고 보고하였다[8, 9]. 또한 Morris 와 Feldmand 의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문제의 원인이 감정부 조화로 인한 심리적 웰빙 저하라고 지적하였고, 감정노동은 약물과 알콜 중독, 직무이탈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J. Kim, "Service industry employment relations and labor process," p.146-149, Korea Labor&Society Institute, (2011). 

  2.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3. S, K, Kim, "Occupational Safety & Health Guideline Emotional labor worker," p.17. Korea Occupay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5). 

  4. H. U. Lee, H. Lee, J. H. Kim,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on department store salespersons' customer orientation and sales performance,”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Vol. 13, No. 4, pp. 97-117, (2010). 

  5. C. M. Brotheridge, A. A. Grand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tives of "People Work"," J Vocat Behav, Vol. 60, pp. 17-39, (2002). 

  6. K. Pugliesi,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 Emot, Vol. 23, pp. 125-54, (1999). 

  7. A. A. Grandey,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 Occup Health Psychol Vol. 5, No. 1, pp. 95-110, (2000). 

  8. C. M .Park, S. Lee, H. G. Shin, B. S. Kang, M. K. Moon, J. J. Kim, J. H. Lee. "Study on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s industry; with focus on sales workers and call center operators," p. 130-135, Korea Labor Institute. (2012). 

  9. S. Y. Kim, S. J. Chang, H. R. Kim, J. H. Ro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dustrial service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4, No. 3, pp. 227-235, (2002). 

  10. J. A. Morris,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 No. 4, pp. 986-1010, (1996). 

  11. B. N. Kim, H. S. Oh, Y. S. Park,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pp. 14-23, (2011). 

  12. E. H. Park, S. B. Jeon, "The investigation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7, pp. 253-76, (2010). 

  13.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P. Grimbeck,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9, pp. 427-438, (2007). 

  14.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the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2, No. 3, pp. 381-99, (1993). 

  15. Korea Occupay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GUIDE H-163-2014 Emotional Labor Assessment Guidelines," (2014). 

  16. Korea Occupay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GUIDE H-67-2012 Job stress assessment guidelines," (2012). 

  17. K. Reivich, A. Shattea,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2003). 

  18. S. H. Kown, S. Y. Lee, "An analysi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7, pp. 137-157, (2010). 

  19. M. D. Kim, S. C. Hong, C. I. Lee, Y. S. Kwak, T. K. Shin, Y. H. Jang, E. H. Oh, J. W. Lee, B. H. Jeon, S. E. Hwang.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for residents in the urban part of Jeju Island, Korea," Int J Soc Psychiatry, Vol. 53, pp. 123-134, (2007). 

  20. S. H. Chu, H. C. Ryou, K. J. Bae, J. C. Song, S. J. Lee, I. A. Kim,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Ban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2, No. 4, pp. 316-323, (2010). 

  21. N. M. Kim,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5, No. 1, pp. 241-258, (2014). 

  22. S. L. Campbell., S. L. Cohan, M. B. Stein. "Relationship of resilience to personality,coping,and psychiatric symptoms in youngadul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4, No. 4, pp. 585-599, (2006). 

  23. S. J. Kim, K. Yoon, J. K. Kim,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of Food Service Employees-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Tourism Research, Vol. 42, No. 2, pp. 29-47, (2017). 

  24. W. Kim, T. Y. Hwang, B. J. Ham, J. S. Lee, B. H. Choi, S. J. Kim. (2007), "The impac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on productivity in worker : A preliminary study using WHO-HPQ(health and work performance questionnaire)," A Korean Neuropsychiatr Association, Vol. 46, No. 6, pp 587-595, (2007). 

  25. D. Durain, “Primary dysmenorrhea: assessment and management update,” J Midwifery Womens Health, Vol. 49, No. 6, pp. 520-528, (2004). 

  26. H. Takeuchi, T. Oishi, T. Harada, “Association between morningnesseveningness preference and mental/ physical premenstrual symptoms in Japanese females 12 to 31 years of age,” Chronobiol Int, Vol. 22, No. 6, pp. 1055-1068, (2005). 

  27. D. Holman, C. Chissick, P. Totterdell. "The effects of performance monitoring on emotional labor and wellbeing in call centers," Motiv Emot, Vol. 26, No. 1, pp. 57-81, (2002). 

  28. Y. H. Song, Y. J. Gong, I. A. Kim, W. J.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Job Stress and Intensity of Labor among Security Firm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0, No. 4, pp. 283-294, (2008). 

  29. Y. J. Lee, H. S. Jung, "Analysis on Female Worker's Job Stress in Sales and Retail Industries," Kore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8, No. 1, pp. 22-32. (2009). 

  30. Y. S. Ju, Y. J. Kwon, H. T. Kang, Y. K. Kim, “Occupational Distribution of Job Stress in Korea,”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5, No. 4, pp. 422-43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