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및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Flos extract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cne ski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43 - 54  

김송이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  리순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 독성, 항염증을 확인하고, 삼칠화 함유 화장품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수분, 홍반, 모공, 블랙헤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ial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었고,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주간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3% 함유된 스킨 토너와 스팟 솔루션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수분 증가와 홍반지수, 눈에 띄는 모공수, 블랙헤드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사용 후 만족도 조사에서 피지량 감소, 붉음증 완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칠화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여드름 관리용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Panax Notoginseng Flos Ethanol Extract has anti-oxidant activity, cytotoxicity for skin cell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osmetics Panax Notoginseng Flos Ethanol Extract was applied to acne skin to analyze moisture, erythema, pores, and blackberri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칠화를 5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과 RAW 264.7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염증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고,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유분, 수분, 모공, 멜라닌, 홍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DPPH radical은 매우 안정한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이며, 대조군과의 결과 비교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능성 식물이나 약용 추출물 시료의 항산화 활성 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32,33]. 본 연구에서도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i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Fig. 3). 실험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vitamin C는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드름의 원인이 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cnes)가 피지를 triglyceride와 유리 지방산으로 가수분해하면서 염증이 일어나게 되고 모공이 두꺼운 각질로 채워져 그 결과 피지가 모낭관 밖으로 배출되지 못 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여드름은 모낭 내 상주하는 P. acnes에 의한 생리적 요인(ehysiolo gical elem ents),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요인(psychological elements), 모낭관 출구의 폐쇄에 의한 물리적 요인(physical elements), androgen과 estrogen 분비의 증대가 피지선 기능 항진 또는 표피 각화를 촉진시켜 면포를 형성하는 내분비 요인(hormonal elements) 및 유전적 소인 등 다양한 주요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3-7]. 특히 여드름의 발생원인 중 피부의 염증 반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염증 반응에서 대식 세포는 iNOS 의 발현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Nitric Oxide (NO)를 생성하고, 과도하게 생성된 NO는 조직 손상, 유전자 변이,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하며,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 등의 염증 반응을 촉진시키게 된다.
여드름은 무엇인가? 여드름(Acen)은 모낭지선부(毛囊脂腺部) 단위의 염증성 질환으로 여드름의 발생기전은 androgen이 피지 분비를 촉진하고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가 피지를 triglyceride와 유리 지방산으로 가수분해하면서 염증이 일어나게 되고 모공이 두꺼운 각질로 채워져 그 결과 피지가 모낭관 밖으로 배출되지 못 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여드름은 모낭 내 상주하는 P.
삼칠화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거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세포 독성, 항염증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3% 함유된 스킨 토너와 스팟 솔루션을 여드름 피부에 4주 적용하여 여드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10 mg/mL에서 39% DPPH radicial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10 mg/mL 농도에서 79 mg/g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 농도에서 57 mg/g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삼칠화가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화장품 제재로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 I. Kim, “A Study on Plasma Levels of Testosterone and Dehydroepian drosterone sulfate (DHEA-S) in the Patients with Acne Vulgari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 27, No. 1, pp. 29-33, (1989). 

  2. H. Y. Sohn, Y. S. Kim, E. J. Geum, Y. S. Gyeon, K. H. Son, “Anti-acne activity, medicinal and wild plants, Propionibacterium acnes, Sophora flavescens,” KJMB, Vol. 34, No. 3, pp. 265-272, (2006). 

  3. J. Y. No, "The effect of propionibacterium acnes on the mechanism of inflammation in acne," Korea University Doctoral thesis, pp. 1-40, (1991). 

  4. S. H. Lee, “A Statistical Analysis of Acne patients who Vistied University Hospitals Recently,”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Vol. 34, No. 3, pp. 386-393, (1996). 

  5. S. H. You, J. S. Moon, “Research regarding curcumin and soybean extract’s influence on anti-inflammatory and acne and skin-repairing effect on RAW 264.7 macrophages,” KOCS, Vol. 33, No. 2, pp. 311-323, (2016). 

  6. J. L. Burton, S. Shus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borrhea and acne vulgaris,” Br. J. Dermatol., Vol. 85, No. 2, pp. 197-198, (1971). 

  7. W. J. Cunliffe, D. B. Holland, A. Jeremy, “Comedone formation: et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Clin. Dermatol., Vol. 22, No. 5, pp. 367-374, (2004). 

  8. D. H. Lee, D. S. Sohn, D. Y. Cho, B. J. Kim, Y. Y. Lim, Y. H. Kim,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phora flavescens Root Extra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Korean Journal of Medical Mycology, Vol. 15, No. 2, pp. 39-50, (2010). 

  9. Y. G. Ahn, S. K. Kim, C. S. Shin, J. H. Min, “Inhibitory effects of wax gourd extract on melanin formation and acne-forming bacterial growth,” Kor. J. Food Nutr., Vol. 15, No. 2, pp. 138-143, (2002). 

  10. S. M. Choi, C. D. Kim, M. H. Lee, Y. H. Choi, M. J. Rang, H. J. Ahn, Y. P. Yun, “Screening of 5 ${\alpha}$ -reductase inhibition and comedolytic effects from natural products,” Yakhak Hoeji, Vol. 43, No. 3, pp. 342-350, (1999). 

  11. A. Jain, E. Easal, “Inhibi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mediators of inflammation by indian herbs,” Phytomedicine, Vol. 10, No. 1, pp. 34-38, (2003). 

  12. J. D. Kim, J. E. Seol, “A Study on the State of Acne Awareness and C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Vol. 13, No. 2, pp. 1-9, (2015). 

  13. S. C. Kim, G. J. An, S. G. Han, J. U. Kim, G. J. Seong, Y. C. Gye, I. J. Kim, G. H. Jo, G. J. Kim, J. I. Yun, “Clinico-Epidemiologic study on the Abuse, Misuse, and Adverse Effects of Topical Dermatologic Drug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 41, No. 9, pp. 1129-1135, (2003). 

  14. M. T. Chomnawang, T. Surassmo, V. S. Nukoolkam, W. Gritsanapan, “Antimicrobial effects of Thai medicinal plants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J. Ethnopharmacol., Vol. 101, No. 1, pp. 330-333, (2005). 

  15. A. M. Dattner, "From medical herbalism to phytotherapy in dermatology: back to the future," Dermatol. Ther., Vol. 16, No. 2 pp. 106-113, (2003). 

  16. K. W. Martin, E. Emst, “Herbal medicines for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a review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J. Antimicrob. Chemother., Vol. 51, No. 2, pp. 241-246, (2003). 

  17. S. J. Lee, H. J. Lee, H. S. Kim, J. R. Kim, S. K. An, "The Effect of Cosmetics Included Centella Asiatica Extracts on the Improvement of Erythema of Inflammatory 20's Acn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16, No. 1, pp. 176-184, (2010). 

  18. J. H. Park, B. R. Le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Polyphenon 60 on the Improvement of Acne Symptom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Vol. 13, No. 1, pp. 27-35, (2017). 

  19. Y. J. Joo, H. M. Jung, U. K. Seo, “Flower MeOH Extract of Panax Notoginseng Attenuate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Korean journal of Korean Medicine, Vol. 30, No. 1, pp. 150-162, (2009). 

  20. X. Gao, M. Dan, A. Zhao, G. Xie, W. Jia,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aponins in flower buds of Panax notoginseng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iomedical chromatography, Vol. 22, No. 3, pp. 244-249, (2008). 

  21. C. Z. Wang, X. Luo, B. Zhang, W. X Song, M. Ni, S. Mehendale, J. T. Xie, H. H. Aung, T. C. He, C. S. Yuan, “Notoginseng enhances anti-cancer effect of 5-fluorouracil o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Vol. 60, No. 1, pp. 69-79, (2007). 

  22. T. Gutfinger,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Vol. 58, No. 11, pp. 966-968, (1981). 

  23. M. I. Moreno, M. I. Isla, A. R. Sampietro, M. A. Vattuone,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macol, Vol. 71, No. 1-2, pp. 109-114, (2000). 

  24.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 181, pp. 1199-1200, (1958). 

  25. E. Borenfr4eund, J. A. Puerner, “Toxicity determined in vitro by morphological alterations and neutral red absorption,” Toxicol. Lett., Vol. 24, No. 2, pp. 119-124, (1984). 

  26. L. C. Green, D. A. Wagner, J. Glogowski, P. L. Skippr, J. S. Wishnok, S. R. Tannenbaum,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Vol. 126, No. 1, pp. 131-138, (1982). 

  27. M. H. Kim,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nd the Effects of Skin,” KOCS, Vol. 32, No. 3, pp. 439-450, (2015). 

  28. W. Kalt, A. Hanneken, P. Milbury, F. Tremblay. Recent research on polyphenolics in vision and eye health," J. Agric. Food Chem., Vol. 58, No. 7, pp. 4001-4007, (2010). 

  29. B. Halliwell, R. Aeschbach, J. Loliger, O. I. Aruoma,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Vol. 33, No. 7, pp. 601-617, (1995). 

  30. J. Imai, N. Ide, S. Nagae, T. Moriguchi, H. Matsuura, Y. Itakura,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 Med. Vol. 60, No. 5, pp. 417-420, (1994). 

  31. O. S. Aydos, A. Avcl, T. Ozkan, A. Karadag, E. Gurleyik, B. Altinok, A. Sunguroglu, “ Antiproliferative, apopto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grass (Triticum aestivum L.) extract on CML (k562) cell line,” Turk. J. Med. Sci, Vol. 41, No. 4, pp. 657-663, (2011). 

  32. B. C. Cha, "Changes in the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Citrus unshiu Markovich," Kor. J. Pharmacogn. Vol. 46, No. 1, pp. 23-30, (2015). 

  33. N. Y. Kim, D. S. Park, H. Y. Lee, “Effect of anti-skin wrinkle and antioxidant of Agastache rugosa Kentz through fermentation process of the lactic acid,” Kor. J. Med. Crop Sci., Vol. 23, No. 1, pp. 37-42, (2015). 

  34. K. H. Jung, "Effect of Panax notoginseng radix extract on Phototoxicity Inhibi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by Concentration," semyung university Doctoral thesis, pp. 1-23, (201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