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층터널 분기 기하구조에 따른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for double deck tunnel branch geometr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0 no.2, 2018년, pp.393 - 404  

박우정 (삼보기술단 지반사업부) ,  장남주 (삼보기술단 지반사업부) ,  김기환 (삼보기술단 지반사업부) ,  최창림 (삼보기술단 지반사업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심지 터널에서 지하도로는 지상도로와의 연결을 위한 램프터널을 계획하게 되고 본선터널과 램프터널이 접속되는 구간에서 대단면 터널과 분기구간이 생성된다. 본선터널과 램프터널이 접속하는 근접구간에서 응력집중으로 터널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필라부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터널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층터널을 대상으로 본선터널, 분기부대단면 터널 단면을 계획하고, 분기부 암반 필라의 거동을 2차원 수치해석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양호한 지반조건인 암반 III등급에서 램프터널이 본선터널에 접속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필라폭에 따른 지반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안전율 1.5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터널 필라폭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unnel can be planned to connect to underground roadway and surface road. The large tunnel and branch section are made when the ramp tunnel access to the main tunnel. In the branch section, stress concentration can be assigned and it can be very important for the stability of the tunnel.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복층터널에서 본선터널과 램프터널이 합류하는 경우, 분기부에서의 터널 안정성 평가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복층터널 본선터널 단면과 복층터널이 분기되는 구간의 대단면 터널을 계획하고, 복층터널이 분기되는 구간에서 필라폭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2차원 수치해석 검토를 통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접구간에서 터널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원인은? 도심지 터널에서 지하도로는 지상도로와의 연결을 위한 램프터널을 계획하게 되고 본선터널과 램프터널이 접속되는 구간에서 대단면 터널과 분기구간이 생성된다. 본선터널과 램프터널이 접속하는 근접구간에서 응력집중으로 터널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필라부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터널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Mohr-Coulomb 파괴기준의 판단은? Mohr-Coulomb 파괴기준은 일반적으로 암반의 파괴 이론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전단응력과 전단강도 비교에 의하여 지반의 전단파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Mohr 응력원이 파괴포락선에 접하면 지반이 항복하여 전단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Mohr-Coulomb의 파괴 접근도 방법은 암반의 응력원이 파괴포락선에 어느 정도 접근하였는가에 따라 파괴 및 파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식 (1)과 같이 파괴접근도(R)로 표현할 수 있다.
복층터널의 특징은? 지하도로 계획시 과도한 용지매입 비용과 민원문제,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으로 병설터널을 복층터널로 계획하는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복층터널은 상, 하행 병설터널을 하나의 터널로 계획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 할수 있다. 복층터널의 경우, 국내 설계 및 시공 사례는 없으나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oek, E., Brown, E. T. (1980), Underground Excavations in Rock, Institution of Mining & Metallurgy, London, pp. 112-125. 

  2. Jang, B.S., Hwang, J.S., Yoon, B.S., Kim, H.T. (2006),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unnel pillar by small-scale model tes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s, Vol. 2006, No. 10, pp. 4282-4285. 

  3. Kim, D.S., Kim, Y.G., Lee, D.H., Kim, C.Y., Bae, K.J., Lee, S.H., Lee, H.S. (2004), "A study on stability and pillar reinforcement of a asymmetry parallel tunnel", Proceedings of the 4th Tunnel Technic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004, No. 12, pp. 181-197. 

  4. Kim, S.H., Choi, C.R., Han, S.H., Lee, K.H., Choi, Y.S., Suk, J.D. (2011), "Stability analysis of an divergence tunnel in urban", Proceedings of the 30th Si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nics, Vol. 2011, No. 9, pp. 287-291 

  5. Lee, H.S., Moon, H.K. (2016), "Behavior of the segment lining due to the middle slab and the lateral pressure coefficient in duplex tunnel",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26, No.3, pp. 192-200. 

  6. Lim, H., Son, K. (2014), "The stability analysis of near parallel tunnels pillar at multi-layered soil with shallow depth by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5, No. 1, pp. 53-62. 

  7. Matsuda, T., Toyosato, E., Igarashi, M., Nashimoto, Y., Sugiyama, T. (1997), "A study on design methods for twin tunnels constructed by the single drift and central pier method", Proceedings of the Studies on Tunnel Engineering, Vol. 7. 

  8. Nam, K.M., Choi, M.K., Kim, J.J., Yoo, H.K. (2017), "Stability analysis of an existing utility tunnel due to the excavation of a divergence tunnel emerging from double-deck tunne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9, No. 2, pp. 231-248. 

  9. Peck, R.B. (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ing in soft ground",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exico, State-of-the-Art Ropert 3, pp. 225-290. 

  10. You, K.H., Jin, S.H., Kim, Y.J. (2017), "A stability study of deep and double-deck tunnels considering shape and reinforcing method of an enlarged section by using numerical analyse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9, No. 1, pp. 4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