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연구개발에 관한 연구현황 분석 - 국내 학술지 문헌의 연구 분야 및 분야 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atus of Researches on Korean National R&D : Research Fields and Their Network of Literatures in Domestic Journal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1, 2018년, pp.201 - 235  

이철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재정지원 증가율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인 재원배분, 운영 및 관리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자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국내 연구현황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기존 선행연구들과 법령을 바탕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기획, 선정, 관리, 성과 등 각 수행 단계를 중심으로 하는 분류기준을 마련하였고, 둘째로 그 분류기준을 사용하여 최근 5년간 국내 학술지 문헌에 게재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들을 12개 분야로 구분하여 분야별 연구현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헌들의 분야별 동시 분류 현황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각 분야의 연계현황과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성과와 관련된 분야들이 연구 문헌 수가 많고 타 분야와 연계도 활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선정관련 분야들과 인프라 분야 등이 연구 수 또는 타 분야와 연계가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분야별 연구현황과 연계현황에 대한 체계적 조망을 통하여 분야 간 연계와 후속연구가 더욱 필요한 분야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cent slowdown of R&D budget growth rat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R&D is becoming more important. At this point,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n the national R&D itself,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동 분야에 관한 연구가 연간 몇 건 정도 연구되고 있고 세부 분야별 현황은 어떠한지, 어떤 학술지에서 동 분야가 주로 게재되는지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분야별 연구 현황과 연계 현황에 대한 체계적 조망을 통하여, 사업의 수행자 및 관리자의 우수한 성과도출과 정책입안자의 효율적 지원 시스템 구축에 일조하고자 하며, 학술적으로도 기존 연구 현황과 후속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도출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론과 달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 문헌들에 대해 본 연구의 초점에 따른 새로운 분류기준을 수립하고, 그 기준을 활용하여 각 문헌을 연구 분야별로 동시 분류한 후, 동시분류 정보를 활용하여 분야 간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있어서 기획, 평가, 관리 및 성과 등 분야 간 연계현황에 대한 파악을 추가로 실시하고자 한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상기한 각 분야가 시계열적으로 또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각 분야의 과정과 결과물은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우수한 성과의 도출을 위해서는 각 분야 간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전중양 외, 2013; 전용웅 외,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 문헌을 누락 없이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을 수행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다양한 이름으로 호칭되고 있는데, 동 단어는 지원 주체, 지원 대상 및 지원 형태가 결합되어 있는 단어로 볼 수 있다.
  • 또 다른 예로 과제에 대하여 형식에 치우친 엄격한 관리를 실시하는 경우 행정적으로는 완벽하나 창의 적이고 우수한 성과가 도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강주현 외, 2016).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각 분야 또는 수행단계별 연계의 필요성은 실무적으로 중요하며 기존 선행 연구들에서도 강조되고 있는데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 이와 같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각 수행단계별 연계가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동 분야의 연구들 중 각 단계 간 연계를 고려한 연구들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연계의 구체적 구조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 분류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우선 동시분류 네트워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다.
  • 이와 같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인 재원배분, 운영 및 관리가 더욱 중요시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국내 연구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연구개발사업이란 무엇인가? 정부에서는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다수의 재정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국가연구개발사업이란 국가 차원에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분야의 과학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지향 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개발 자원을 전략적으로 집결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서(이상엽 외, 2006), 과학기술기본법(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가)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나)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사업을 말한다.
413건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 문헌을 분석한 결과 분류기준별로 발견 할 수 있던 점은 무엇인가? 6건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연평균 6%의 문헌 수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11개의 분야 중 다수의 연구가 수행된 분야는 사업성과(GF), 과제성과(JF), 및 현황(ST) 분야였고, 연구의 수가 적은 분야는 사업선정(GS), 사업관리(GM), 과제기획(JP), 과제선정(JS), 인력(HR) 분야였다. 특히 주 분류기준으로 43.8%에 달하는 연구 문헌들이 사업 또는 과제의 성과 분야로 분류되어 대다수의 연구가 성과의 측정과 활용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필요성이 인정되어온 이유는 무엇인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공공의 이익상 중요한 과학기술분야에 있어 시장논리만을 따를 경우 개발의 불확실성, 결과물의 공공성 등으로 인하여 자원의 투입이 부족하게 되는 소위 시장실패를 보완하기 위하여, 정부가 자원을 투입하고 위험을 부담하여 결과적으로는 공공의 이익을 성취 하는 제도적 도구로서 그 필요성이 인정되어 왔다(Arrow, 1962; Nelson, 1959). 또한 과학기술 혁신 시스템 내 혁신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기업, 대학, 연구소, 대학 등 혁신 주체 또는 혁신으로 인한 이해관계자 간 상호작용에 문제가 있거나, 기술관련 제도가 기술 친화적이지 않은 경우 등 이른바 시스템 실패(system failure)가 발생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도(Smith, 2000; Woolthui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주현.이민석.홍성만 (2016), "딜레마 상황에서의 창의적 정책대응 탐색", 한국공공관리학보, 30(4): 271-295. 

  2. 고재창.조근태.조윤호 (20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지능정보연구, 19(2): 101-123. 

  3. 국가주요지표 (2017), "연구개발투자비율 (GDP 대비)",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4005 (18 March 2017).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가), "과학기술기본법".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다),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연구성과평가법)". 

  7. 기획재정부 (2016), 2016-2020년 국가재정운용계획. 

  8. 기획재정부 (2017),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9. 김민지.박정규.이유아.허은녕 (2011), "Co-Classification 방법을 이용한 태양전지 연구의 학제간 다양성 분석", 신재생에너지, 7(1): 36-44. 

  10. 김지은.이성주 (2013), "특허정보를 활용한 산업융합성 평가 방법론",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212-221. 

  11. 배용국.정상기.김재정 (2012), "정부연구개발사업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통한 정책 부합성 고찰",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5-18. 

  12. 산업통상자원부 (2017),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13. 성기서.금영정 (2014), "R&D 제안서 동시분류분석을 활용한 ICT 융합 네트워크 분석",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39-450. 

  14. 안상진.김혜원.이윤빈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 분석틀 표준화 연구 : 연구개발 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1): 176-198. 

  15. 안승구.김주일 (2017),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6. 양승우.최지선.이명화.김재경.권보경.한정선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별도 법률 제정 방안", 정책연구, 1-420. 

  17. 이도형 (2010),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8. 이민형.안두현.성경모.이혜진.변영지 (2013), "정부연구개발사업구조 진단 및 개선 방안 (Disgnosis of government R&D program structure and its improvement)", 정책연구, 2013-26. 

  19. 이상엽.박석종.엄익천.김성진.김인자 (2006), 국가연구개발사업 백서,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 이영석.고영주 (2016), "긴축재정 환경에서 혁신 잠재력 유지를 위한 미국의 연구개발 재정운용 정책변동 :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0(4): 111-137. 

  21. 이유진.양위주 (2016),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관광연구] 의 연구동향 분석", 관광연구, 31(4): 363-383. 

  22. 이윤빈.신동평.최배성 (2015), "증거기반 의사결정 적용을 통한 정부 R&D 예산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144-150. 

  23. 이정수.길부종.전희성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성실실패제도 개선방안", 기술혁신학회지, 16(1): 346-366. 

  24. 이종현.권상숙.정동일.손지호.차은종.여무송.이성종.박귀순 (2013), "한국연구재단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간 Eco-Bridge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우수 연구성과 연계 활용으로 부처간 벽 허물기", 대한환경공학회지, 35(8): 533-539. 

  25. 이철주.이강택.신준석 (2012), "정부지원 중소기업 R&D 프로젝트의 사업화 성과 영향요인 분석: 인증과 특허의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20(3): 230-254. 

  26. 임성민.정욱 (2014),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평가방식에 대한연구 : 매력적 품질이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J Korean Soc Qual Manag, 42(2): 131-144. 

  27. 전용웅.홍석철.장미.김현철 (2016), "보건의료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 프레임 개발",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36-1156. 

  28. 전중양.정기덕.정선양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운영에 대한 정책효율성 제고방안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5-18. 

  29. 정우진.이상용 (2014), "특허인용정보를 활용한 R&D 융합기술의 성과분석 : IT와 에너지의 융합기술과 타 융합기술과의 비교",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4): 65-96. 

  30. 조성도.이천무.현병환 (2011),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 방안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345-362. 

  31. 한장협.나중규.김채복 (2015), "특허정보를 활용한 ICT 기술융합 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재산연구, 10(3): 203-238. 

  32. 황성현 (2017), "산업융합계수를 활용한 융합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666-674. 

  33. e-나라지표 (2017), "정부 연구개발예산",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30 (18 March 2017). 

  34. Arrow, K. (1962), Economic Welfare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for Invention.: The Rate and Direction of Inventive Activity : Economic and Social Factor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Borgatti, S. P., Everett, M. G. and Freeman, L. C. (2002),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36. Borner, K., Chen, C. and Boyack, K. W. (2003), "Visualizing Knowledge Domain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7(1): 179-255. 

  37. Brown, M. G. and Svenson, R. A. (1998), "Measuring R&D Productivity",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41(6): 30-35. 

  38. Cook, D. J., Mulrow, C. D. and Haynes, R. B. (1997), "Systematic Reviews: Synthesis of Best Evidence for Clinical Decisi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6(5): 376-80. 

  39. Crespo, J. A., Li, Y. and Ruiz-Castillo, J. (2013),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 on Citation Inequality of Differences in Citation Practices Across Scientific Fields", PLoS ONE, 8, e58727. 

  40. Fang-Fang, W. E. N. (2016), "Technological Relatedness based on Co-classification Network Analysis: A Case Study on Electricity Sector", Journal of Digital Information Management, 14(1): 26-32. 

  41. Freeman, L. C. (1977),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on Betweenness", Sociometry, 40(1): 35-41. 

  42.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ss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43. Hook, P. A. (2007), "Visualizing the Topic Space of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TOMETRICS AND INFORMETRICS (ISSI 2007); Indiana Legal Studies Research Paper No. 68. 

  44. Joo, S. H. and Kim, Y. (2010), "Measuring Relatedness between Technological Fields", Scientometrics, 83(2): 435-454. 

  45. Lee, J. Y. (2006), "A Study on the Network Gener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nowledge Doma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333-355. 

  46. Lee, W. J ., Lee, W. K. and Sohn, S. Y. (2016), "Patent Network Analysis and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s to Identify the Convergence of Robot Technologies", PloS one, 11(10): e0165091. 

  47. Lee, Y. B. (2013), "A Study on the Ex-ante Evaluation on Government R&D Programs Using Fuzzy Reasoning",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8(3): 77-96. 

  48. Leydesdorff, L. (2007), "Betweenness Centrality as an Indicator of the Interdisciplinarity of Scientific Journal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9): 1303-1319. 

  49. Leydesdorff, L. (2008), "Patent Classifications as Indicators of Intellectual Organiz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0): 1582-1597. 

  50. McCain, K. (1995), "The Structure of Biotechnology R & D", Scientometrics, 32(2): 153-175. 

  51. Morillo, F., Bordons, M. and Gomez, I. (2003), "Interdisciplinarity in Science: A Tentative Typology of Disciplines and Research Area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4(13): 1237-1249. 

  52. Nelson, R. R. (1959), "The Economics of Invention: A Survey of the Literature", The Journal of Business, 32(2): 101-127. 

  53. Neuhaus, C., and Daniel, H.-D. (2009), "A New Reference Standard for Citation Analysis in Chemistry and Related Fields Based on the Sections of Chemical Abstracts", Scientometrics, 78, 219-229. 

  54. Nieminen, J. (1974), "On Centrality in Graph",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15(1): 332-336. 

  55. Opsahl, T., Agneessens, F. and Skvoretz, J. (2010), "Node Centrality in Weighted Networks: Generalizing Degree and Shortest Paths", Social networks, 32(3): 245-251. 

  56. Palchykov, V., Gemmetto, V., Boyarsky, A. and Garlaschelli, D. (2016), "Ground Truth? Concept-based Communities Versus the External Classification of Physics Manuscripts", EPJ Data Science, 5(1): 28. 

  57. Smith, K. (2000), "Innovation as a Systemic Phenomenon: Rethinking the Role of Policy", Enterprise and Innovation Management Studies, 1(1): 73-102. 

  58. Tijssen, R. J. (1992),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Interdisciplinary Structures in Science and Technology: Co-classification Analysis of Energy Research", Research Policy, 21(1): 27-44. 

  59. Tranfield, D., Denyer, D. and Smart, P. (2003), "Towards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Evidence­informed Management Knowledge by Means of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14(3): 207-222. 

  60. Woolthuis, R. K., Lankhuizen, M. and Gilsing, V. (2005), "A System Failure Framework for Innovation Policy Design", Technovation, 25(6): 609-61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