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지식과 간호실무 역량요인의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s between Sedation Knowledge and Nurse Practice Competences i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74 - 84  

장혜주 (아주대학교병원) ,  이주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  남애리나 (아주대학교병원) ,  김희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or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relationships betwee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and their clinical competencies in sedation practice. Methods: Ninety one ICU nurses were recruited from two tertiary hospitals in South Korea. A self-report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지식수준 및 역량을 측정할 만한 도구가 부재함에 따라 현행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한 기초자료도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에 대한 지식과 간호 실무와 관련된 역량을 조사하고 각 요인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간호사 중심의 진정요법 프로토콜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3차 병원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진정요법에 대한 지식과 현행 간호실무 역량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횡단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실무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진정요법 지식과 간호실무 역량요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국내 집중치료실 간호사 중심 프로토콜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집중치료실 간호사들의 진정요법 지식은 20점 만점 중 평균 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에 대한 지식과 간호 실무와 관련된 역량을 조사하여 각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정한 진정요법의 간호 실무를 위해 집중치료실 간호사가 겸비해야하는 것은 무엇인가? 적정한 진정요법의 간호 실무를 위해서 집중치료실 간호사는 진정요법과 관련된 지식, 역량을 지닌 수행, 최신 지견과 관련된 인식의 변화를 겸비하고 있어야 하며, 관련 간호실무 향상을위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지식수준 및 역량을 측정할 만한 도구가 부재함에 따라 현행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한 기초자료도 부재하다.
세계중환자의학회에서 강조하는것은 무엇인가? 세계중환자의학회(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Medicine)는 집중치료실 성인 환자의 통증, 진정, 섬망 치료를 위해 다학제 접근, 환자의 개별적인 치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포함된 진정요법 프로토콜 적용을 통한 진정요법의 적정성을 강조하고 있다[1-4]. 적정한 진정요법은 환자의 고통, 공포, 불안, 수면 부족, 섬망 등을 감소하는 데 도움이 되며[5,6], 더불어 산소소모량을 감소시켜 저산소증의 호흡부전과 shock 환자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간호실무 역량요인 측정을 위해 개발한 도구는 무엇인가? 기계적 환기치료 적용 환자에게 진정요법을 시행하는 간호사의 실무와 행동적 역량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Guttormson 등[11]이 개발한 도구 사용 승인을 받은 후, 국문으로 번역하여 한국어와 영어가 능통하며 집중치료실 간호경력이 10년 이상인 전문인 3인에게 검수 후 2문항의 국문표현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Guttormson 등[11]이 간호사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구성 항목을 추출하고, Ajzen [15]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바탕으로 항목을 분류 및 분석한 뒤, 미국 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최종안을 수정 ‧ 보완한 도구이다.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간호실무 역량요인 도구는 6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도(attitude) 7문항, 주관적인 신념(subjective norm) 4문항, 진정요법의 처방 및 목표(sedation order and goals) 3문항, 진정요법의 조절요인(perceived behavior control) 4문항, 진정요법 수행(practice) 9문항, 기계적 환기 치료 환자의 진정의도(intention to sedate) 1문항을 포함하여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r J, Fraser GL, Puntillo K, Ely EW, Gelinas C, Dasta JF,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adul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2013;41(1):263-306. https://doi.org/ 10.1097/CCM.0b013e3182783b72 

  2. Brattebo G, Hofoss D, Flaatten H, Muri AK, Gjerde S, Plsek PE. Effect of a scoring system and protocol for sedation on duration of patients' need for ventilator support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3): 203-205. https://doi.org/10.1136/bmj.324.7350.1386 

  3. Jacobi J, Fraser GL, Coursin DB, Riker RR, Fontaine D, Wittbrodt ET,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sustained use of sedatives and analgesics in the critically ill adult. Critical Care Medicine. 2002;30(1):119-141. 

  4. Kress JP, Pohlman AS, O'Connor MF, Hall JB. Daily interruption of sedative infusions in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 going mechanical ventil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0;342(20):1471-1477. https://doi.org/10.1056/NEJM200005183422002 

  5. Jun JH. Sed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4;19(1):1-7. 

  6. Hughes CG, McGrane S, Pandharipande PP. Sedation in the intensive care setting. Clinical Pharmacology. 2012;4:53-63. https://doi.org/10.2147/CPAA.S26582 

  7. Feeley K, Gardner A. Sedation and analgesia management for mechanically ventilated adults: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ustralian Critical Care. 2006;19(2):73-77. 

  8. Girard TD, Kress JP, Fuchs BD, Thomason JW, Schweickert WD, Pun BT,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a paired sedation and ventilator weaning protocol for mechanically ventilated pa- tients in intensive care(awakening and breathing controlled tri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2008;371 (9607):126-134. https://doi.org/10.1016/S0140-6736(08)60105-1 

  9. Strom T, Martinussen T, Toft P. A protocol of no sedation for critically ill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 randomised trial. The Lancet. 2010;375(9713):475-480. https://doi.org/10.1016/S0140-6736(09)62072-9 

  10. Mehta S, Burry L, Fischer S, Martinez-Motta JC, Hallett D, Bowman D, et al. Canadian survey of the use of sedatives, analgesics, and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2006;34(2):374-380. https://doi.org/10.1097/01.CCM.0000196830.61965.F1 

  11. Guttormson JL, Chlan L, Weinert C, Savik K. Factors influencing nurse sedation practices with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 U.S. national surve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10;26(1):44-50. https://doi.org/10.1016/j.iccn.2009.10.004 

  12. Berry E, Zecca H. Daily interruptions of sedation: A clinical approach to improve outcom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ical Care Nurse. 2012;32(1):43-51. https://doi.org/10.4037/ccn2012599 

  13. Egerod I. Uncertain terms of sedation in ICU. How nurses and physicians manage and describe sedation for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2;11(6): 831-840.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2.00725.x 

  14. Walker N, Gillen P. Investigating nurses' perceptions of their role in managing sedation in intensive care: An exploratory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6;22(6):338-345. https://doi.org/10.1016/j.iccn.2006.03.008 

  15.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6. Devlin JW, Marquis F, Riker RR, Robbins T, Garpestad E, Fong JJ, et al. Combined didactic and scenario-based education improves the ability of intensive care unit staff to recognize delirium at the bedside. Critical Care. 2008;12(1):R19. https://doi.org/10.1186/cc6793 

  17. Mehta S, Meade MO, Hynes P, Filate WA, Burry L, Hallett D, et al. A multicenter survey of Ontario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garding the use of sedatives and analgesics for adul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7; 22(3):191-196. https://doi.org/10.1016/j.jcrc.2006.11.006 

  18. Ramoo V, Abdullah KL, Tan PS, Wong LP, Chua YP, Tang LY. Sedation scoring and managing abilities of intensive care nurses post educational intervention. Nursing in Critical Care. 2017;22(3):141-149. https://doi.org/10.1111/nicc.12180 

  19.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20. Chung V, Wong E, Griffiths S. Content validity of the integrative medicine attitude questionnaire: Perspectives of a Hong Kong Chinese expert panel.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7;13(5):563-570. https://doi.org/10.1089/acm.2007.6222 

  21. Kim YS, Lee HJ, Jeon SB. Management of pain and agitation for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Neurocritical Care. 2015;8(2):53-65. https://doi.org/10.18700/jnc.2015.8.2.53 

  22. Weinert CR, Chlan L, Gross C. Sedating critically ill patients: Factors affecting nurses' delivery of sedative therap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1;10(3):156-165. 

  23. You S. Comparisons of the nursing workforce with Japan, and the U.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3; 11(6):275-287. 

  24. Aitken LM, Marshall AP, Elliott R, McKinley S. Critical care nurses' decision making: Sed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 (1):36-4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318.x 

  25. Aveyard H, Woolliams M. In whose best interests? Nurses' experiences of the administration of sedation in general medical wards in England: An application of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 (8):929-939.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11.021 

  26. Ajzen I, Joyce N, Sheikh S, Cote NG. Knowledge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r: The role of information accuracy in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011;33(2):101-117.https://doi.org/10.1080/01973533.2011.5688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