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차원적 행동 모델에 근거한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 예측요인
Predictors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ased on the Model of Multi-Dimensional Behavio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2, 2018년, pp.143 - 153  

양정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predicting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persons with dementia. Factors including the patient, caregiver,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behavioral model were tested. Methods: The subjects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매 노인의 일반적 특성은 시설의 협조를 받아 시설 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인지기능은 치매 노인을 직접 면담하여 수집하였으며, 통증은 연구자가 치매 노인을 직접 관찰하여 수집하였다. 간호 제공자의 우울 및 치매 지식,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조사하기 위해서 직접 면담하여 수집하였다. 치매 노인의 우울과 정신행동 증상은 치매 노인의 담당 간호사가 설문조사하였다.
  • HYI-16-217-2) 승인을 받은 후, 2017년 2월부터 4월까지 시행하였다. 노인 요양 시설을 방문하여 자료수집에 대한 허락을 받은 후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치매노인과 간호제공자에게 연구(목적, 방법, 혜택, 위험성, 익명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치매 노인 본인에게 최대한 설명을 하고, 시설장 또는 파트장이 직접 가족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허락을 받은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Kunik 등[13]의 다차원적 행동 모델을 기반으로 요양시 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모델을 토대로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우울, 오후 소음, 남성 노인 순으로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25.
  • 본 연구는 Kunik 등[13]이 개발한 다차원적 행동 모델(Multi-di-mensional behavioral model)을 기초로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다차원적 행동 모델을 토대로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예측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의 결정 요인은 치매 노인, 간호 제공자, 환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정 요인은 고정 결정 요인과 변경 가능한 결정 요인으로 세분화 되어[13], 이에 본 연구는 이론을 토대로 총 11개의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고정 결정 요인 6개와 변경 가능한 결정 요인 5개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 이 도구는 총 29문항으로 4개 하부영역(신체적 공격행동, 신체적 비공격 행동, 언어적 격앙행동, 물건 숨기기/모으기)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이 입소한 시설에서 대상자의 담당 간호사가 설문하였다. 지난 일주일 동안의 증상 발생 빈도를 7점 척도(1=없다, 7=시간당 여러 번)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정신행동 증상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정신행동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예측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행동 증상 관리를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인지기능 장애, 일상생활능력 장애, 정신행동 증상 등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들을 가지는 신경정신계 질환이다[3-5]. 특히,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은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배회, 초조, 성적 탈억제 및 고함지르기와 우울, 불안, 망상, 환각 등으로 다양하며[6], 이와 같은 문제는 그들 자신뿐만 아니라 간호제공자의 고충과 부담 감을 증가시킨다.
Kunik 등이 개발한 다차원적 행동 모델에서 변경 가능한 결정 요인은 무엇인가? 고정 결정 요인은 비교적 변하지 않는 특성으로 치매노인의 성별, 치매 중증도, 요양시설의 직원 구성 등과 같은 것이며, 정신행동 증상의 특징 및 중증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변경 가능한 결정 요인은 치매 노인의 통증, 간호 제공 자의 우울과 치매에 대한 지식, 물리적 환경 등으로 의료진 및 간호 제공자의 노력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13]. 그러므로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증상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치매 노인, 간호제공자, 그리고 환경 요인의 통합적인 틀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치매는 인지기능 장애, 일상생활능력 장애, 정신행동 증상 등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들을 가지는 신경정신계 질환이다[3-5]. 특히,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은 신체적·언어적 공격성, 배회, 초조, 성적 탈억제 및 고함지르기와 우울, 불안, 망상, 환각 등으로 다양하며[6], 이와 같은 문제는 그들 자신뿐만 아니라 간호제공자의 고충과 부담 감을 증가시킨다. 또한,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은 요양시설 입소의 강력한 예측인자로 정신행동 증상의 발현 빈도가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7 statistics for the aged [Internet]. Daejeon: Author; c2017 [cited 2017 Oct 10]. Available from: http://analysis.kostat.go.kr/publicsmodel.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third comprehensive plan of dementia management [Internet]. Sejong: Author; c2015 [cited 2017 Aug 1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330876&page1. 

  3. Arai A, Ozaki T, Katsumata Y.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older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Aging & Mental Health. 2017;21(10):1099-1105. https://doi.org/10.1080/13607863.2016.1199013 

  4. Kim JH, Lee DY, Lee SJ, Kim BY, Kim NC.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BPSD, ADLs and IADLs of the elders with dementia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2015;17(1):1-9. https://doi.org/10.17079/jkgn.2015.17.1.1 

  5. Kim HJ, Im H. Assessment of dementia.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5;8(1):11-18. https://doi.org/10.12786/bn.2015.8.1.11 

  6. Brodaty H, Draper B, Saab D, Low LF, Richards V, Paton H, et al. Psychosis, depression and behavioural disturbances in Sydney nursing home residents: Prevalence and predi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1;16(5):504-512. https://doi.org/10.1002/gps.382 

  7. Porter CN, Miller MC, Lane M, Cornman C, Sarsour K, Kahle-Wrobleski K. The influence of caregivers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n nursing home placement of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A matched case-control study. SAGE Open Medicine. 2016;4:2050312116661877. https://doi.org/10.1177/2050312116661877 

  8. Sampson EL, White N, Lord K, Leurent B, Vickerstaff V, Scott S, et al. Pain, agitation, and behavioural problems in people with dementia admitted to general hospital wards: A longitudinal cohort study. Pain. 2015;156(4):675-683. https://doi.org/10.1097/j.pain.0000000000000095 

  9. Miyamoto Y, Tachimori H, Ito H. Formal caregiver burden in dementia: Impac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iatric Nursing. 2010;31(4):246-253.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0.01.002 

  10. Dennis M, Shine L, John A, Marchant A, McGregor J, Lyons RA, et al. Risk of adverse outcomes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prescribed antipsychotic medication: A population based e-cohort study. Neurology and Therapy. 2017;6(1):57-77. https://doi.org/10.1007/s40120-016-0060-6 

  11. Maust DT, Kim HM, Seyfried LS, Chiang C, Kavanagh J, Schneider LS, et al. Antipsychotics, other psychotropics, and the risk of death in patients with dementia: Number needed to harm. JAMA Psychiatry. 2015;72(5):438-445. https://doi.org/10.1001/jamapsychiatry.2014.3018 

  12. Oh BH. 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9;52(11):1048-1054. https://doi.org/10.5124/jkma.2009.52.11.1048 

  13. Kunik ME, Martinez M, Snow AL, Beck CK, Cody M, Rapp CG, et al. Determinants of behavioral symptoms in dementia patients. Clinical Gerontologist. 2003;26(3-4):83-89. https://doi.org/10.1300/J018v26n03_07 

  14. Alexander G, Hanna A, Serna V, Younkin L, Younkin S, Janus C. Increased aggression in males in transgenic Tg2576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Behavioural Brain Research. 2011;216(1):77-83. https://doi.org/10.1016/j.bbr.2010.07.016 

  15. Kolanowski A, Boltz M, Galik E, Gitlin LN, Kales HC, Resnick B, et al. Determinants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scoping review of the evidence. Nursing Outlook. 2017;65(5):515-529. https://doi.org/10.1016/j.outlook.2017.06.006 

  16. Maji? T, Pluta JP, Mell T, Treusch Y, Gutzmann H, Rapp MA. Correlates of agitation and depress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2;24(11):1779-1789. https://doi.org/10.1017/S104161021200066X 

  17. Joosse LL. Do sound levels and space contribute to agi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2012;5(3):174-184. https://doi.org/10.3928/19404921-20120605-02 

  18. Kovach CR, Noonan PE, Schlidt AM, Reynolds S, Wells T. The serial trial intervention: An innovative approach to meeting need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6;32(4):18-25; quiz 26-27. 

  19. Gang MS, Park HO, Park HJ. Factors affecting agitation in nursing home patient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6;18(1):41-52. https://doi.org/10.17079/jkgn.2016.18.1.41 

  20. Kim TH, Jhoo JH, Park JH, Kim JL, Ryu SH, Moon SW, et al.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its' short form. Psychiatry Investigation. 2010;7(2):102-108. https://doi.org/10.4306/pi.2010.7.2.102 

  21. Kim SY, Won CW, Rho Y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Bathel ADL index.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7):534-541. 

  22. Diener HC, Cortens M, Ford G, Grotta J, Hacke W, Kaste M, et al. Lubeluzole in acute ischemic stroke treatment: A double-blind study with an 8-hour inclusion window comparing a 10-mg daily dose of lubeluzole with placebo. Stroke. 2000;31(11):2543-2551. https://doi.org/10.1161/01.STR.31.11.2543 

  23. Hurley AC, Volicer BJ, Hanrahan PA, Houde S, Volicer L. Assessment of discomfort in advanced Alzheimer patien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2;15(5):369-377. https://doi.org/10.1002/nur.4770150506 

  24. Kim SJ. A study on pain-causing factors for the dementia suffering with aged women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6. p. 1-62. 

  25. Lee Y, Lee YS, Hong GR.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among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5;17(3):142-151. https://doi.org/10.17079/jkgn.2015.17.3.142 

  26. Lee YW. 2007 Annual report for Namgu dementia caring center. Incheon: University of Inha of Department of Nursing; 2008. p. 1-77. 

  27.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basic analysis report [Internet] Eumseong: Author; c2014 [cited 2017 Feb 10]. Available from: http://survey.keis.or.kr/klosa/klosaque/List.jsp. 

  28. Irwin M, Artin KH, Oxman MN. Screening for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 Criterion validity of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99;159(15):1701-1704. https://doi.org/10.1001/archinte.159.15.1701 

  2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staffing ratio standard for long-term care benefit provision standards [Internet]. Sejong: Author; c2017 [cited 2017 Oct 1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40951&page1. 

  30. Suh GH. Agitated behaviours amo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ith dementi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hen-Mansfield Agitation Inven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4;19(4):378-385. https://doi.org/10.1002/gps.10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