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와 회복 :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Relation between Empowerment and Recovery of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a Mental Illness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211 - 220  

오미화 (전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정신건강증진센터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와 회복간의 관계에서 치료자와의 치료적 관계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 15일부터 20일까지였고, 조사 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16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임파워먼트, 치료적 관계도구, 회복척도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임파워먼트와 회복은 $60.4{\pm}10.85$점, $101.8{\pm}20.70$이었고, 치료적 관계는 $74.5{\pm}14.30$점이었다. 임파워먼트와 치료적 관계 (r=.33, p<.001), 임파워먼트와 회복(r=.51, p<.001)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치료적 관계와 회복간 (r=.55, p<.001)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파워먼트와 회복간의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임파워먼트와 치료적 관계가 모두 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치료적 관계는 두 변수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을 통해 확인한 결과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3.706, p<.001).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치료자와의 관계 속에서 치료적 관계 증진을 도모하고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회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between empowerment and recovery in mental illness. The participants were 168 adults in two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three rehabilitation centers in Jeonbuk. The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와 회복간의 관계에서 치료자와의 치료적 관계가 갖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돕기 위한 실무자 교육지침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장애인에게 임파워먼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임파워먼트는 정신장애인이 치료자가 제공하는 정신 재활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제공받기보다 사회적응이나 재활 과정에 있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어려움을 환자 스스로가 경험하고 해결해 나가는 대처능력을 의미하며,임파워먼트 향상은 정신재활 서비스의 중요한 목적으로 제시되고 있다[11]. 특히, 임파워먼트는 정신장애인들의 회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14,15].
대상자 중심의 회복모형에서는 무엇을 중시하는가? 정신건강 영역에서는 탈원화와 소비자 운동을 중심으로 최근 대상자 중심의 회복모형이 적용되고 있다[2]. 회복 모형에서는 정신장애인을 병을 가진 환자 역할에서 벗어나 성장과 회복 가능성을 가진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초점을 두고 환자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중시한다[3,4,5]. 이러한 새로운 회복 패러다임에 따라 회복의 의미와 회복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4,6,7].
정신질환에서 회복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0]. 회복의 요소는 정신질환으로써 질병을 인식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긍정적인 자기상을 재확립하는 것, 삶에 의미를 가지고 책임 있는 자기 삶을 조절하는 것과 지지관계를 유지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회복은 더 이상 단순히 증상 완화가 아닌 개인과 환경 사이에 역동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17.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April. 

  2. L. Keum, S. A. Kim, "Perceived Functional Health Patterns and Recovery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1, no. 2, pp. 238-249, 2012.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2.21.3.238 

  3. M. Y. Kim, "A Study of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covery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38, no. 9, pp. 205-236, 2011. 

  4. C. S. Jung, "Recovery Experience of Participa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A Parse Research Method Study,"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pp. 1-123, 2016. 

  5. K. H. Ha, K. A. Lee, "A Study on the Users' Experience from the Strength-based Practice a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Korea Health & Social Work, vol. 36, pp. 82-106, 2010. 

  6. M. M. Choi, K. Y. Lee, T. W. Eom, "Differences in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Users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in Ko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24, no. 12, pp. 99-124, 2006. 

  7. M. Y. Ko, K. H. Ha, J. I. Park, "A Qualitative Case Study of Empowerment Practice in A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31, pp. 63-99, 2009. 

  8. Mueser K. T, Deavers, F. Penn, D.L. Cassisi, J. E. "Psychosocial treatments for schizophrenia,"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 9, pp. 465-497, 2013. DOI: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050212-185620 

  9. E. S. Kim, E. J. Kim, "The Factors Influencing Rec overy from Mental Illness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National Sciences, vol. 27, pp. 75-86, 2016. 

  10. S. B. Yoo, G. R. Hong.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Resilience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6, no. 4, pp. 333-343, 2017.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4.333 

  11. K. M. Lim,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Korean Recovery Assessment Scal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0, pp. 354-361, 2015. DOI: http://doi.org/10.5392/JKCA.2015.15.10.354 

  12. H. S. Choi. " Major Contents of Revised Mental Health Act and Future Tasks".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vol. 25, no. 1, pp. 7-26, 2017. DOI: https://doi.org/10.17215/kaml.2017.06.25.1.7 

  13. Russinoza Z, Rogers ES, Ellison MI, RPRS ( recoverypromoting relationship scale) Manual: Center for Psy chiatric Rehabilitation,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pp. 1-23, 2006. 

  14. H. J. Kim, "Study on Core Competencies of Comm unity Mental Health Nurs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1, no. 1, pp. 67-78, 2012.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2.21.1.67 

  15. M. S. Hyun, E.Y. Park, Y. H. Kim, Y. R. Kim, M. S Cho, "Mediating Effect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Relation between Hope and Recovery of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a Mental Illness,"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3, no. 3, pp. 156-164, 2014.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3.156 

  16. H. K. Park, J. Y. Kwon,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ase Managers and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of Working Relationship - Focusing on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Korea Health & Social Work, vol. 44, no. 4 pp 154-183, 2016. 

  17. Mancini, M. A. "The Role of Self-Efficacy in Recovery From Serious Psychiatric Disabilities: A Qualitative Study with Fifteen Psychiatric Survivors." Qualitative Social Work: Research and Practice, vol. 6, no. 2, pp. 49-74, 2007. DOI: https://doi.org/10.1177/1473325007074166 

  18. W. S Chae, H. E. R,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Schizophrenia Setting Goals for Recovery in Korea,"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44, no. 2, pp. 35-58, 2016. 

  19. J. Y. Kyun, "A Study on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s perceived by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and Case Managers on Rehabilitation Outcom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5, no. 3, pp. 317-344, 2011. 

  20. H. J. Kim, "Validation study of the recovery-promti on relationship scale (RPRS) for Korean with mental illnes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al Health Nurs., vol. 19, no. 3, pp. 288-98, 2010.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0.19.3.288 

  21. S. Y. M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Case Managers and Outpatient Service Use among Homeles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19, pp. 64-91, 2005. 

  22. Cohen, Jacob.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pp. 112.-155, 1995. 

  23. Rogers, E. S, Chamberkin, J, Ellison, M. I, Crean,T, "A consumer -constructed scale to measure empowement among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hiatric Services, vol. 48, no. 8, pp. 1042-1047, 1997. DOI: https://doi.org/10.1176/ps.48.8.1042 

  24. Young A. S, Forquer S. L, Tran A, Starzynski. M, Shatkin. J, "Identifying clinical competencies that support rehabilitation and empowerment in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Journal of Behavioral Health Services&Research, vol. 27, pp. 321-333, 2000. DOI: https://doi.org/10.1007/BF02291743 

  25. K. O. Son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34, pp. 154-188, 2010. 

  26. Baron, Reuben M, Davi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7. K. H. Ha,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mpower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1, no. 3, pp. 120-145, 2007. 

  28. Y. J. Choi, S. S. Choi, "A Study on the Recovery Attitude and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Attitude, vol. 26, pp. 111-143,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