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Studies Related to Disas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276 - 292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김가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난관련 국내외 연구동향을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재난관련 대응과제 및 발전방향에 대한 기초를 설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관련 문헌검색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0년 이후부터 2017년 2월 28일 까지 재난관련 용어를 조합하여 수행되었고, 총 177편의 문헌 중 선택 및 배제기준을 통해 최종 79편의 문헌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재난관련 연구의 유형은 양적 연구가 31.6%로 가장 많았으며 전공 학문 영역별로는 의학분야에서 수행된 연구가 29.1%로 가장 많았고, 그 외 공학(18.9%), 행정학(13.9%), 간호학(11.4%) 순이었다. 국외의 경우 다중손상사고에서의 환자분류를 위한 트리아제 관련 연구가 많은 반면 국내에서의 트리아제 관련 연구는 전체의 30.4%에 불과하였으며, 대부분 트리아제 개발이나 개발된 트리아제의 효과평가 연구, 트리아제 관련 조사연구, 고찰 등이었다. 또한, 국제간호협회의 재난간호 역량 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응 단계 관련 연구가 72.3%로 가장 많았다. 향후 재난관련 연구는 학제간 융합, 다중손상사고시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환자 분류체계 및 기술 통합 등이 필요하며, 다학제 간 공동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통합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aster-related research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future disaster-related countermeasur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A relat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증하는 재난과 관련하여 현시점에서 보고된 다양한 학문분야의 재난관련 연구 동향 및 현황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유형, 연구주제, 학문별 연구 영역등의 현황을 파악하고, 다중손상사고에서의 환자분류와 관련된 연구동향의 분석, WHO와 ICN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난관리 단계에 따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재난관련 통합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재난관련 연구 및 대응 방향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향후 학제 간 융합 및 통합적 연구, 다중손상사고시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환자 분류체계 및 기술 통합을 위한 다학제간 공동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7년 2월 28일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재난관련 연구 79편을 최종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의 재난관련 연구의 유형, 연구주제, 학문별 영역 뿐 아니라, 재난관리 단계에 따른 연구동향을 검토하였다.
  • 연구유형, 연구주제, 학문별 연구 영역 등의 현황 파악, 다중손상사고(MCIs)에서의 환자분류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WHO와 ICN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난 관리 단계(예방·완화, 대비, 대응, 복구)에 따른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재난관련 통합적인 관리체계 구축, 재난관련 연구 및 대응방향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시점에서 보고된 다양한 학문분야의 국내·외 재난관련 연구 동향 및 현황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의 발생이 미리 대비하기 어려운 속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재난의 발생은 인간의 삶의 질과 행복에 커다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나 그 양상이 복잡하고 다양하여 예측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예기치 않게 발생하기 때문에 미리 대비하기 어려운 속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은 다양한 부처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통해 통합적으로 대비되어야 하며 학문간 지식체 교류와 정보공유를 통한 단일학문 이상의 접근이 요구된다.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은 ‘사회와 구성원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통제 불가능한 상황’으로 국가와 사회 구성원들의 생명과 신체,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입힐 뿐 아니라 체계적 대응이 부족할 경우 국가적인 위기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다. 재난의 유형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사회 재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자연 재난뿐 아니라 교통수단의 발달 및 사회적, 인위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재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재난발생과 관련된 관리 네 단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재난발생과 관련된 관리는 크게 예방·완화, 대비, 대응, 복구의 네 단계로 나누어 제공될 수 있다[3]. 예방·완화단계에서는 위험경감·질병예방·건강증진, 정책개발과 계획, 대비 단계에서는 윤리적·법적 수행과 책무성, 의사소통과 정보공유, 교육과 훈련, 대응단계에서는 지역사회 돌봄, 개인 및 가족 돌봄, 심리적지지, 취약계층의 돌봄, 복구단계에서는 장기적인 개인·가족·지역사회의 회복과 관련된 영역에 초점을 둘 수 있다. WHO와 국제 간호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이하 ICN)에서는 재난의 연속선상에 근거한 관리가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국가적으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며, 기업이나 개인에게는 경제적, 물리적, 심리적으로 안정을 제공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 C. Le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8, no. 3, pp. 432-444, 2014.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432 

  2. M. K. Min, N. B. Lee, S. S. Lee, H. N. Ahn,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disaster of mental health in Korea," Crisisonomy, vol. 12, no. 6, pp. 83-102, 2016. DOI: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6.8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ICN).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Geneva, Switzerland: WHO and ICN; 2009. 

  4. J. Chea, Y. S. Song,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disaster manage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3, no. 6, pp. 24-31, 2009. 

  5. B. S. Choi, J. C. Lee, K. M. Sung, "Ten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5,"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vol. 25, no. 2, pp. 14-25, 2015. 

  6. M. David, L. Alessandro, T. Jennifer,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2009.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0097 

  7. R. Sakashita, "Development in disaster nursing: The challenges of various research designs," Health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vol. 1, no. 1, pp. 19-24, 2014. DOI: https://doi.org/10.24298/hedn.2014-1.19 

  8. A. J. Davis, "Ethics needed for disasters: Before, during, and after," Health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vol. 1, no. 1, pp. 11-18, 2014. DOI: https://doi.org/10.24298/hedn.2014-1.11 

  9. S. Y. Lee, Y. J. Cheon, C. Han, "Comparison prehospital RTS (Revised trauma score) with hospital RTS in trauma severity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Trauma, vol. 28, no. 3, pp. 177-181, 2015. DOI: https://doi.org/10.20408/jti.2015.28.3.177 

  10. H. J. Lee, H. J. Kim, M. L. Lee, H. J. Choi, B. R. Lee, "Development of prehospital triage system (X-MAS)-Based on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Crisisonomy, vol. 12, no. 12, pp. 69-85, 2016. DOI: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12.69 

  11. K. Lorincz, D. J. Malan, T. R. Fulford-Jones, A. Nawoj, A. Clavel, V. Shnayder, et al., "Sensor networks for emergency respons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EEE pervasive Computing, vol. 3, no. 4, pp. 16-23, 2004. DOI: https://doi.org/10.1109/MPRV.2004.18 

  12. T. Gao, D. Greenspan, M. Welsh, R. R. Juang, A. AAlm, "Vital signs monitoring and patient tracking over a wireless network," 27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2006. DOI: https://doi.org/10.1109/IEMBS.2005.1616352 

  13. K. Sakanushi, T. Hieda, T. Shiraishi, Y. Ode, Y. Takeuchi, M. Imai, et al., "Electronic triage system for continuously monitoring casualties at disaster scenes," Journal of Ambient Intelligence and Humanized Computing, vol. 4, no. 5, pp. 547-558, 2013. 

  14. K. J. Kim, J. H. Park, J. W. Lee, Y. B. Kwon, H. H. Park, Y. W. Choi, "Emergency rescue system based on Active location-tracking system,"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 18, no. 2, pp. 283-292, 2008. 

  15. S. W. Lee, S. W. Kim, T. H. Lim, "Public safety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technologies for disaster response and medical assistance,"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5, No. 3, pp. 141-145, 2015. DOI: https://doi.org/10.7599/hmr.2015.35.3.141 

  16. W. S. Lee, H. S. Moon, "Location detection and visualization for buried victim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 disaster area," Crisisonomy, vol.12, no. 12, pp. 47-58, 2016. DOI: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12.47 

  17. J. D. Jung, "Disaster management ICT trends and implications in overseas major countries,"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Issue Paper. 2014-11, 2014. 

  18. J. P. Killeen, T. C. Chan, C Buono, W. G. Griswold, L. A. Lenert, "A wireless first responder handheld device for rapid triage, patient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during mass casualty incidents,"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vol. 2006, pp. 429-433, 2006. 

  19. T. Gao, T. Massey, L. Selavo, D. Crawford, B. Chen, K. Lorincz, et al., "The advanced health and disaster aid network: A light-weight wireless medical system for triage,"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circuits and systems, vol. 1, no. 3, pp. 203-216, 2007. DOI: https://doi.org/10.1109/TBCAS.2007.910901 

  20. H. H. Oh, "Problems and policy direction of Korean emergency medical syste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 105, pp. 1-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