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 경험분석: 포커스그룹 면담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in elderly living alone: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4, 2018년, pp.85 - 91  

김두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강경희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병임 (건양대학교 기초교양교육대학) ,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독거노인의 외로움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적용한 질적내용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D시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28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8명의 대상자를 5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 당 50-70분의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연구참여 자발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피할 수 없는 쓸쓸함', '어쩔 수 없는 죽음', '내 삶의 수용' 인 3개의 주제모음과 '배우자의 부재', '자녀를 위한 독립', '주변인(친구)의 죽음', '홀로 남겨진 죽음의 두려움', '내려놓기', '내 건강 챙기기', '나만의 방식으로 외로움 달래기' 의 7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독거노인 연구대상자들은 어쩔 수 없는 외로움에 대해서 표현하였고, 스스로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도 표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 극복을 위한 다양한 방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the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28 subject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of D city. For the purpose, 28 persons were divi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적합성(applicability)을 위해서는 최대한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경험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감사성 가능성(auditability)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진행 및 분석과정을 빠짐없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증성(confirmability)은 위의 3가지 요소가 확립된다면 확립되었다고 판단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 질적연구를 위한 엄밀성 4가지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그룹 면담을 위해 도입질문 ‘최근 어떻게 생활하고 계십니까?
  • 본 연구 수행 전 포커스그룹에서 사용할 질문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팀에서는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질문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질문은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 교수 3인에게 타당도를 검토 받아 수정 및 보완 하였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연구이다. Fig.
  •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취약계층에 속하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을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이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도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심리적지지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Lincoln과Guba(1985)가 제시한 질적연구의 엄밀성을 높이기 위한 4가지 기준에 맞추어 진행하고자 노력하였다. 첫 번째,신뢰성(credibility)확보를 위해 연구팀은 각 대상자의 인터뷰과정에 있어 연구자의 독거노인의 외로움에 대한 고정관념을 괄호치기(bracketing)하면서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은 독거노인의 불안, 우울, 고독, 외로움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독거노인을 우울, 및 외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고 사회에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임을 시사해주기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을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을 위한 심리적지지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옛날에는 부모와 자식이 같은 집에 사는 개념으로 가구의 의미가 쓰였지만, 현대사회에서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오늘날에는 점차 1세대 가구가 증가 추세를 이루고 있다. 독거노인(獨居老人:the aged living alone)이란 노인이 속한 세대를 구분하는 범주의 하나로 가족 없이 혼자 살아가는 노인 즉, 단독세대 또는 그 상태에 있는 노인을 의미하며, 독거노인가구는 2010년 102만 가구에서 2015년 138만, 2035년 343만 가구로 급증하여 전체노인 중 23.3%에 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
비독거 노인과 비교하여 독거노인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독거노인은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 혼자서 생활 하는 삶을 살아가기 때문에 비독거 노인들에 비하여 신체적 질환이 더 많고 삶의 욕구나 의욕이 상실, 불안, 갈등 등의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이겨내기 힘들고 좌절하기 쉽다[9].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은 독거노인의 불안, 우울, 고독, 외로움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과거에 비해 현대에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옛날에는 부모와 자식이 같은 집에 사는 개념으로 가구의 의미가 쓰였지만, 현대사회에서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오늘날에는 점차 1세대 가구가 증가 추세를 이루고 있다. 독거노인(獨居老人:the aged living alone)이란 노인이 속한 세대를 구분하는 범주의 하나로 가족 없이 혼자 살아가는 노인 즉, 단독세대 또는 그 상태에 있는 노인을 의미하며, 독거노인가구는 2010년 102만 가구에서 2015년 138만, 2035년 343만 가구로 급증하여 전체노인 중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TATISTICS KOREA. (2015). 2015 census, Daejeon: STATISTICS KOREA. 

  2. K. H. Jung. (2013). Living Conditions and Policy Issues of Living Alone, Health/Welfare Issue & Foc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81), 1-8. 

  3. S. D. Chung. (1999). Network Therapy and Its Application to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6(1), 177-205. 

  4. D. B. Kim., & E. S. Sohn. (2005).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5(4), 167-187. 

  5. H. S. Kim. (2017).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07-218. 

  6. Y. J. Kim. (2017).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 for Older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39-349. 

  7. H. S. Kim. (2017). The Regional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the Pre-Elderly/Elderly Suicide Rates and Policy Tasks.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8, 291-298. 

  8. K. S. Chae. (2008). Solitary Senior Citizen's Social Support Status Study: In Taebaek City.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si. 

  9. K. M. Lee. (2006). Mental health of the single elderly in Korea.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0. M. R. Won & K. J. Lee. (2016).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5(3), 195-206. 

  11. K. S. Yu. & H. S. Park. (2003).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4) pp.163-179, 2003. 

  12. J. P. Kim & S. I. Nam. (2015).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Korean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5(3), 671-687. 

  13. T. H. Kim & Y. S. Son. (1984). A Study on Attitude of the Aged toward Death Centering on Family Environm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rianc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4(1), 3-19. 

  14. S. Kim & K. S. Kim. (2016). A Meta 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Death Anxiety of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2), 156-168. 

  15. C. Y. Cho. (2014). Research of how the attitude of old people toward their own death affect their self-estee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3, 203-227. 

  16. M. A. Lee., J. B. Kim., & J. H. Kang. (2011). Living Arran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41-67. 

  17. H. J. Choi & S. K. Back. (2015). A Study on Depressive disposition by Convergence approach of Leisure History and Family situa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295-302. 

  18. S. W. Lee. (2015). Effects of Positive Attitude of Laughter Recreation Convergence Educ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3), 37-49. 

  19. O. H. Kim. (2013). Analysis of Effects which Social Supports and Cohabiting Influence on the Elderly's Mental Health.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2, 234-255. 

  20. H. K. Kim, Q. L. Lin & J. S. Ann. (2011).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1), 33-47. 

  21. S. C. Lee & H. J. Jeon. The Effects of Combined Indicator in Income Level and Living Arrangement,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51, 53-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