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회전근개봉합술 환자의 견관절가동범위와 기능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on Range of Motion, Function and Shoulder Pain among Patients with Rotator Cuff Repair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5, 2016년, pp.491 - 500  

심재옥 (동의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stive exercise using an elastic band on range of motion, function and shoulder pain. Methods: Forty two subjects who had rotator cuff surgery were assigned either to a treatment or a comparison group, twenty one each. Following a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임상에서 회전근개봉합술 후 재활기에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의 효과를 본 연구들이 미비하기에 관절가동범위와 회전근개봉합술 후 회복의 지표가 되는 통증과 견관절기능을 포함하여 저항운동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회전근개봉합술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회복에 필요한 견관절가동범위 회복, 통증 감소, 견관절 기능 개선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회전근개봉합술 환자의 견관절 기능회복을 위한 가정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견관절 기능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견관절의 회전근개파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회전근개 질환은 성인의 어깨 질환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스포츠 및 여가활동 증대와 육체적 노동자, 작업성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견관절의 회전근개파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 대부분의 회전근개질환은 40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노령이 될수록 전층 파열의 빈도가 점차 증가한다[2].
회전근개봉합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회전근개봉합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술 후 통증과 견관절가동범위,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며 재활시기에 맞는 적절한 운동이 요구된다[5-7]. 회전근개봉합술 후 재활의 목적은 약해진 근력을 강화시키고 유착, 구축 등에 의해 감소된 관절운동을 회복하며 쉽게 피로한 근육의 지구력을 기르고, 통증이나 불편함 없이 일상적인 생활로의 기능적인 활동 복귀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6].
견관절의 회전근개파열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가장 흔한 증상은 어깨의 통증으로 일반적으로 운동통과 야간통을 호소하는데 상지를 거상할 때나 하수시 어깨에 불편함을 느끼고 통증을 수반하며 거상하거나 밖으로 어깨를 회전하는 동작의 힘이 저하된다[3].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하면 경과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심각할 정도의 관절강직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러한 상태로 인해 관절운동범위가 제한되는데[2], 회전근개파열이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며 구축을 수반하여 회전이나 거상의 동작이 장애가 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eung MS.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on increase muscle's thickness, function, and range of motion in rotator cuff surgery patients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3. 

  2. The Korean orthpedic association editor. Orthopedics. Seoul: Choishin Medicine Publishing Company; 2006. 

  3. Takagishi Kenji, editor. The shoulder clinical instruction with illustration. Yu CY, translator. Seoul: Medianbook Publising Company; 2007. 

  4. Cho CH, Yeo KG, Yee SK, Jeong KH.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anterolateral 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Shoulder Elbow Society. 2010;13(1):86-91. 

  5. Park SY. The effect of shoulder stabilizing exercise on pain, function, and range os motion for rotator cuff repair patient [master's thesis]. Chungiu: Korea Transportation National University; 2013. 

  6. Kim JH. Rehabilitation after rotator cuff repair. Journal of Korean Arthrocopy Society. 2008;12(2):82-6. 

  7. Kim YK, Jin YS. Range of motion,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in accelerated rehabilita on of knee and shoulder. Journal of Korean Orthropedic Sports Medicine. 2004;2(1):56-71. 

  8. Jang JH. Therapeutic exercise. Seoul: Yeong Moon Publishing Company; 2010. 

  9.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3rd ed. New York: F.A Davis Company; 2001. 

  10. Kim HS, Lee CH. The evaluation of active daily living after patients had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ist. 2003;10(1):30-7. 

  11. Han SS, Her JJ, Kim YJ. Effect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 band on lower limb function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844-54. 

  12. Wingate L. Efficacy of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mastectomies: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1985;65(6):896-900. 

  13. Na YM, Lee JS, Kang SW, Lee HD, Koo JY.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in post mastectomy patients: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Yonsei Medical Journal. 1999;40(1):1-8. 

  14. Choi CH, Cho WS, Jeong HJ, Kim HC, Choi NH. Pain in patients evaluated in outpatient orthopaedic clinics.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8;20(1):83-91. 

  15. Sartain JB, Barry JJ. The impact of an acute pain service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Anesthesia & Intensive Care. 1999;27(4):375-80. 

  16. Kim GY, Kwon BE, Hur HK, Roh YS, Shin MJ. Effects of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perception, and depression in post-stroke el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3):317-26 

  17. Kim DD. Measurement & evaluation. Seoul: Hyumoonsa; 2009. 

  18. Byun SJ, Kang CH, Choi GR, Hong SG.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change research frozen shoulder therapy KT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3;7(3):205-11. 

  19. Chae YR.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shoulder joint function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breast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3):454-66. 

  20. Oh KJ. Comparison of muscular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 pain according to the tear size after a rotator cuff repair when a 12week rehabilitation program is applied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21. Yeo HN, Kim YK, Kang MA, Shin JS.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on pain, range of motion, and fear of falling in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2):266-75. 

  22. Han YW. Effect of theraband exercise on isotonic strength of flexor muscles in upper extremities. Journal of Health Science & Medical Technology. 2000;26(1):49-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