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 커뮤니티 케어의 방문간호서비스 사례 분석

Community Care and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Denmark, Swed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1, 2020년, pp.5 - 21  

한영란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건아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서현 (군산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하재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d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Denmark, Swed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dels for community care nursing services in South Korea. Metho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performed that include journal articles, governm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현지방문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종설 연구이다. 문헌고찰 기간은 2019년 8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며, 문헌고찰 시 검색단어를 해당국가의 방문간호, 가정간호로 설정하여 DBpia, RISS,KISS, Google scholar 등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와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와 국회도서관, 해당국가 보건담당부서 등 정부 기관의 사이트를 검색하여 보고서, 저널, 기관의 게시물 등과 학회발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통합돌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방문형 간호서비스의 발전을 위한시사점을 확인하고 해외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위하여 커뮤니티 케어에서 선진국가로 평가받고 있는 덴마크, 스웨덴, 미국, 일본 4개국의 지역사회기반 방문간호서비스를 비교분석하였다. 덴마크와 스웨덴의 경우 일찍부터 선도적으로 커뮤니티 케어를 진행하고 있으며,그 사업의 하나로 지역사회중심의 방문간호서비스를 정부주도로 제공하고 있고(Ministry of Health Denmark[MHD], 2017; Lee et al.
  •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돌봄과 보건의료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사회적 입원 등 불필요한입원의 증가는 삶의 질 저하와 의료비 상승을 초래하기에, 정부에서는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독립생활 지원 등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으며 살 수 있도록 지역사회통합돌봄을 주요 정책과제로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주요국(덴마크, 스웨덴, 일본, 미국)의 지역사회 기반 방문간호서비스의 현황과 관련 정책 및 서비스 제공현황 등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지역사회기반 통합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 2019), 미국은 조기퇴원과 전환기 간호의 제공으로 지역사회중심의 간호서비스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Stanhope &Lancaster, 2014), 일본은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가로(Japanese VisitingNursing Foundation [JVNF], 2015) 이들 4개국의서비스 현황분석은 지역사회통합돌봄 사업에서 방문간호서비스 모형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덴마크, 스웨덴, 미국, 일본 4개국의 방문간호서비스 사업 배경, 보건의료제도, 주관조직, 재정, 서비스 내용, 간호사의 역할 등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간호서비스로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의료기관가정간호, 장기요양 방문간호가 있으며, 이들 서비스의 제공으로 대상자의 건강행위 실천 향상, 만성질환에 대한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합병증 위험 감소, 의료비절감 등의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Lee, Yang, &Woo, 2018). 이에 따라, 커뮤니티 케어의 도입은 방문간호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증가와 서비스 요구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에 의해 어떤 효과들이 확인된 바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간호서비스로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의료기관가정간호, 장기요양 방문간호가 있으며, 이들 서비스의 제공으로 대상자의 건강행위 실천 향상, 만성질환에 대한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합병증 위험 감소, 의료비절감 등의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Lee, Yang, &Woo, 2018). 이에 따라, 커뮤니티 케어의 도입은 방문간호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증가와 서비스 요구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방문간호서비스가 일부 지역에서 잘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커뮤니티 케어의 도입은 방문간호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증가와 서비스 요구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방문형 간호서비스인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의료기관 가정간호, 장기요양 방문간호는 제공 주체, 서비스 제공자 및 내용, 재원 등이 상이하며, 이들 간의 통합적인 연계체제가 미비하고, 제공자 중심에서 중복되거나 유사한 서비스를 각기 제공하고 있으며(Oh et al., 2015), 서비스제공기관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서비스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CMS]. (2019, November). Medicare Program - General Information. Retrieved October 15, 2019, from https://www.cms.gov/Medicare/Medicare-General-Information/MedicareGenInfo/index 

  2. Choi, Y. H., Im, J. Y., Jung, K. H., Kim, Y. H., & Lee, J. H. (2012). Social security in major countries: Swede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 Han, Y. R. (2019). Community care and nurse care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33(3), 311-325. http://dx.doi.org/10.5932/JKPHN.2019.33.3.311 

  4. Im, J. M. (2018, Summer). The current state of community care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community care centers.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5, 67-77. 

  5. Im, M. H. (2011). Trends of the Swedish health care reforms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7(4), 273-294. 

  6. Jang, B. W. (2009). Long-term care policy in Japan. Seoul: Yangseowon. 

  7. Japan Visiting Nursing Foundation [JVNF]. (2015, July). Visiting nursing system in Japan Retrieved December 2, 2019, from https://www.jvnf.or.jp/hmon/english/vnj2015.pdf. 

  8.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MHLW]. (2011). Overview of medical service regime. Retrieved December 2, 2019, from https://www.mhlw.go.jp/bunya/iryouhoken/iryouhoken01/dl/01_eng.pdf. 

  9. Jo, N. K. (2014). The past and present of the Swedish elderly home help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ocial Service, 5(1), 81-124. 

  10. Jung, H. S. (2019). A study on the role of nurse in community care through the case of Japan. Wonju: Yonsei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1. Kim, E. J. (2011).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providers in the US social service area: Focusing on home health and nursing home. Journal of Social Sciences, 30(1), 67-88. 

  12. Kim, M. J. (2018, Spring). A pay-rate increase in the Japan’s adult social care sector in 2018.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4, 133-142. 

  13.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Nursing Policy. (2006).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role of nurses. Seoul: Author. 

  14. Lee, G., Yang, S. J., & Woo, E. (2018).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32(1), 5-18. http://doi.org/10.5932/JKPHN.2018.32.1.5 

  15. Lee K. S., Sa, G. J., Han, M. K., & Park, Y. M. (2019). Community care Theory and polic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Policy. 

  16. Lee, S. H. (2012). A study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linkages in Korea based on Delphi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7. Lee, Y.S. (2019). Trends of visiting medical care services in the US and Singapore. Policy Trend, 13 (3), 83-97.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19, January). Community care leading project. Retrieved December 22,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7345&SEARCHKEYTITLE&SEARCHVALUE%EC%BB%A4%EB%AE%A4%EB%8B%88%ED%8B%B0%EC%BC%80%EC%96%B4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November). OECD health statistics 2019. Retrieved January 3, 2020, from http://www.mohw.go.kr/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0201&page3&CONT_SEQ327555 

  20. Ministry of Health Denmark [MHD]. (2017, November). Healthcare in Denmark: An overview. Retrieved September 25, 2019, from https://www.sum.dk/English/-/media/Filer%20-%20Publikationer_i_pdf/2016/Healthcare-in-dk-16-dec/Healthcare-english-V16-dec.ashx 

  2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6). Health workforce policies in OECD countries: Right jobs, right skills, right places. Pari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239517-en 

  22. Oh, E. G., Lee, H. J., Kim, Y. K., Sung, J. H., Park, Y. S., Yoo, J. Y., & Woo, S. H. (2015). Current status of home visit programs: Activities and barrier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742-751. http://dx.doi.org/10.4040/jkan.2015.45.5.742 

  23. Olejaz, M., Nielsen, A.J., Rudkjobin, A., Birk, H. O., Krasnik, A., & Hernandez-Quevedo, C. (2012). Denmark: Health system review. Health Care System in Transition, 14(2), 1-192. 

  24. Stanhope, M., & Lancaster. J. (2014). Public health nursing: Population-centered health care in the community. MO: Elsevier. 

  25. Sung, M. S., Jang, H. J., Kim, C. G., Kang, K. H., Nam, K. A., & Park, J. D. (2010). Comparative study of home nursing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four n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211-225. 

  26. Sunwoo, D. (2013). Trends and implications of Japanese long-term care Insurance finance. Health.Welfare Issue & Focus, 213, 1-8. 

  27. Visiting Nursing Center [VNC] Kolding. (2019). Visitation, Kolding Kommune. Retrieved October 22, 2019, from https://pensionist.dk/fritvalgsguiden/laes-mere?bId315 

  28. Yang, S. J., Han, Y. R., Ham, O. K., Lee, G., Kin S. H., & Ha, J. Y. (2019).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multidisciplinary model for nursing,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services: Focused on visiting nursing service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9. Yeo, Y. H., Lee, G. H., Park, J. W., & Lee, S. J. (2018). A study on the policy history and publicity of health and medical reform in the United States.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2(2), 211-236. http://dx.doi.org/10.24210/kapm.2018.32.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