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여성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Mediator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Infertile wo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1, 2018년, pp.96 - 108  

김미옥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김희선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intimac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infertile women. Methods: 165 infertile women visiting a hospital in Gyeonggi-do and Busan, Korea from January 2016 to April 2016. The data was analyzed the SPSS WIN 22.0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 부부친밀감 및 결혼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난임 대상자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주요 요소와 접근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성을 탐색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난임을 진단받고 보조생식술 치료과정 중에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난임 여성의 우울은 결혼만족도와 부부친밀감과 부적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난임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이 개인이 지각하는 관계적 측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는 한편, 부부친밀도가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짐으로써 부부의 친밀감 향상을 통해 우울감으로 인한 결혼만족도의 저하에의 인과결과를 상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임 진단을 받은 여성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는? 난임 여성들은 난임 진단으로 인해 부모됨과 여성성의 문제, 상실감, 슬픔, 관계의 문제와 미래에 대한 희망 상실 등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되며(Lindsey & Driskill, 2013), 난임 치료를 위한 보조생식술 과정에서 또한 수많은 침습적 절차와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과 호르몬 등으로 인해 다양한 심리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Quant, Zapantis, Nihsen, Bevilacqua, Jindal, & Lubna, 2013). 실제 보조생식술을 받기 위해 시술기관을 방문한 여성의 42%에서 매우 심각한 정도의 우울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Hwang, 2013), 체외 수정과정 중 배아이식과 임신 확인 단계는 특히 부정적 정서정도가 높은 시기로 보고되고 있다(Quant et al.
난임이란? 난임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서 1년 이상 자연적으로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 세계적으로 대략 15%가 경험하고 있으며, 개인과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로 난임 대상자 자신 뿐 아니라 관련된 사람들의 정신적, 사회적 안녕에 심각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Tao, Coates, & Maycock, 2012).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2)는 이러한 난임을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안정을 위협하는 잠재적인 세계적 공중보건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난임부부지원사업의 한계는? 우리나라는 난임 치료비의 경제적 부담이 난임 극복의 장애요인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006년부터 ‘난임부부지원사업’을 도입, 보조생식술 비용의 일부를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해오다가 2017년 10월에는 난임 시술비의 건강보험화에 이르렀다. 그러나 기존 지원사업과의 횟수 연계, 연령 및 소득수준의 제한 등으로 인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난임 환자가 상당수에 달하며(Kwak, 2017), 보건소를 방문해 난임시술비 추가지원신청을 하게 되는 이분화된 형태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등 난임 대상자를 위한 적정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난임 대상자를 위한 심리정서 상담은 일부 기관에서만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난임 대상자를 위한 다각적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 Greeff, A. P., & Malherbe, H. L. (2001).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in spouse.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7(3), 247-257. https://doi.org/10.1080/00926230 1750257100 

  3. Lindsey, B., & Driskill, C. (2013). The psychology of infert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birth Education, 28(3), 41-47. 

  4. Chachamovich, J., Chachamovich, E., Fleck, M. P., Cordova, F. P., Knauth, D., & Passos, E. (2009). Congruence of quality of life among infertile men and women: findings from a couple-based study. Human Reproduction, 24(9), 2151-2157. http://dx.doi. org/10.1093/humrep/dep177. 

  5.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3), 381-399. 

  6. Faramarzi, M. H., Pasha, S., Esmaelzadeh, G., Jorsarai, M., & Aghajani, M. S. A. (2013). Is coping strategies predictor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couple infertile? Scientific Research Corporation, 3A, 643-649. http://dx.doi.org/10.4236/health.2013.53A0 85 

  7. Faria, D. E. P., Grieco, S. C, & Barros, S. M. O. (2012). The effects of infertility on the spouses' relationship.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46(4), 794-801. http://dx.doi.org/10.1590/S0080-62342012 000400002 

  8. Greil, A. L., Slauson-Blevins, K., & McQuillan, J. (2010). The experience of infertility: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32(1), 140-162. http://dx.doi.org/10.1111/j.14679566.2009 .01213.x 

  9. Hong, J. E., & Park, J. M. (2017).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pontaneous abortion experiences of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2), 63-77. 

  10. Hwang, N. M. (2013).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3), 161-187. 

  11. Hwang, N. M.., Chae, S. M., Lee, S. L., Kim, Y. S,, Kim, J. G., & Jeon, J. W. (2015). Strategies of infertility counselling program of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 Karimi, S., Hasani, M., Soltani, Z., Dalvand, M. R., & Zohdi, M. H. (2012).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on increasing intimacy between male teachers and their spouses: a case study in Baane City.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tific Research. 2(4), 3653-3659. 

  13. Kwak, S. S. (2017, September). Despite infertility insurance subsidies, 15000 patients cannot benefit, Korean Doctor's Weekly, Avaliable from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7282 

  14. Kim, M, O., Nam, H. A., & Youn, M. S. (2016).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infertility treatm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1), 93-104. http://dx.doi.org/10.5932/ JKPHN.2016.30.1.93 

  15. Kim, M. O., Park, J. S., & Nam, H. A.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under infertility treat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20(3), 228-238. 

  16. Kwon, J. H., & Chae, K. M. (1999).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2). 139-150. 

  17. Lakatos, E., Szigeti, J. F., Ujma, P. P., Sexty, R., & Balog, P. (2017).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 a cross-sectional survey from Hungary. BMC Womens Health, 17(1), 48. http://dx.doi.org/10.1186/s12905 -017-0410-2 

  18. Lee, K. H. (1998). Marriage types classified by wive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intim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Lee, I. S., Moon, J. S. (2000). Knowledge of sex, attitude toward sex, and sexu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4(1), 396-414. 

  20. Lotfi, N., Zarei, E., & Samavi, S. A. (2015). The impact of infertility counseling on intimacy between infertile couples of Qeshm. Journal of Applied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Sciences, 5(7), 192-196. 

  21. Mindes, E., Ingrama, K., Kliewera, W., & James, C. (2003). Longitudinal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supportive social interaction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women with fertility problems. Social Science & Medicine, 56, 2165-2180. http://dx.doi.org/10.1016/S0277-9536(02)0 0221-6 

  22. Mouavi, S. S., Klyani, M. N., Karimi, S., & Piriaee, 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infertile women. Scholars Journal of Applied Medical Sciences, 3(1D), 244-248. 

  23. Moura-Ramos, M., Gameiro, S., Canavarro, M., & Soares, I. (2012). Assessing infertility stress: Re-examin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Human reproduction, 27(2), 496-505. http://dx.doi. org/10.1093/humrep/der388 

  24. Quant, H. S., Zapantis, A. Nihsen, M., Bevilacqua, K., Jindal, S., & Lubna, P. (2013). Reproductive implications of psychological distress for couples undergoing IVF. Journal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s, 30, 1451-1458. http://dx.doi.org/ 10.1007/s10815-013-0098-7 

  25. Snyder, D. K. (1979).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813-823. 

  26. Tao, P,, Coates, R,, & Maycock, B. (2012). Investigating marital relationship in infertility: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Journal of Reproduction & Infertility, 13(2), 71-80. 

  27. Wilson, A., Weedin, E. A., O'Leary, D. W., Hansen, K. R., Carter, A., & Craig, L. T. B. (2014). The effects of fertility treatment on depression, anxiety, and marital satisfaction. Austin Journal of Women's Health, 1(1), 4.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Current practices and controversies in assisted reproduction; report of a meeting on medical, ethical and social aspects of assisted reproduc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9. Yoo, Y. S., & Cho, O H. (2001). Spouse support,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of post-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5(1), 148-156. 

  30. Youn, D. A.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