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정책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Policy Activity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Perso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23 - 28  

이향수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전공)

초록

정치 활동이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 있어서 최근에는 온라인에서 활동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정책 활동이 정보화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들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소득수준도 정(+)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활용 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도 정(+)의 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에 대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다양한 정보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activiti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in politica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policies. Therefore,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can affect the participation in policy in the onl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policy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ve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하에서는 먼저 디지털정보격차지수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경험적 분석을 통해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는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소득수준간의 회귀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화수준과 소득수준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우선 2017년의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집단의 디지털정보격차지수와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치활동이나 정책 활동이 정보화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2017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정책 활동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정치활동이나 정책 활동이 정보화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2017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정책 활동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만일, 장애인들이 디지털정보접근, 디지털 정보 활용, 디지털정보역량 등 정보화 수준에 따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도 차이가 있다고 밝혀진다면, 장애인들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전략이나 접근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라 판단된다.
  • 이하에서는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책(政策)이란 무엇인가? 정책(政策)은 결정 사항을 안내하고 합리적인 결과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원칙이나 규율을 가리킨다. 사전적 의미로는 정치나 정무를 시행하는 방침이다.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더구나 최근 선거운동이 광장 등에서 이뤄지기 보다는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더 중요해짐을 볼 때, 정보화 역량 수준이 정치활동이나 정책 활동에의 영향력 정도는 훨씬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까지 정보격차와 관련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어떤 측면에서의 연구였는가? 그동안 정보격차와 관련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실태파악이나 그들의 열악한 정보화 수준에 대한 진단 측면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2-4]. 그러나 점점 일반국민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정책참여가 시대적 화두가 되어가고 있는 이즈음 장애인들은 정책과정에 얼마나 참여하고 있는지 혹은 디지털정보화수준이 그들의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 밀접한 연관은 없는지에 대한 본 연구는 매우 창의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1%85 

  2. H. S. Lee & S. H. Lee. (2018). A Study on Digital Divide of Farmers and Fisher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13-20. DOI: 10.14400/JDC.2018.16.1.013 

  3. H. K. Nam-Gung, I. H. Kim & H. R. Chun. (2017). Study on the Correlates of Digital Disparity among Older Seoul Resi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73-81. DOI : 10.14400/JDC.2017.15.4.73 

  4. I. K. Jeon & J. H. Chung. (2015). Study of GUI design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users of aged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323-331. DOI : 10.14400/JDC.2015.13.7.323. 

  5.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 NIA. (2017).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6. S. Y. Lee & M. J. Cheong. (2014). A Study on 'Platform' e-Government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n a Multicultural Society of S.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1-12. DOI : 10.14400/JDPM.2014.12.1.1. 

  7. W. K. Kim & K. T. Hwang. (2017).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Directions of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63-81. DOI : 10.14400/JDC.2017.15.10.63 

  8. S. Y. Pi & S. J. Do. (2017).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65-71. DOI : 10.14400/JDC.2017.15.4.65 

  9. Y. S. Cho, J. R. Woo & K. S. Noh. (2017). Application Profile for Multi-Cultural Content Based on KS X 7006 Metadata for Learning Resour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91-105. DOI : 10.14400/JDC.2017.15.4.91 

  10. B. J. Lee & S. H. Lee.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to Customer Orientation in Convergence Era - The Mediating Effect of S Electronic Employee's Trust to Lead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99-109. DOI : 10.14400/JDC.2016.14.9.99 

  11. Y. J. Jo. (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nectivity and Convenience of Smartphones of Word-of mouth Intentions in the Convergence Era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ppli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69-78. DOI : 10.14400/JDC.2015.13.5.69 

  12. S. K. Kim, S. J. Lee & J. G. Kim.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ased Big Data Distribution Model Based on Big Data Distribution Ec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95-106. DOI : 10.14400/JDC.2016.14.5.95 

  13. J. K. Kang & J. Y. Lee. (2015). Status and Tasks of ICT-base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67-76. DOI : 10.14400/JDC.2015.13.1.67 

  14. J. I. Ahn & Y. K. Seo. (2014). An Analysis of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Focusing on the effects of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69-78. DOI : 10.14400/JDC.2014.12.2.69 

  15. S. Choi. (2016). Study on ICT standardization unify North and South Korea- North Korea open Internet induction pl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4), 79-88. DOI : 10.14400/JDC.2016.14.4.79 

  16. K. S. Noh & S. H. Park. (2013). Measures for e-Learning Policy Effectiveness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Maturity of Korean Policy Appli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11-19. DOI : 10.14400/JDPM.2013.11.1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