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브랜드편익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 상표신념의 매개효과와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brand benefit on the brand extension : focused on trademark belief and categorical similar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127 - 135  

이선택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김귀곤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편익(상징적 vs. 기능적)이 브랜드확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특히 상표신념의 매개효과와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점집단면접과 프리테스트를 통해 2개의 제품범주(시계와 가방)에서 각각 2개의 모브랜드(롤렉스 vs. 카시오, 프라다 vs. 코치)와 2개의 확장제품(팔찌, 구두)을 자극물로 선정하고, 구글(www.google.com)의 설문조사 사이트를 통해 전국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196개의 표본자료를 수집하여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193개의 응답지로 최종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가 추구하는 브랜드편익에 따라 브랜드확장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하였으며, 이는 상표신념에 의해 완전 매개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브랜드편익이 브랜드 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범주적 유사성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표신념의 구축이 브랜드확장 전략의 하나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범주적 유사성을 고려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브랜드 편익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 본 연구를 활용하여, 브랜드 적합성 또는 충성도 등 다양한 조절요인과 매개요인과의 관계설정도 가능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rand benefit on brand extens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ademark belief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tegorical similarity. This study restates that brand benefit affect consumers' brand extension attitude and confirms that 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이 브랜드 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범주적 유사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조절효과도 상표신념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의 무형자산 가치를 높여주는 상표신념이 브랜드확장전략의 하나로 기업에서 이용될 수 있는지와, 기업에서 활용되는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범주적 유사성을 고려해야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에게 이론적․실무적 도움을 주는 실증적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 기능적)에 따른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가 달라지는 주효과의 재검증과 함께 그들 관계에 대해 소비자에게 내재하는 모브랜드에 대한 상표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이 브랜드 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범주적 유사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조절효과도 상표신념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의 무형자산 가치를 높여주는 상표신념이 브랜드확장전략의 하나로 기업에서 이용될 수 있는지와, 기업에서 활용되는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범주적 유사성을 고려해야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에게 이론적․실무적 도움을 주는 실증적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브랜드편익에 따라 상표신념이 달라지며, 모브랜드의 상표신념이 높을수록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가 높아지는 관계를 상표신념의 매개효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이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의 범주적 유사성에 조절되는, 특히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에 따른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를 조절하는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는 상표신념에 의해 매개되어 조절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모브랜드를 이용한 브랜드확장에 대한 조절요인과 매개요인이 서로 연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상징적 vs. 기능적)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를 모브랜드의 상표신념이 매개하며,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의 범주적 유사성이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브랜드편익(상징적 vs. 기능적)에 따른 브랜드 확장태도의 영향을 평가하며, 상표신념의 매개효과와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브랜드편익에 따라 상표신념이 달라지며, 모브랜드의 상표신념이 높을수록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가 높아지는 관계를 상표신념의 매개효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이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의 범주적 유사성에 조절되는, 특히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에 따른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를 조절하는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는 상표신념에 의해 매개되어 조절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모브랜드를 이용한 브랜드확장에 대한 조절요인과 매개요인이 서로 연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한 가설설정을 확인하기위하여 상징적 브랜드편익과 기능적 브랜드편익을 동시에 연상시키는 자극물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대학원생 2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여 2개의 제품 범주(시계, 가방)에서 각각 2개의 모브랜드(롤렉스 vs.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상징적 vs.기능적)에 따른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가 달라지는 주효과의 재검증과 함께 그들 관계에 대해 소비자에게 내재하는 모브랜드에 대한 상표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이 브랜드 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범주적 유사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조절효과도 상표신념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H1 : 모브랜드로부터 상징적 브랜드편익을 연상하는 소비자는 기능적 브랜드편익을 연상하는 소비자보다 상표신념이 높을 것이다.
  • H2 : 모브랜드에 대한 상표신념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의 브랜드확장에 대한 태도는 호의적일 것이다.
  • H3 :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과 브랜드확장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상표신념에 의하여 매개될 것이다.
  • H4: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상징적 vs. 기능적)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는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의 범주적 유사성에 따라 조절된다.
  • H5: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가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의 범주적 유사성에 의하여 조절될 때, 이러한 범주적 유사성의 조절효과를 모브랜드의 상표신념이 매개한다.
  • 가설 H1은 브랜드편익(상징적 vs. 기능적)에 따라 상표신념이 다르다는 것이며, 가설 H2는 모브랜드에 대한 상표신념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의 브랜드 확장에 대한 태도는 호의적이라는 것이며, 가설 H3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과 브랜드확장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상표 신념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을 대비코딩(상징적= 1, 기능적 = -1)한 이후에 단순회귀분석 또는 t-test를 실시하였다.
  • 가설 H4는 모브랜드의 브랜드편익(상징적 vs. 기능적)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태도는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의 범주적 유사성에 따라 조절된다는 것이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브랜드편익을 대비코딩(상징적= 1, 기능적 = -1)하고 브랜드편익(BEN9))과 범주적 유사성(SIM10))의 상호작용항(BEN*SIM)을 생성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범주적 유사성이 브랜드확장에 대한 초기 적합성평가의 이론적 근거로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범주적 유사성은 확장제품이 모브랜드와 제품범주적으로 유사하다고 지각하는 정도로 정의되며, 이는 브랜드확장에 대한 초기 적합성평가의 이론적 근거로 사용되었다[15]. 즉 확장제품의 범주와 모브랜드 범주가 유사하다고 높게 지각될수록 브랜드확장에 대한 태도는 모브랜드의 소비자 태도에 좌우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범주적 유사성이 높은 경우에는 모브랜드의 중요한 제품속성이 확장제품에 공유되므로, 브랜드편익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는 범주적 유사성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브랜드편익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확장태도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브랜드편익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연상들 중의 하나인 브랜드편익은 기업이 표적소비자의 마음속에 심어주고 싶은 구체적 의미인 소비자측면의 연상이라 할 수 있다. 즉 브랜드편익은 소비자가 어떤 브랜드를 떠올렸을 때 연상되는 해당 브랜드만의 독특하고 추상적인 의미라고 할 수 있다[12,13]. 브랜드편익은 소비자의 니즈와 관련되어 있으며 경험적 편익과 기능적 편익, 그리고 상징적 편익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브랜드편익은 어떻게 나뉘는가? 즉 브랜드편익은 소비자가 어떤 브랜드를 떠올렸을 때 연상되는 해당 브랜드만의 독특하고 추상적인 의미라고 할 수 있다[12,13]. 브랜드편익은 소비자의 니즈와 관련되어 있으며 경험적 편익과 기능적 편익, 그리고 상징적 편익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경험적 편익은 ‘제품사용과정에서 추구하는 긍정적인 느낌과 같은 니즈’와 관련되어 있으며, 기능적 편익과 상징적 편익은 제품구매를 통해 소비자가 충족하고자하는 니즈와 관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G. Suh & I. K. Koo. (2015). Brand marketing (Second edition). Paju : Hakhyunsa 

  2. I. H. Choi. (2017). Effects of Similarity and Type of Extended Product on Brand Extension Strategy: Direct vs. Sub-bran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3. Punyatoya. P. (2013). Consumer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 for Global and Local Brands: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Similarity.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25(3), 198-215. DOI : 10.1080/08961530.2013.780857 

  4. S. R. Yoo. (2016). The effects of perceived fit on brand valu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an extended brand in food service brand extens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brand knowledge and brand salience.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5. J. W. Chang, H. Zhang & Y. C. Lou. (2016, Feb). Brand Similarity, Cohesiveness, and Diversity in Extension Feedback Effects. Winter Marketing Academic Conference 2016. (pp. A-38), Las Vegas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6. W. A. Woo. (2015). Effect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Parent Brand of a Hotel Food Service Chain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Extended Brands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the loyalty on the parent brand.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9(6), 127-150. ECN : ECN-0102-2015-300-002082400 

  7. K. H. Cho & H. S. Bae. (2017).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of the in-flight meal quality,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17-327. DOI : 10.15207/JKCS.2018.9.3.001 

  8. W. A. Woo & H. B. Kim (2015). Effect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Parent Brand on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of Hotels F&B Extended Brands: Focusing on Mediation of the Awareness on the Parent Brand.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8(3), 179-202. ECN : ECN-0102-2016-320-000389324 

  9. S. K. Kwon. (2016). Customer-Brand Relational Effect According to Engagement Levels of Brand Trans-action Experi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Brand Identification.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9(3), 3-14. ECN : I410-ECN-0102-2017-650-000533247 

  10. D. I. Tag. (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Benefit of Facebook Fan Page i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199-206. DOI : 10.15207/JKCS.2015.6.5.199 

  11. S. H. Seo. (2018). The Effects of Parent Hotel Brand Equity on Extended Brand Attitud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Extended Brand Service Quality.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12. S. E. Heckler, K. L. Keller, M. J. Houston & J. Avery. (2012). Building brand knowledge structures: Elaboration and interference effects on the processing of sequentially advertised brand benefit claims.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20(3), 176-196. DOI : 10.1080/17544750.2012.660766 

  13. H. O. Do & S. H. Lee. (2016). The Relation of Brand Extension Strategy and Customers Expectation Benefit.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17(4), 107-121. DOI : 10.15706/jksms.2016.17.4.006 

  14. Y. D. Kim. (2016). The patent attribute belief and the attitude toward brand in functional bran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inking style. Master's thesi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15. G. G. Kim. (2008). The psychological underline mechanism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in an evaluation for brand extension. Doctoral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16. Y. C. Kwon. (2016). A Comparative Study of Preference Between Heuristic and Fishbein Attitude Model According to the Brand Concep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inking Style. Master's thesi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17. H. O. Do. (2012). A Study of the Brand Extension and Extension Advertisement on the Hotel Brand Concep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hinking Style. Doctoral dissert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18. H. C. Lim. (2013). The Effects of Brand Extension Strategies for Franchise Extension on Brand Familiarity and Purchase Intention. The Korean Food Service Association, 9(3), 67-79. DOI : 10.22509/kfsa.2013.9.3.006 

  19. G. G. Kim, T. H. Cha & S. W. Chun. (2008). Category similarity in an evaluation for brand extension : Focused on interference effect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9(4), 199-215. DOI : 10.11108/kagis.2016.19.4.199 

  20. J. Y. Lim. (2016).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llaboration marketing conformity strategy on brand extension assessmen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C. S. Lim. (2015). Study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of Consumer Preference and Brand Concept : Focused on Similarity.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1054-1063. DOI : 10.5762/kags.2015.16.2.1054 

  22. Y. Pan. (2015). Effects of Brand Concept on Evaluation of Extended Product: Moderating Effect of Construal Level and Type of Product.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