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f-understanding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tudents : A Mediating Effect of the Future-Oriented Think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355 - 361  

김남중 (미래세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지역 중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자기이해 척도, 미래지향적 사고 척도, 자기주도 학습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미래지향적 사고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고취를 위해 자기이해와 미래지향적 사고 발달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가정과 학교차원의 자기이해 및 미래지향적 사고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elf-understanding influences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oriented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240 middle school students in G area were surveyed using self-understanding scale, future-or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자기이해과 자기주도 학습간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교사나 타인의 도움과 상관없이 스스로 학습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있다[6-8].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활동에 주체가 되어 학습동기와 목표를 진단하고, 학습 성취를 높이기 위한 모든 과정에서 의사결정과 행위 주체가 되는 일련의 학습상황을 의미한다.
  • 하지만 중학생은 자기이해의 발달적 과업에 직면하고 있으며, 학생이라는 학습자의 역할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이 둘 간의 관계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자기주도 학습의 선행요인으로 보고된 자기이해 변인을 심층적으로 다루어 발달적 관점의 자기이해와 자기주도 학습의 실증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아울러 자기이해와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이해는 무엇인가? 중학생의 발달적 특성 중 하나는 자기를 이해하는 시기라는 점이다. 자기이해는 ‘대상을 알려고 하는 바로 그 자신’을 고찰하는 것으로, 사물에 대해 아는 것은 관찰 가능한 정보와 이해이지만, 자신에 대해 아는 것은 사물을 이해하는 인간 자체에 대한 앎이다. 즉 자기이해는 어느 사물을 알아가는 것보다 더 근원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점이고, 이를 위해 타자보다는 자기변화와 역동적인 상태를 통합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11].
현대 사회의 변화와 관현하여 OECD의 12개국은 무엇은 강조하고 있는가?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세계경제포럼에서도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개인의 일상생활에서부터 사회 전반에 걸쳐 대변혁을 전망하였다[1].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OECD의 12개국은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 도구의 지적활용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2]. 하지만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OECD의 12개국은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 도구의 지적활용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2]. 하지만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의 읽기, 수학, 과학의 성취 수준은 매우 높지만, 교과에 대한 흥미도는 26위로 OECD 평균 이하 수준이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laus Schwab.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Newpresent, 10-15. 

  2. K. P. Kim.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chool Education, Journal of Peaceology, 6(2), 62-78. 

  3. http://www.oecd.org/pisa/country/korea 

  4. Ministry of Education. (2017). 2017 National 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http://www.moe.go.kr.. 

  5. J. S. Choi & E. A. Park. (2012).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n terms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4), 23-45. DOI : G704-001282/JDC.2012.20.4.014. 

  6. S. H. Jang, Y. H. Min, D. R. Lee & M. Y. Lee. (2014).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3), 409-424. DOI : G704-001652/JDC.2014.23.3.003 

  7. J. H. Kang. (2011). A Study on Utilizing SNS to Vitalize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5), 265-274. 

  8. Guglielmino, P. J & Guglielmino, L. M.(2006), Cultu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er Capita Income in Five Countries,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71(2), 21-28. DOI: 0036-0805/JDC.44949648. 

  9. H. I. Jo & H. Y. Kwon. (2011). Development of Web-based Academic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5), 1857-1871. DOI: 10.15703/JDC: 12.5.201110.1857. 

  10. E. Y. Heo. (2009).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Middle Education Study, 57(2), 209-234. DOI: 10.25152/JDC: 2009.57.2.209. 

  11. J. S. Kim. (2017). Self-Comprehensive in Art Education and Creativity-Character. Journal of Art Education, 49, 1-22. 

  12. Deweck, C. S. (2008).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sychology Press. 

  13.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4. N. J. Huh. (2005). An analytical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n learner's variables.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15. S. Y. Lee & Y. Y. Kim. (2015).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309-318. DOI: 10.14400/JDC: 2016.14.3.309 

  16. H. S. Oh. (2017).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11-321. DOI: 10.14400/JDC: 2017.15.8.311 

  17. D. B. Kim & J. D. Kwon. (2010).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eoul: Hakjisa, 209-210. 

  18. J. K. Kim, Y. S. Kang, S. W. Ahn, J. K. Park, S. Y. Hwang, J. Y. Kim, H. J. Kang & S. K. Woo. (2013). The Cognitive, Academic, adaptive behavior and emotional-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t-risk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s.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6(1), 43-64. DOI: 10.20971/JDC: 2013.56.1.43. 

  19. Pintrich, P. P. & De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chology, 82, 33-40. 

  20. T. R. Frame, S. M, Cailor, R. J. Gryka, A. M. Chen, M. E. K iersma, L. Sheppard. (2015). Student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vs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9(4), 51-61. 

  21. E. Y. Heo. (2009).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Middle Education Research, 57(2), 209-234. DOI: 10.25152/JDC : 2009.57.2.209. 

  22. B. S. Kim, H. R. Song & M. J. Kim. (2011).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Program for Self-Directed Career Explor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2), 155-181. DOI: G704-001285/JDC: 2011.24.2.009. 

  23. E. Lim, Y. K. Jeong & K. A. Sang. (2001). A Technical Report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4. E. K. Lee.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upon the Self-efficient.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25. J. Y. Han. (2008). Study on Validity of SDLRS Instrument for Evaluation of Life-Long Outcome. Engineering Education Study, 11(4), 64-75. DOI: 10.18108/JDC: 2008.11.4.64. 

  26. S. E.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7. B. Y. Bae.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Principles and Practices. Seoul: Chungram, 

  28. K. S. Kim.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oul: Hannarae Academ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