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용 유니트 수관에서 분리한 세균의 부착 및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Abilities of Bacteria Isolated from Dental Unit Waterline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8 no.2, 2018년, pp.69 - 75  

윤혜영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미생물학교실, 구강과학연구소) ,  이시영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미생물학교실, 구강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연구의 목적은 DUWL에서 배출되는 물에서 분리한 균주의 부착 능력과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을 확인하고 두 능력 사이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DUWL로부터 분리한 12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균주의 부착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12-well plates의 각 well에 멸균된 glass coverslip, R2A 액체 배지, 그리고 $1{\times}10^8CFU/ml$의 농도로 조정된 세균 현탁액을 넣고 $26^{\circ}C$ 배양기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glass coverslip에 부착한 정도에 따라 1~3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분리 균주의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96-well polystyrene flat-bottom microtiter plate에 R2A 액체 배지와 세균 현탁액을 넣고 $26^{\circ}C$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plate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은 R2A 액체 배지에 현탁했고, 현탁액을 R2A 고체 배지에 도말하였다. $26^{\circ}C$에서 7일 배양한 후 세균의 집락을 계수하고 CFU/ml를 계산하였다. DUWL로부터 총 56균주가 분리되었으며, 12속과 31종을 포함하였다. 실험에는 속당 1균주씩 선택하여 총 12균주가 사용되었다. 12균주 중에 S. echinoides, M. aquaticum, C. pauculus의 부착 능력 점수는 +3으로 가장 높았다. 바이오필름 축적량은 C. pauculus가 가장 많았고, M. testaceum이 가장 적었다. 대부분의 부착 능력이 높은 균주는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 또한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DUWL 바이오필름의 형성 기전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나아가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의 개발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mpare the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abilities of isolates from water discharged from dental unit waterlines (DUWL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 total of 15 DUWLs. Twelve isolate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o confirm the adhesion ability of the iso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수계(water system)나 구강 등과 같은 환경에 존재하는 바이오필름을 실험실에서 간단히 재현할 수 있는 장치로는 well-pl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22,23).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DUWL에서 배출되는 물에서 분리한 균주의 부착 능력과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을 glass coverslip과 wellplate를 사용하여 확인하고 두 능력 사이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DUWL에서 분리한 균주의 바이오필름 능력 및 부착 능력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12균주들 중 Sphingomonas spp.
  • 우리 연구의 목적은 DUWL에서 배출되는 물에서 분리한 균주의 부착 능력과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을 확인하고 두 능력 사이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DUWL로부터 분리한 12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UWL 바이오필름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 방법들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DUWL 물 내 세균 수를 줄이면서 DUWL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화학소독제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9,10). DUWL 바이오필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다면 남아있는 바이오필름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의 재성장을 허용하면서 물 내 세균 오염이 계속되기 때문에 DUWL 바이오필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학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11-13).
치과용 유니트 수관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치과용 유니트 수관(dental unit waterlines, DUWL) 내 물의 관리는 환자와 환자 사이, 치과종사자와 환자 사이의 교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1,2). DUWL에서 배출되는 물에는 많은 미생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생물의종에 대해서는 이전 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3-5).
치과용 유니트 수관에서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는 과정은 무엇인가? DUWL 바이오필름은 DUWL 내면에 conditioning film의 형성, 세균의 가역적 및 비가역적 부착, 세균과 세균 사이 응집으로 인한 군집화, 그리고 세균의 군집과 세포외다당류(exopolysaccharide, EPS)의 결합과정으로 성숙한다14). DUWL에 부착하는 세균의 종에 따라 DUWL 바이오필름을 구성하는 세균의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세균의 다양성은 소독제에 대한 바이오필름의 감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alker JT, Bradshaw DJ, Finney M, et al.: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dental unit water systems in general dental practice in Europe. Eur J Oral Sci 112: 412-418, 2004. https://doi.org/10.1111/j.1600-0722.2004.00151.x 

  2. O'Donnell MJ, Boyle MA, Russell RJ, Coleman DC: Management of dental unit waterline biofilms in the 21st century. Future Microbiol 6: 1209-1226, 2011. https://doi.org/10.2217/fmb.11.104 

  3. Barbeau J, Tanguay R, Faucher E, et al.: Multiparametric analysis of waterline contamination in dental units. Appl Environ Microbiol 62: 3954-3959, 1996. 

  4. Singh R, Stine OC, Smith DL, Spitznagel JK Jr, Labib ME, Williams HN: Microbial diversity of biofilms in dental unit water systems. Appl Environ Microbiol 69: 3412-3420, 2003. https://doi.org/10.1128/AEM.69.6.3412-3420.2003 

  5. Szymanska J, Sitkowska J, Dutkiewicz J: Microbial contamination of dental unit waterlines. Ann Agric Environ Med 15: 173-179, 2008. 

  6. Dutil S, Tessier S, Veillette M, et al.: Detection of Legionella spp.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in dental unit waterlines. J Appl Microbiol 100: 955-963, 2006. https://doi.org/10.1111/j.1365-2672.2006.02845.x 

  7. Szymanska J, Sitkowska J: Opportunistic bacteria in dental unit waterlines: assessment and characteristics. Future Microbiol 8: 681-689, 2013. https://doi.org/10.2217/fmb.13.33 

  8. Costa D, Mercier A, Gravouil K, et al.: Pyrosequencing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dental unit waterlines. Water Res 81: 223-231, 2015. https://doi.org/10.1016/j.watres.2015.05.065 

  9. Cobb CM, Martel CR, McKnight SA 3rd, Pasley-Mowry C, Ferguson BL, Williams K: How does time-dependent dental unit waterline flushing affect planktonic bacteria levels? J Dent Educ 66: 549-555, 2002. 

  10. Walker JT, Bradshaw DJ, Fulford MR, Marsh PD: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a range of disinfectant products to control mixed-species biofilm contamination in a laboratory model of a dental unit water system. Appl Environ Microbiol 69: 3327-3332, 2003. https://doi.org/10.1128/AEM.69.6.3327-3332.2003 

  11. Whitehouse RL, Peters E, Lizotte J, Lilge C: Influence of biofilms on microbial contamination in dental unit water. J Dent 19: 290-295, 1991. https://doi.org/10.1016/0300-5712(91)90075-A 

  12. Meiller TF, Kelley JI, Baqui AA, DePaola LG: Laboratory evaluation of anti-biofilm agents for use in dental unit waterlines. J Clin Dent 12: 97-103, 2001. 

  13. Meiller TF, Depaola LG, Kelley JI, Baqui AA, Turng BF, Falkler WA: Dental unit waterlines: biofilms, disinfection and recurrence. J Am Dent Assoc 130: 65-72, 1999.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99.0030 

  14. Walker JT, Marsh PD: Microbial biofilm formation in DUWS and their control using disinfectants. J Dent 35: 721-730, 2007. https://doi.org/10.1016/j.jdent.2007.07.005 

  15. Liu Y, Zhang W, Sileika T, Warta R, Cianciotto NP, Packman A: Role of bacterial adhesion in the microbial ecology of biofilms in cooling tower systems. Biofouling 25: 241-253, 2009. https://doi.org/10.1080/08927010802713414 

  16. Simoes LC, Simoes M, Vieira MJ: Influence of the diversity of bacterial isolates from drinking water on resistance of biofilms to disinfection. Appl Environ Microbiol 76: 6673-6679, 2010. https://doi.org/10.1128/AEM.00872-10 

  17. Park JH, Lee JK, Um HS, Chang BS, Lee SY: A periodontitis-associated multispecies model of an oral biofilm. J Periodontal Implant Sci 44: 79-84, 2014. https://doi.org/10.5051/jpis.2014.44.2.79 

  18. Eginton PJ, Holah J, Allison DG, Handley PS, Gilbert P: Changes in the strength of attachment of micro-organisms to surfaces following treatment with disinfectants and cleansing agents. Lett Appl Microbiol 27: 101-105, 1998. https://doi.org/10.1046/j.1472-765X.1998.00390.x 

  19. Modesto A, Drake DR: Multiple exposures to chlorhexidine and xylitol: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by Streptococcus mutans. Curr Microbiol 52: 418-423, 2006. https://doi.org/10.1007/s00284-005-0104-0 

  20. Bodenmiller D, Toh E, Brun YV: Development of surface adhesion in Caulobacter crescentus. J Bacteriol 186: 1438-1447, 2004. https://doi.org/10.1128/JB.186.5.1438-1447.2004 

  21. Antunes AL, Bonfanti JW, Perez LR, et al.: High vancomycin resistance among biofilms produced by Staphylococcus species isolated from central venous catheters. Mem Inst Oswaldo Cruz 106: 51-55, 2011. https://doi.org/10.1590/S0074-02762011000100008 

  22. Yoon HY, Lee SY: Establishment of a dental unit biofilm model using well-plate. J Dent Hyg Sci 17: 283-289,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4.283 

  23. Walker C, Sedlacek MJ: An in vitro biofilm model of subgingival plaque. Oral Microbiol Immunol 22: 152-161, 2007. https://doi.org/10.1111/j.1399-302X.2007.00336.x 

  24. de Lillo A, Ashley FP, Palmer RM, et al.: Novel subgingival bacterial phylotypes detected using multiple univers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 sets. Oral Microbiol Immunol 21: 61-68, 2006. https://doi.org/10.1111/j.1399-302X.2005.00255.x 

  25. Stepanovic S, Vukovic D, Hola V, et al.: Quantification of biofilm in microtiter plates: overview of testing conditions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assessment of biofilm production by staphylococci. APMIS 115: 891-899, 2007. https://doi.org/10.1111/j.1600-0463.2007.apm_630.x 

  26. Yabune T, Imazato S, Ebisu S: Assessment of inhibitory effects of fluoride-coated tubes on biofilm formation by using the in vitro dental unit waterline biofilm model. Appl Environ Microbiol 74: 5958-5964, 2008. https://doi.org/10.1128/AEM.00610-08 

  27. Simoes LC, Simoes M, Vieira MJ: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on polystyrene by drinking water-isolated bacteria. Antonie Van Leeuwenhoek 98: 317-329, 2010. https://doi.org/10.1007/s10482-010-9444-2 

  28. Azeredo J, Oliveira R: The role of exopolymers produced by Sphingomonas paucimobilis in biofilm formation and composition. Biofouling 16: 17-27, 2000. https://doi.org/10.1080/08927010009378427 

  29. Rickard AH, McBain AJ, Ledder RG, Handley PS, Gilbert P: Coaggregation between freshwater bacteria within biofilm and planktonic communities. FEMS Microbiol Lett 220: 133-140, 2003. https://doi.org/10.1016/S0378-1097(03)00094-6 

  30. Yabune T, Imazato S, Ebisu S: Inhibitory effect of PVDF tubes on biofilm formation in dental unit waterlines. Dent Mater 21: 780-786, 2005. https://doi.org/10.1016/j.dental.2005.01.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