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9.12 경주지진 및 11.15 포항지진의 구조손상 포텐셜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Structural Damage Potentials Observed in the 9.12 Gyeongju and 11.15 Pohang Earthquake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2 no.3, 2018년, pp.175 - 184  

이철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성용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지훈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  김동관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태진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  박경훈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9.12 Gyeongju and 11.15 Pohang earthquakes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probable explanations and reasons for the damage observed in the 11.15 Pohang earthquake from both earthquake and structural engineering perspectives. The damage potentials like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11.15 포항지진에 의해 발생한 지진피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미지 포텐셜 관점에서 2016년 발생한 9.12 경주지 진과의 지진공학적/구조공학적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손상 포텐셜이라 함은 좁은 의미에서는, 지반가속도기록 자체가 지닌 구조물에 대한 손상유발 가능지표로, 지반가속도의 최대값, 강진동작용시간 또는 총 진동에너지(가령 아리아스 진도) 등을 의미한다.
  • 12 경주지진 당시 관측된 기록들로부터 지반조건 SB 상의 관측소로부터 계측된 기록 중 최대가속도가 가장 큰 MKL의 HGE성분과 SC 지반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USN계측소로 부터 계측된 지진기록의 HGN성분을 고려하였다 [5-7]. 본 연구에서는 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한 100 Hz 샘플링 데이터를 활용하되, 기본진동수가 10 Hz 이하인 일반건물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20 Hz이상의 성분들을 필터링하였다.
  • 본 논문은 계측된 가속도기록을 바탕으로 지진파의 시각력 및 주파수영역 분석, 단자유도 진동계의 탄성 및 비탄성 응답스펙트럼 분석, 실제 저층 필로티 건물의 응답해석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포항지진과 경주지진의 특성을 내진공학적 손상 포텐셜 관점에서 다각도로 분석하여 관측된 피해의 원인을 추론하고 더 나아 가서 향후 연구방향, 내진보강이나 내진설계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주기에 대한 이론해인 식 (3)을 바탕으로 Fig. 13과 같이 PHA2 관측소가 위치한 토사지반의 분포를 가정하고, 등가선형해석방법으로 Figs. 14 및 15와 같이 해당지반의 디콘볼류션함수(deconvolution function)와 증폭함수(amplification function)를 도출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 14 및 15와 같이 해당지반의 디콘볼류션함수(deconvolution function)와 증폭함수(amplification function)를 도출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암반까지의 깊이는 30 m 이고, 감쇠비가 5% 인 평균전단파속도 210 m/s 토층으로 가정되었다.
  • 5초와 1초주기 건물을 대상으로 비선형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때 각각의 시스템 속성 가운데 항복강도 fy가 중력하중의 10% 수준으로 설계되었다고 가정하였으며, 그 밖의 해석조건은 앞서 동일연성도 스펙트럼 작성에 적용된 것과 동일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과강도계수를 적용하여 소요강도를 산정할 뿐만 아니라 역량설계 법에 의해 충분한 전단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구조기준에서 요구하는 설계부재력 (Design)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기둥의 휨모멘트가 휨내력을 약 65% 초과하였으나, 특별지진하중에 의한 전단력은 보유 전단강도보다 낮아 허용범위를 만족하였다. 그러나 KBC2016 0520.3.3.1에 따라 단부의 휨강도를 통해 산정한 전단력 (=Ve )을 적용하는 경우 약 6%정도 전단내력이 부족한 결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철근이 누락되지 않은 경우에도 전단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과강도계수를 적용하여 소요강도를 산정할 뿐만 아니라 역량설계 법에 의해 충분한 전단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기상청이 발표한 11.15 포항지진의 규모는? 이 11.15 포항지진의 본진은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M L (리히터규모) 5.4, M W (모멘트규모) 5.4 [1], 진원깊이는 3~7 km로 [2], USGS에 따르면 M W 5.4로, 진원깊이는 11.
기상청이 발표한 11.15 포항지진의 본진의 진원깊이는? 4, M W (모멘트규모) 5.4 [1], 진원깊이는 3~7 km로 [2], USGS에 따르면 M W 5.4로, 진원깊이는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omestic Earthquake List. Available from: http://www.kma.go.kr/weather/earth quake_volcano/domestic.jsp. 

  2. KMA, Detailed analysis result of 11.15 Pohang earthquake. Available from: 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3456. 

  3. U.S. Geological Survey. Available from: https://www.usgs.gov/. 

  4. KBS. Estimated damage for Pohang earthquake is estimated at 97.1 billion won. 2017/12/04 10:50, http://md.kbs.co.kr/news/view.do?ncd3578812. 

  5. Lee CH, Park JH, Kim TJ, Kim SY, Kim DK. Damage potential analysis and earthquake engineering-related implications of Sep.12, 2016 M5.8 Gyeongju earthquake.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6 Dec;20(7):527-536. 

  6. Earthuq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Website. Revision of second analysis of Pohang earthquske response spectra. 2017/11/21, http://eesk.or.kr/html/sub07_index.jsp?ncodea0001No.138. 

  7. Shin DH, Hong SJ, Kim HJ. Investigation on effective peak ground accelerations based on the Gyeongju earthquake record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6 Dec;20(7):425-434. 

  8. Trifunac MD, Brady AG. A study on the duration of strong earthquake ground motio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75;65(3):581-626. 

  9. Philippacopoulos AJ. Recommendations for resolution of public comments on USI (unresolved safety issues) A-40, seismic design criteria. Upton, New York: Div. of Safety Issue Resolution, Brookhaven National Lab.; c1989. 

  10. Applied Technology Council. Tentative prov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ismic regulations for buildings. ATC-3-06 (NBS SP-510).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c1978. 

  11.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Korean building code and commentary. Seoul: Kimoondang; c2016. 

  12. Lee YW. Derivation of estimating formulas for seismic strength of RC frames designed to gravity load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02;6(3):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