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Major Satisfaction as a Mediator of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Comparing i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with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1, 2018년, pp.29 - 38  

박미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유하나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or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major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universities randomly chosen from 47 universiti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자연공학 계열 학생의 경우 독립변수인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전공만족도가 부분매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의 조절요인으로 전공만족도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보건사업에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연공학계열의 대학생들의 경우는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고민되어야 할 것이며, 인문사회계 열의 대학생들의 경우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을 매개하는 중재 가능한 변인들을 찾는 연구들이 계속되기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전공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전공계열로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계열과 상관없이 취업 스트레스와 전공만족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전공만족도와 우울은 음의 상관관계가,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전공계열별로 분석하여 추후 대학생 들의 정신건강을 중재하기 위한 변인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자기효능감은 개인적 요인에 대한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13,14] 반복 적으로 진행되고 있었고, 전공만족도와 취업 스트레스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연구[9], 전공만족도와 취업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10],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파악한 연구[15]등이 있었으나 아직 다른 변수들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전공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전공계열로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이 우울증을 느끼는 원인은 무엇이며 어떠한 증상이 있는가?? ‘2012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24세의 연령의 가장 큰 고 민은 직업이었고, 이 연령의 청년은 10대 청소년과 달리 자살을 하고 싶은 까닭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직장 문제를 호소한다[1]. 최근의 한 뉴스 기사에 의하면 대학생들이 취업 전쟁에 95%가 우울증을 느끼며, 우울증의 원인은 미래에 대한 불안, 계속되는 구직 실패, 취업경쟁에 자신이 없어서 등이었고 우울증의 증상으로 불면증, 무기력, 소화 장애, 공황장애 등을 호소하고 있다[2]. 대졸자들의 심각한 취업난으로 학문의 추구가 주된 목적이었던 대학들도 학생들의 취업 지원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취업률 향상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전공만족도란 무엇인가? 전공만족도란 자신의 전공에 대한 기대치에 대한 만족과 주변인들의 평가 정도를 나타내며, 학생이 전공에 만족하지 못하면 성적 저조, 대학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불안과 신경증 등 심리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대학의 면학 분위기 저해와 졸업 후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전공과 관련성이 낮은 업무를 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9]. 또한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면 스트레스와 우울 증세가 증가하며, 정서적 문제와 학업성취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10].
전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적성과 상관없이 선택한 전공이 만족하지 못했을경우 부작용은 무엇인가? 전공만족도란 자신의 전공에 대한 기대치에 대한 만족과 주변인들의 평가 정도를 나타내며, 학생이 전공에 만족하지 못하면 성적 저조, 대학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불안과 신경증 등 심리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대학의 면학 분위기 저해와 졸업 후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전공과 관련성이 낮은 업무를 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9]. 또한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면 스트레스와 우울 증세가 증가하며, 정서적 문제와 학업성취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10]. 따라서 전공에 대한 이 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적성과 상관없이 전공을 선택하고 만족 하지 못했을 때 대학생활 동안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변수들을 탐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2 Youth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2 [cited 2016 October 30].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3#quick_02 

  2. Park YJ. Mental illness deepening in job hunting [Internet]. Seoul: Newsis; 2016 [cited 2016 October 30]. Available fr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714_0014220666&cID10201&pID10200 . 

  3. Cho MJ, Park JI, Bae A, Bae JN, Son JW, Ahn JH, et al. 2011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Mental Health Report. Sejong Ci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December. 

  4. Kwak HJ, Kim HJ. A meta-analysis of related factors depression of Korea university student. Korea Youth Research. 2013;20(7):75-98. 

  5. Jin SH, Sung EM.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ith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department of a universit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12;31(1):1-18. 

  6. Jung YY, Yang JH.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employment str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20(3):229-248. 

  7. Chung M.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maturity on the employment anxie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014;12(1):81-104. 

  8. Moon JH.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vocation selection -Focused on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spitality and tourism-.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2015;17(1):323-347. 

  9. Lee MR, Park BH.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prepar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14;11(4):77-93. 

  10. Byun EK, Park SH.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323-330. https://doi.org/10.5762/KAIS.2014.15.1.323 

  11. 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Internet]. Seoul: Department of Education; 2016 [cited 2017 September 30]. Available from: http://kess.kedi.re.kr/index) 

  12. Lee J, Youn B.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outcomes by college majors: Comparing graduates i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with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012;22(4):199-226. 

  13. Lee YK, Kang KH. The analysis about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of undergraduates-In focus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colleg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1;14(2):60-67. 

  14. Ko GP, Sim MY. The structural relation of self-efficacy, job stress,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14;27(1):19-38. 

  15. Kim JU, Ji YO.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seeking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16(12):1313-1334.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2.1313 

  1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7. Lee MS. A study on the employment stress scale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1. p. 1-88. 

  18. Park HS. A study of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satisfaction with major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ervice-related majors [master's thesis]. Gwangju: Honam University; 2015. p. 1-56. 

  19. Lee Y, Song J.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1):98-113. 

  20.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21. Sobel M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13:290-312. 

  22. Yoo T. College students 37.3% "I want to change my major" [Internet]. Seoul: Edudonga; 2017 [cited 2017 October 6]. Available from: http://news.edupang.com/news/article.html?no6077 

  23. Hwang Y, Baek B.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2008;11(2):1-23. 

  24. Choi SH, Lee H. Affecting factors in unemployment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focused on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808-816.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808 

  25. Kim E, Choi K. The effects of the depression and job-seeking stress on the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2;19(2):231-239. 

  26. Jeon HO.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7):312-323.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12 

  27. Lee IS, Cho JY. Employment stress,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1;13(2):745-758. 

  28. Sin HG, Jang JY.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gender, job-seeking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ollege senior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4):815-827. 

  29. Hammarstorm A, Janlert U. Nerv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longitudinal study of youth unemployment: selection or exposure. Journal of Adolescence. 1997;20:293-305. https://doi.org/10.1006/jado.1997.0086 

  30. Yun WS.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Agnew's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2016;13(1):9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