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건강증진 교육요구
Needs for Children's Health Promotion Education as Perceived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Mothe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86 - 198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박선남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이미란 (예다솜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eeds for children's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s as perceived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moth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88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70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from Janua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어머니가 인식한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 증진 교육실태와 건강증진 교육요구를 확인하고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에게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실태와 교육요구를 확인하였다. 보육 교사와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가 건강증진 교육목표, 교육전략및 수단, 세분화된 교육주제에 관해 일치된 건강증진 교육요구를 갖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실태와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에 대해 기존 단편적인 연구들과 차별화하여 교육목표, 교육전략 및 수단, 세분화된 교육주제별로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요구를 확인하여 변화하는 국가 정책을 반영한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교육적, 임상적 의의가 있다. 다만, 일 지역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앞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와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가 인식한 최근 1년 동안의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건강증진 교육실태를 조사 및분석하였다. 보육교사와 어머니, 학령전기 아동이 받은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건강증진 교육 유무, 건강증진 교육전략 및 수단, 건강 증진 교육주제를 살펴 본 결과, 건강증진 교육을 받은 경험은 보육 교사가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보다 더 많이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7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교육요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변화하는 사회요구와 가족의 구조 및 기능 변화에 따른 보육시설에서의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여 아동의 발달과 건강에 관심이 있으며 건강증진 요구를 갖고 있는 보육교사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 교육요구를 확인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건강증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전기란? 학령전기는 3~6세로써 인간행동의 기본적인 형성단계이다. 신체와 정신적 성장이 빠르며, 자아통제력, 자율성과 솔선감이 발달되며 건강행동을 위한 기초적인 토대가 형성된다[1].
학령전기가 중요한 가치를 갖는 이유는? 신체와 정신적 성장이 빠르며, 자아통제력, 자율성과 솔선감이 발달되며 건강행동을 위한 기초적인 토대가 형성된다[1]. 학령전기 아동의 기본적인 생활습관 형성과 건강상태는 평생건강의 기초가 되고 아동의 건강은 가정, 지역사회와 국가의 잠재력 강화에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1]. 따라서 아동의 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 바람직한 태도와 습관 형성은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중요하다.
학교보건법 상 학교의 현 상황은? 우리나라는 성장 및 발달시기의 건강증진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학교보건법 상, 학교의 장이 건강증진계획을 수립하고 보건교육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8]. 이 법 상의 학교란 유치원에서 대학까지를 의미하며 어린이집은 교육이 아닌 보육시설로 분류되고 있어 세계보건기구의 보건교육전문위원회가전 생애주기 동안 건강증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육을 위해 분명한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함을 권장하고 있음에도[9] 어린이집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계획 수행과 교육의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영유아보육법및 아동복지법 상에 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지향 방향과 일부 교육 주제가 제시되어 있으나, 건강증진 교육에 대한 실시 책임과 연계성 있는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하고[10], 건강증진 교육을 위한 분명한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함을 권장하며 생활습관 형성 등에 대한 보육교사의 건강증진 교육요구가 있음에도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와 같은 유아 관련 상위조직에서 제시하는 교육주제로 보건교육을 하는 경향이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won MS, Han SJ, Yoon OS, Song MS.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components for early childhood and the investigation of teachers' awareness and performance rate of heal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4):453-464. 

  2. Lee YR, Ja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3rd ed. Paju: Soomoonsa; 2017. p. 25. 

  3. Lee YR, Ja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3rd ed. Paju: Soomoonsa; 2017. p. 387-390. 

  4. Ko Y, Baek HJ. Status and needs assessment of health education in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8;22(2):237-245. 

  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Act No.14777,18.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7 [cited 2018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health+promotion&x0&y0#liBgcolor17. 

  6. Yang EY, Kim IO.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6):3648-3657.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648 

  7. Kim ES, Yoo HM, Choi EY, Choi HM, Bea YJ, Yang MS, et al. National childcare survey in 2015-Household survey report. Furniture Survey Report. Sejong,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January. Report No.: 11-1352000-000961-12. 

  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School health Act. Act No.14057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6 [cited 2016 April 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health+promotion&x0&y0#liBgcolor17. 

  9. Lee YR, Ja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3rd ed. Paju: Soomoonsa; 2017. p. 58. 

  10.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fant care Act. Act No.14597 [Internet]. Sejong-si: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7 [cited 2018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infant+care&x0&y0#liBgcolor2. 

  11. Kim HS, Lee CY, Lee TH, Ham OK. Health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daycare centers for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6;23(1):109-123. 

  12. Kim SJ, Yang SO, Lee SH, Lee JE, Kim SH, Kang K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2):74-83.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2.74 

  13. Crowley AA. Child care health consultation: An ecological model. Journal of the Society of in Pediatric Nurses. 2001;6(4):170-181. 

  14.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Framework act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ct no.14216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6 [cited 2016 May 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health+promotion&x0&y0#liBgcolor3. 

  15. Kim IO, Park HJ. A survey on knowledge,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 child care teacher on infant health management. Journal of Korea's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7(5):99-120. 

  16. Kim IO, Kim YH, Park JS, Kim SJ, Oh SE, Chang GJ, et al.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in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25(1):84-94. 

  17. Chung HS. Development of a pre-service training program for prospective foster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Welfare. 2008;6(4):41-63. 

  18. Kim H, Ra J, Lee H, Choi E. Health management status of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14(3):295-304. 

  19.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Health plan 2020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cited 2018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khealth.or.kr/hp2020/bbs.do?pgNoHB001. 

  20. Lee YR, Ja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3rd ed. Paju: Soomoonsa; 2017. p. 17-18. 

  21. Lee YR, Ja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3rd ed. Paju: Soomoonsa; 2017. p. 21-32. 

  22. Kim SJ, Lee JE, Yang SO, Kang KA, Chang EY, Oh KS, et al. Perception of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ssues and needs in child health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1):10-21.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1.10 

  23. Lee YR, Ja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3rd ed. Paju: Soomoonsa; 2017. p. 268. 

  24. Eom OJ. A study on the health care and health education of child care centers [master's thesis]. Suwon: Kyonggi University; 2004. p. 1-60. 

  25. Lee SJ, Chung YI, Moon DH, Kang SH. A study on health education behavior of parent for preventive health care of kindergarten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2;19(1):109-132. 

  26. Cho S, Lee H, Choi B, Kim B, Kim S, Choi H. Correlation between caries experience and new colorimetric caries activity test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5;42(1):30-37. https://doi.org/10.5933/JKAPD.2015.42.1.30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st master plan for children polic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8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8498&page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