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 대상 집중관리프로그램이 혈액성상 및 당뇨지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on a Blood Biochemical Profile and Diabetes Knowledg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2, 2018년, pp.148 - 161  

여수정 (조선대학교병원 영양팀) ,  김복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therapies on the hematological status and diabetes knowledge of diabetic patients. For this purpose, a 12-week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was provided to diabetic patients participating in an exercise program in S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뇨지식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자가 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수정 가능한 요인이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많은 연구에서 교육을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고 있다[21]. 그런 면에서 보았을 때 본 연구는 당뇨병 질환 및 영양교육이 10시간 가량 포함된 12주간의 집중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정보와 지지가 당뇨병을 가진 대상자를 위한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효과를 본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대상자 평균 연령이 67세 이상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대단히 고무적인 결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 대상 집중관리프로그램의 참여가 혈액성상 및 당뇨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광주광역시 서구 S보건지소에서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으로 구성된 집중관리프로그램을 받은 제2형 당뇨병환자 26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인 당화혈색소를 판정 가능한 12주의 기간과 매회 대상 자와의 만남을 통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서구 S보건지소 운동프로그램 참여자 중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운동요법과 식사 요법으로 구성된 집중관리프로그램을 매회 방문을 통해 실시하여 집중관리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혈액성상, 당뇨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화혈색소의 역할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당화혈색소는 적혈구의 수명 기간인 2-3개월 동안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18]. 하지만 보건소에서 실시한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면 3-4회로 구성된 한 달 이내의 단기 교육프로그램이거나[14,19], 12주 이상의 장기 교육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매 회 대상자와의 만남을 통한 교육이 아닌 방문과 전화를 통한 교육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20].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이 혈당조절에 중요한 치료법이라는 근거는? 당뇨병 관리는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의 복합적인 실천이 요구된다. 내당능장애 환자에게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을 통한 생활습관 개선으로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 감소하였고[6],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운동이 당화혈색소를 감소시켰다[7]. 따라서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은 당뇨병의 발병을 감소시키고 혈당조절에 매우 중요한 치료 방법이라 생각된다.
당뇨병 환자를 위한 보건소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엔 무엇이 있을까? 하지만 보건소에서 실시한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면 3-4회로 구성된 한 달 이내의 단기 교육프로그램이거나[14,19], 12주 이상의 장기 교육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매 회 대상자와의 만남을 통한 교육이 아닌 방문과 전화를 통한 교육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20]. 대상자와 교육자가 만나는 횟수가 많을수록 당화혈색소가 많이 감소하였다는 선행 연구결과[21]를 볼 때, 영양사와 만남을 통한 식사상담과 영양교육을 규칙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진행한다면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Cho KO. A comparative study assessing metabolic profile and diet quality in college women according to their mother's diabetes mellitus. J Korean Diet Assoc 2009; 15(1): 1-9. 

  2.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SH.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3th ed. Paju: Kyomunsa; 2011. p. 4-374. 

  3.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Diabetes Atlas Eighth Edition 2017 [internet]. 2017.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atlas.org/across-the-globe.html 

  4.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6.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7 [internet]. 2017 [cited 2017 October 17].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10000&brdScnBltNo4&brdBltNo2293&pageIndex1#none 

  6. Tuomilehto J, Lindstrom J, Eriksson JG, Valle TT, Hamalainen H, Ilanne-Parikka P et al.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mellitus by changes in lifestyle among subject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N Engl J Med 2001; 344(18): 1343-1350. 

  7. Boule NG, Haddad E, Kenny GP, Wells GA, Sigal RJ. Effects of exercise on glycemic control and body mas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clinical trial. JAMA 2001; 286(10): 1218-1227. 

  8. Song MS, Song KH, Ko SH, Ahn YB, Kim JS, Shin JH et al. The long-term effect of a structured diabetes program for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 a 4-year follow-up. Diabetes 2005; 29(2): 140-150. 

  9. Lee JY, Kim CB. Direction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in Korea. Korean J Health Promot 2000; 2(1): 3-12. 

  10. Kim SY, Kim S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on overweight and obese middle-aged women in Jeonbuk area: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4): 307-322. 

  11. Kim MJ, Kwon SJ, Lee SY. Effects of low glycemic index nutrition education on the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J Nutr 2010; 43(1): 46-56. 

  12. Kang HJ, Sin EM, Kim KW.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older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34-745. 

  13. Kim TY, Um SH, Kim WY, Chang NS. Group lunch visits are public health center improve glycemic control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Nutr Soc 2004; 37(4): 302-309. 

  14. Oh JY,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85-497. 

  15. Lee YA, Kim KN, Chang NS.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and diet qual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2008; 41(1): 54-64. 

  16. Yim KS, Min YH, Lee TY. Evaluation of effect on nutrition counseling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t a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1997; 3(2): 192-210. 

  17. Meloche J. Cooking with class: participation soars with hands-on learning and take-aways. J Nutr Educ Behav 2003; 35(2): 107-108. 

  18.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p. 2-147. 

  19. Kim TY, Um SH, Kim WH, Chang NS. Group lunch visits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mprove glycemic control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Nutr Soc 2004; 37(4): 302-309. 

  20. An SY. Effect of intensive health management program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master's thesi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21. Norris SL, Lau J, Smith SJ, Schmid CH, Engelgau MM.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glycemic control. Diabetes Care 2002; 25(7): 1159-1171. 

  22. Korean Diabetes Association. Glycosiatrics. 3th ed. Seoul: Golyeouihag; 2005. p. 189-190. 

  23. Kim TY. Group lunch visits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mprove glycemic control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3. 

  24. Shim WS, Hong SB, Choi YS, Choi YJ, Ahn SH, Min KY et al. Development of two parallel diabetes knowledge tests. Diabetes 2006; 30(6): 476-486. 

  2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diet selection screening (beginner) [internet].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4 [cited 2014 April 18].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pro/news/index.php?codeboard&modeview&number1040. 

  26. Kwon Y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valuation instrument to measure diabetic patients' compliance with diet therap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27. Park YJ, Park HH, Ryu SY.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a public health center. J Agr Med Commun Health 2010; 35(3): 287-300. 

  28. Son SM, Kim HJ. Effect of 12-week low calorie diet and behavior modification on the anthropomeric indice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of obese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4): 525-535. 

  29. Shin EY, Kim CH, Yoo WS, Kim HG, Kim CY.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in Korean community. J Korean Community Nurs 2003; 14(4): 559-567. 

  30. Koproski J, Pretto Z, Poretsky L. Effect of an intervention by a diabetes team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1997; 20(10): 1553-1555. 

  31. Engelgau MM, Thompson TJ, Herman WH, Boyle JP, Aubert RE, Kenny SJ et al. Comparison of fasting and 2-hour glucose and HbA1c levels for diagnosing diabetes: diagnostic criteria and performance revisited. Diabetes Care 1997; 20(5): 785-791. 

  32. Lowe LP, Liu K, Greenland P, Metzger BE, Dyer AR, Stamler J. Diabetes, asymptomatic hyperglycemia, and 22-year mortality in black and white men: the Chicago Heart Association Detection Project in Industry Study. Diabetes Care 1997; 20(2): 163-169. 

  33. Hanefeld M, Fischer S, Julius U, Schulze J, Schwanebeck U, Schnechel H et al. Risk factors for myocardial infarction and death in newly detected NIDDM: the Diabetes Intervention Study, 11-year follow-up. Diabetologia 1996; 39(12): 1577-1583. 

  34. Kim JH, Chang SA.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2009; 33(6): 518-525. 

  35. Koev DJ, Tankova TI, Kozlovski PG. Effect of structured group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and hypoglycemia in insulin-treated patient. Diabetes Care 2003; 26(1): 251. 

  36. Moon SJ, Shon CY, Kim JH, Kim HS, Lim HS, Lee HC et al. Measurement of nutrition counseling effects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Nutr 1994; 27(10): 1070-1077. 

  37. Kim MJ, Kwon SJ, Ly SY. Effect of low glycemic index nutrition education on the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J Nutr 2010; 43(1): 46-56. 

  38. Lee MR, Song MS. Long term effects of a self-care education program promoting self-efficacy for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J Korean Gerontol Nurs 2003; 5(1): 91-101. 

  39. Howe CJ, Jaward AF, Tuttle AK, Moser JT, Peris C, Buzby M et al. Education and telephone case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ediatr Nurs 2005; 20(2): 83-95. 

  40. Kang HJ, Shin EM, Kim KW.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older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34-745. 

  41. Yang SO, Ahn SY, Yim ES, Kwon MS. The effects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Gangwon-do: Focused on hypertension and DM cli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8; 19(1): 88-100. 

  42. Seo HJ, Jung MS, Park GH. Diabetic knowledge, perceived stress, response patterns o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in diabetic patients. J Kyungpook Nurs Sci 2003; 7(2): 1-18. 

  43. Kim YS, Seung JJ, Kim DM, Kim SB, Yoo HJ.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iet-education program of diabetes. Diabet Metab J 1986; 10(2): 191-195. 

  44. Olson JC, Sims LS. Assessing nutrition knowledge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 Nutr Educ 1980; 12(3): 157-161. 

  4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3. 

  46. McCulloch DK, Mitchell RD, Ambler J, Tattersall RB. Influence of imaginative teaching of diet on compliance and metabolic in insulin dependent diabetes. Br Med J 1983; 287(6408): 1858-186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