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상 기상 및 $PM_{2.5}$ 농도, GOCI 위성의 AOD 등 다양한 관측 자료와 WRF-CMAQ 모델링을 통해 2016년과 2017년의 우리나라 가을철 $PM_{2.5}$ 농도변화 원인을 분석하였다. 지상에서 관측된 2017년 전국 평균 $PM_{2.5}$ 농도는 2016년에 비해 약 12.3% ($3.0{\mu}g/m^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해간 $PM_{2.5}$ 농도 차이는 10월과 11월의 두 사례(사례1: 10월 11일~10월 20일, 사례2: 11월 15일~19일) 기간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2017년의 기상조건이 2016년에 비하여 국외로부터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수송이 어렵고, 국내의 대기환기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WRF-CMAQ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상조건 변화가 $PM_{2.5}$ 농도에 미치는 정량적인 영향을 평가한 결과, $PM_{2.5}$ 모의농도는 2016년 대비 2017년의 사례1 기간에는 64.0% ($23.1{\mu}g/m^3$) 감소, 사례2 기간에는 35.7% ($12.2{\mu}g/m^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관측 농도 기반 감소율인 53.6% (사례1)와 47.8% (사례2)에 상응하는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기상조건 변화가 우리나라 가을철 $PM_{2.5}$ 농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상조건 변화로 인한 우리나라 $PM_{2.5}$ 농도 감소에 미친 국내외 기여율은 사례1 기간에 국외로부터의 장거리 수송영향이 52.8% 그리고 대기환기 효과에 따른 국내영향이 47.2% 로 국내외 영향이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사례2 기간에는 국외영향이 66.4% 그리고 국내영향이 33.6%로서 국외영향의 감소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cause of $PM_{2.5}$ concentration changes for the fall in 2016 and 2017 in South Korea using ground measurement data such as meterological variables and $PM_{2.5}$, AOD from GOCI satellite, and WRF-CMAQ modeling system. The result of ground m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국가 대기질 측정 자료, 지상 기상 관측 자료, GOCI 위성 자료 등 다양한 관측 자료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과 미세먼지 농도 간 비선형성을 반영할 수 있는 대기질 모델링을 활용하여 PM2.5 농도 변화의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국내외 기여 수준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5 농도 감소에 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지상관측 자료와 위성자료, 기상-대기질 모델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PM2.5 농도 변화에 대한 원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만, 기상-대기질을 활용한 모의 결과는 물리·화학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가정과 모델링에 입력되는 기상·배출량의 불확실성을지니고 있어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2.5란 무엇인가? 대기 중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는 인체 건강, 기후변화(IPCC 2013, IPCC 2007), 시정(Seinfeld & Pandis 2006) 등 다양한 문제와 연관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직경이 2.5μm 보다 작은 미세먼지인 PM2.5는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어 호흡기와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시킴 동시에 조기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WHO 2013; Pope et al.
PM2.5의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PM2.5는 산업시설, 수송, 발전소 등의 배출원에서 직접 배출되는 1차 생성입자와 배출원에서 배출된 가스 상 전구물질이 대기 중 화학 반응하여 만들어지는 2차 생성입자로 구성된다. 대기 중 PM2.
PM2.5이 PM10과 다른점은 무엇인가? 2001; Schwartz et al. 1996), PM10 보다 작은 입자크기로 인해 입자의 수가 많고 표면적이 넓어 체내로의 이동이 용이함에 따라 인체 유해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Gong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enjey W, Houyoux M, Susick J. 2001. Implementation of the SMOKE emissions data processor and SMOKE tool input data processor in Models-3. U.S. EPA. 

  2. Bernard SM, Samet JM, Grambsch A, Ebi KL, Romieu I. 2001. The potential impact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on air pollution health effects in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09(2): 199-209. 

  3. Byun DW, Ching S.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CMAQ) Modeling System. EPA Report. EPA/600/R-99/030, NERL, Research Triangle Park, NC. 

  4. Carter W. 1999. Documentation of the SAPRC-99 Chemical Mechanism for VOC Reactivity Assessment. Report to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5. Chen F, Dudhia. 2001. Coupling an advanced land surface hydrology model with the Penn State-NCAR MM5 modeling system. Part I: Model implementation and sensitivity. Mon. Wea. Rev. 129: 569-585. 

  6. Choi JK, Heo JB, Ban SJ, Yi SM, Zoh KD. 2013.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at the coastal area in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47: 370-380. 

  7. Choi KC, Lim YJ, Lee YH, Lee JB, Woo JH, Kim ST, Nam KP, Myong JS, Kim TH, Jang LS. 2018. Performance evaluation of air quality forecasting system for $PM_{2.5}$ concentrations applied by predicted emission inventories over China and South Korea (accepted in 2018). [Korean Literature] 

  8. Di Q, Wang Y, Zanobetti A, Wang Y, Koutrakis P, Choirat C, Dominici F, Schwartz J. 2017.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the Medicare Popul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6(26): 2513-2522. 

  9. EMEP/MSC-W, 1999: Computing Source-Receptor Matrices with the EMEP Eulerian Acid Deposition Model. 

  10. Fajersztajn L, Veras M, Barrozo LV, Saldiva P. 2013. Air Pollution: a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 for lung cancer. Nat. Rev. Cancer. 13: 674-678. 

  11. Gong SY, Bae HJ, Yoon DO, Hong SP, Park HY. 2012. 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_{2.5}$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2. Gilliand AB., Hogrefe C, Pinder RW, Godowitch JM, Foley KL, Rao ST. 2008. Dynamic evaluation of regional air quality models: Assessing changes in O3 stemming from changes in emissions and meteorology. Atmospheric Environment. 42(20): 5110-5123. 

  13. Guenther A, Hewitt CN, Erickson D, Fall R, Geron C, Graedel T, Harley P, Klinger L, Lerdau M, Mckay WA, Pierce T, Scholes B, Steinbrecher R, Tallamraju R, Taylor J, Zimmerman P. 1995. A global model of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J. Geophys. Res.. 100: 8873-8892. 

  14. Han JS, Kim YM, Ahn JY, Kong BJ, Choi JS, Lee SU, Lee SJ. 2006. 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flux during 1997-2004. Atmosphere. 22(1): 99-106. 

  15. Hong SY, Dudhia J, Chen SH. 2004. A revised approach to ice microphysical processes for the bulk parameterization of clouds and precipitation. Monthly Weather Review. 132(1): 103-120. 

  16. Hong SY, Noh Y, Dudhia J. 2006. A new vertical diffusion package with and explicit treatment of entrainment processes. Monthly weather review. 134(9): 2318-2341. 

  17. IARC. 2013. Outdoor air pollution a leading environmental cause of cancer death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18. IPCC. 2007. Working Group 1 Contribution to the IPCC's 4th Assessment Report. 

  19. IPCC. 2013. Working Group 1 Contribution to the IPCC's 5th Assessment Report. 

  20. Jeon W, Choi Y, Percell P, Souri AH, Song CK, Kim ST, Kim JH. 2016. Computaionally efficient air quality forecasting tool: implementation of STOPS v1.5 model into CMAQ v5.0.2 for a prediction of Asian dust, Geosci. Model Dev. 9: 3671-3684. 

  21. Jung J, Kim YJ, Lee KY, -Cayetano MG, Batmunkh T, Koo JH, Kim J. 2010. Spectral optical properties of long-range transport Asian dust and pollution aerosols over Northeast Asia in 2007 and 2008. 

  22. Kim BU, Kim OG, Kim HC, Kim ST. 2016, Influence of fossil-fuel power plant emissions on the surface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Seoul Capital Area, South Korea.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6(9): 863-873. 

  23. Kim HC, Kim EH, Bae CH, Cho JH, Kim BH, Kim ST. 2017. Regional contributions to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th Korea: seasonal vari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rology and emission inventor.,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7: 10315-10332. 

  24. Kim CH, Park IS, Lee SJ, Kim JS, Hong YD, Han JS, Jin HA. 2005.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raffic control program on the ambient air qual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lower level stability index of atmosphere. J. Korean Soc. Atmos. Environ.. 21(2): 243-28. 

  25. LEE SM, Ho CH, Choi YS. 2011,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eoul, Korea: Background sources and rela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45(39): 7240-7247. 

  26. Li M, Zhang Q, Kurokawa J, Woo JH, He KB, Lu Z, Ohara T, Song Y, Streets DG, Carmichael GR, Cheng YF, Hong CP, Huo H, Jiang XJ, Kang SC, Liu F, Su H, Zheng B. 2015. MIX: a mosaic Asian anthropogenic emission inventory for the MICS-Asia and the HTAP projects. Atmos. Chem. Phys. Discuss. 15(23): 34-813. 

  27. Mlawer EJ, Taubman SJ, Brown PD, Iacono MJ, Clough SA.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2(D14): 16663-16682. 

  28. NCEP. 2000. NCEP FNL Operational Model Global Tropospheric Analysis, continuing from July, 1999. Research Data Archive at the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Computational and Information System Laboratory, https://doi.org/10.5065/ D6M043C6 (accessed on Jan. 03, 2018) 

  29. Oh HR, Ho CH, Kim JW, Chen D, Lee SM, Choi, YS, Chang LS, Song CK. 2015.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originating in China: A possible major couse of multi-day high TEX>$PM_{10}$ episodes during cold season in Seoul,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109: 23-30. 

  30. Pope CA, Dockery DW. 2006. Health Effects of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Lines that Connect,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6(6): 709-742. 

  31. Pope CAI, Ezzati M, Dockery DW. 2009.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life expectancy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0: 376-386. 

  32. Seinfeld JH, Pandis SN. 200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Hoboken. 

  33. Schwartz J, Dockery DW, Neas LM. 1996. Is daily mortality associated specifically with fine particle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6: 927-939. 

  34. Skamarock WC, Klemp JB, Dudhia J, Gill DO, Barker DM, Duda MG, Huang X, Wang W, Powers JG.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 Note NCAR/TN-475+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 125. 

  35. Tao WK, Simpson J, McCumber M. 1989. An ice-water saturation adjustment, Monthly Weather Review. 117(1): 231-235. 

  36. Tewari M, Chen F, Wang W, Dudhia J, LeMone MA, Mitchell K, Ek M, Gayno G, Wegiel J, Cuenca RH. 2004.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unified NOAH land surface model in the WRF model. 20th conference on weather analysis and forecasting/16th conference o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p. 11-15. 

  37. WHO. 2013.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Policy implications for countries in eastern Europe. Caucasus and central Asia. p. 6-7. 

  38. Yasunari T, Taniguchi M, Niles D, Chen D. 2013. Asia: proving ground for global sustainability. Curr. Opin. Environ. Sustain. 5: 288-292. 

  39. Zheng J, Zhang L, Che W, Zheng Z, Yin S. 2009. A highly resolved temporal and spatial air pollutant emission inventory for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China and its uncertainty assessment. Atmospheric Environment. 43(32): 5112-5122. 

  40. Zhang W, Capps SL, Hu Y, Nenes A, Napelenok SL, Russell AG. 2012. Development of the high-order decoupled direct method in three dimensions for particulate matter: enabling advanced sensitivity analysis in air quality models. Geosci.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5(2): 355-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