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여성 근로자의 식사문제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 요인
Occupational Stres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Problem in Korean Female Employee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4 no.1, 2018년, pp.7 - 13  

김진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전상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은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  신동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오강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영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임세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isordered eating problem in Korean female employees. Methods : We studied 1,452 female employees who attended mental health screenings.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and 26-item Korean ver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는 직장인 표본에서,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식사문제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여러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 어떠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식사 문제와 상관관계를 보이는 지를 조사하였다. 우리는 식이 행동에 영향 줄 수 있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함께 우울, 불안 증상을 조사하고 이를 보정하였으며, 추가로 체질량 지수에 따라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비만군을 나누어 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연구를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한국 여성 근로자들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식사문제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KEAT-26으로 측정 시 22점 이상의 식사문제를 보이는 참가자들은 전체의 5.

가설 설정

  • "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의 삶의 질,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우울과 불안을 포함한 다양한 정신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am 고도의 직무 스트레스는 고지방 식이를 늘리며 비만에 이르게 한다.S8 또한 직무 스트레스의 식이 행동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도 보고 된 바 있는데, 일본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특정식이 행동들[포만감을 느낄 때까지 식사(eating to satiety), 빠르게 식사(eating fast), 과민함을 대체하기 위한 식사(substi­ tution eating from irritability)]이 높은 직무 요구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udson J, Hiripi E, Pope HG, Kessler RC. The prevalence and cor- relates of eating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Biol psychiatry 2007;61:348-358. 

  2. Cho MJ, Sung S, Shin S, Kim J, Jeon S, Kim M.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3. Jacobi C, Hayward C, de Zwaan M, Kraemer HC, Agras WS. Coming to terms with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pplication of risk terminology and suggestions for a general taxonomy. Psychol Bull 2004;130:19-65. 

  4. Fairburn CG, Cooper Z, Doll HA, Welch SL. Risk factors for anorexia nervosa: Three integrated case-control comparisons. Arch Gen Psychiatry 1999;56:468-476. 

  5. Fairburn CG, Welch SL, Doll HA, Davies BA, O'Connor ME. Risk factors for bulimia nervosa. A community-based case-control study. Arch Gen Psychiatry 1997;54:509-517. 

  6. Steinhausen HC. The outcome of anorexia nervosa in the 20th century. Am J Psychiatry 2002;159:1284-1293. 

  7. Soukup VM, Beiler ME, Terrell F. Stress, coping styl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eating-disordered inpatients. J Clin Psychol 1990;46:592-599. 

  8. Greeno CG, Wing RR. Stress-induced eating. Psychol Bull 1994; 115:444-464. 

  9. Fryer S, Waller G, Kroese BS. Stress, coping, and disturbed eating attitudes in teenage girls. Int J Eat Disord 1997;22:427-436. 

  10. Vasse R, Nijhuis F, Kok G. Associations between work stress, alcohol consumption and sickness absence. Addiction 1998;93:231-241. 

  11. Shin YC, Lee D, Seol J, Lim SW. What kind of stress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mployees? J Korean Med Sci 2017;32:843-849. 

  12. Kudielka BM, Hanebuth D, von Kanel R, Gander ML, Grande G, Fischer J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d by the sf12 in working populations: Associations with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J Occup Health Psychol 2005;10:429-440. 

  13. Kawakami N, Haratani T, Araki S. Effects of perceived job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in blue-collar workers of an electrical factory in japan.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2;18:195-200. 

  14. Stansfeld S, Candy B.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a meta-analytic review.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6; 32:443-462. 

  15. Hellerstedt WL, Jeffery RW. The association of job strain and health behaviours in men and women. Int J Epidemiol 1997;26:575-583. 

  16. Laitinen J, Ek E, Sovio U. Stress-related eating and drinking behavior and body mass index and predictors of this behavior. Prev Med 2002;34:29-39. 

  17. Ng DM, Jeffery RW.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ealth behaviors in a sample of working adults. Health Psychol 2003; 22:638-642. 

  18. Bray GA, Popkin BM. Dietary fat intake does affect obesity! Am J Clin Nutr 1998;68:1157-1173. 

  19. Nishitani N, Sakakibara H, Akiyama I. Eating behavior related to obesity and job stress in male japanese workers. Nutrition 2009;25: 45-50. 

  20. King KA, Vidourek R, Schwiebert M. Disordered eating and job stress among nurses. J Nurs Manag 2009;17:861-869. 

  21.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 Med 1982;12:871-878. 

  22. Rhee MK, Lee YH, Park SH, Sohn CH, Chung YC, Hong SK,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 26 i: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Korean J Psychosom Med 1998; 6:155-175. 

  23. Rhee MK, Go YT, Lee HK, Whang EJ, Lee YH.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orean J Psychosom Med 2001;9:153-163. 

  24.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ce for the Western Pacifc. The asia-pacifc perspective: Redef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2000. 

  26. Cho JJ, Kim JY, Chang SJ, Fiedler N, Koh SB, Crabtree BF, et al.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8;82:47-57. 

  27.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28. Cho MJ, Kim KH.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J Nerv Ment Dis 1998;186:304-310. 

  29. Yook SP, Kim ZS.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l 1997;16:185-197. 

  30. Lee D, Lim SW, Shin DW, Oh KS, Shin YC. Job stres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alcohol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Anxiety and Mood 2017;13:39-45. 

  31. Wardle J, Gibson EL. Impact of stress on diet: Processes and implications. In: Stansfeld S, Marmot MG, editors. Stress and the heart: Psychosocial pathways to coronary heart disease. London: BMJ Books; 2002. p.124-149. 

  32. Dallman MF, Pecoraro N, Akana SF, La Fleur SE, Gomez F, Houshyar H, et al. Chronic stress and obesity: A new view of "comfort food". Proc Natl Acad Sci U S A 2003;100:11696-11701. 

  33. Kouvonen A, Kivimaki M, Cox SJ, Cox T, Vahtera J.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body mass index among 45,810 female and male employees. Psychosom Med 2005;67:577-583. 

  3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