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체투영관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lanetarium Lesson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Concept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1, 2018년, pp.49 - 65  

김완수 (경북대학교) ,  심현진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문학은 학생들이 쉽게 흥미를 느끼는 분야로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토대로 과학적 핵심역량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제한된 공간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을 통해서는 천문학의 핵심 개념 이해에 필요한 공간적 사고를 발달시키기 어렵다. 주로 과학관에 위치하며 체험, 관람시설의 성격을 지닌 천체투영관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천문학 개념을 교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천체투영관에서 진행되는 비형식 교육은 정규교육과정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체투영관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 중등,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천체투영관이 천문 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립대구과학관 1박 2일 캠프에 참가하여 천문 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연구 기간은 8개월, 연구 대상 인원은 761명이다. 기존 캠프에서는 교실에서 방위, 별자리, 지구의 자전 등에 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이와 동일한 내용을 천체투영관 수업용으로 개발하였으며, 수업 전과 후에 개념 이해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후 실제로 교실 수업 혹은 천체투영관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에 기초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천체투영관 수업은 교실 수업에 비해 방위, 지구의 자전, 별자리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성별이나 학생들의 사전 천문학 지식 정도 등과 같은 메타 요인과 무관하게 천체투영관 수업은 개념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에게 천체투영관 수업은 교실 수업 이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야간 관측 활동과 동일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야간 관측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천체투영관은 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하면 천체투영관은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교육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tronomy is the subject that can easily draw students' interest in studying science, therefo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cientific core compete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elop spatial thinking that is required in understanding astronomical concepts through the classroom less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수·학습에서 젠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는 다소 복합적인 문제이지만 성별 특성에 따라 학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결과들이 있으며(Lee & Seo, 2013), 천체투영관 수업의 효과 역시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선행 연구(Baxter & Preece, 2000)가 있었기에 본 연구에서도 천체투영관 수업의 효과가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 이를 통해 동, 서 방위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태양이 동에서 서로 움직이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우주로 관찰자의 시점을 이동하여 자전하는 지구를 보여준다. 다시 지구로 돌아와 밤하늘의 모습을 관찰하며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고, 동서남북 방향을 찾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국립대구과학관 천지인 학당의 1박 2일 캠프에서 진행되는 천문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천체투영관에서 진행되는 수업이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 비교했을 때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별자리, 지구의 자전, 방위, 천체의 고도라는 주요 천문 개념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한 사전, 사후 검사를 수업 실시 전후에 적용하여 수업 방식과 기타 요소들을 변인으로 두고 분석한 주요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체투영관이라는 공간에서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이 기존의 수업에 비해 다양한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효과적인지 살펴보고 천체투영관이 야외 관측 실습을 대체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요 국립과학관 중 하나인 국립대구과학관 천체투영관에서 진행할 수 있는 천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수업을 진행하여 천체투영관 수업과 기존에 진행되던 교실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 실험 설계 단계에서 과학관 캠프 참가 학생을 두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에 비교 집단 간 처치 이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개념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년별로 기대되는 천문 개념 이해 수준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사전 개념 검사 문제의 수준을 초·중등, 고등 2개의 집단에 대해 달리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 천체투영관 수업의 효과가 존재할 경우, 그 효과가 학생의 성별, 사전 지식수준 등 다른 메타 변인의 영향을 받는지 추가로 살펴보았다. 초·중등학생의 경우 남학생과 여학생의 사전 개념 검사 점수가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차이가 없었으므로 사후 개념 검사 점수에 대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수행하였다.
  • 천체투영관 수업이 교실 수업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의 교실 수업에 대응하는 천체투영관 수업을 개발하였다. 캠프의 천문 교육 프로그램에는 야간 관측 활동 이전의 예비 설명 수업의 성격을 띠는 오늘 밤 별자리, 천체의 일주운동 등에 대한 교실 수업이 포함되어 있다.
  • 추가로 천체투영관이라는 돔 형태의 시설이 천문 교육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제로 개발된 만큼, 실제로 야간에 진행되는 관측 활동과 천체투영관 수업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수업의 장소와 야간 관측 활동 실시 여부를 두 개의 독립 변인으로 두어 이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고등학생의 경우 네 개의 그룹에 대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방식을 이용한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천체투영관 수업의 의의를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즉 고등학생에 대해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임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개념 검사 점수 분석 결과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가정하고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교육을 통해 공간적 사고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천체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공간 위치, 변화, 공간 추리 등을 모두 포함하는 공간개념 이해(Yun & Kim, 2010), 즉 공간적 사고(spatial thinking)는 천문 현상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천문학, 우주와 관련된 과학적 활동 참여를 확장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된다(Plummer, 2014). 이러한 공간적 사고가 학교 교육 중에 발달하기 어려운 이유는, 교실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는 직접적인 관찰 및 체험활동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개념 위주의 지식, 분절적인 지식의 전달을 주로 담는 학교 교과서 및 평가 과정의 한계 상 시·공간적으로 광범위한 규모와 실시간 정보를 동시에 다루는 천문·우주 단원의 학습이 힘들기 때문이다(Kim et al., 2016).
천체투영관을 이용한 교육에 대한 논문의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요? 이후 실제로 교실 수업 혹은 천체투영관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에 기초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천체투영관 수업은 교실 수업에 비해 방위, 지구의 자전, 별자리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성별이나 학생들의 사전 천문학 지식 정도 등과 같은 메타 요인과 무관하게 천체투영관 수업은 개념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에게 천체투영관 수업은 교실 수업 이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야간 관측 활동과 동일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야간 관측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천체투영관은 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천체투영관 운영 현황은? 그러나 천체투영관의 운영 방식, 천체투영관 수업을 받는 학생의 규모 및 교육 과정과의 연계 등에 차이가 있어 이 사례를 국내 과학관의 천체투영관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2017년 현재 한국에는 전국적으로 88곳의 천체투영관이 운영 중이며(Park, 2017) 돔 스크린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Baek et al., 2010; Lee et al., 2011), 활용과 운영에 도움을 주기 위한 매뉴얼 개발(Baek et al., 2012) 등 주로 운영에 대한 제안 연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립과학관 등 규모가 큰 곳의 천체투영관조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천문 교육에의 활용보다는 일반 관람객 대상의 흥미 유발 영상물 상영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Kim & Shim, 2017). 이는 천체투영관이라는 공간의 물리적 확충이 진행되는 동안 내용적 확충, 운영 관리 내실화, 전문 인력 개발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으로, 전시물의 관람 및 체험이 천문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못지않게 수업을 진행하는 공간으로서의 천체투영관의 역할이나 효과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C.-H., Lee, G.-H., & Lee, D.-J. (2010). Development of the Astronomy Education Program using Planetarium].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35(1), 85. 

  2. Baek, C.-H., Park, S.-C., & Lee, G.-H. (2012). Development of the Manual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Full-Dome Movie].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37(1), 53. 

  3. Baxter, J. H., & Preece, P. F. (2000). A comparison of dome and computer planetaria in the teaching of astronomy.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8(1), 63-69. 

  4. Brazell, B. D., & Espinoza, S. (2009). Metaanalysis of Planetarium Efficacy Research. Astronomy education review, 8(1). 

  5. Cho, Y.-G. (2001).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STAD) o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and Attitudes in Astronom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6. Kang, J. (2004).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of Earth Science -Focused on the Direction of Motion in Astronom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H., Seo, C. & Lee, H., (2003). Development of the Test Tool of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Level.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6), 508-523. 

  8. Kim, S. K., Park, E. J., Kim, C. J., & Choe, S. U. (2016).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Astronomical Exhibits: Focus on Exhibit Characteristics and Earth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in Exhib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6), 925-934 

  9. Kim, W. & Shim, H. (2017). The Role of Planetarium in Astronomy Education.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42(1), 48. 

  10. Lee, K. S., & Seo, B. E. (2013). The Case Study of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Problem Sovl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6(2), 147-162. 

  11. Lee, G.-H., & Ha, S.-H. (2010). Astronomy Education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Planetarium].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35(2), 86. 

  12. Lee, J. H. (2015). The Effect of Science Class using Storytelling on the Science-related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Solar System Class -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3. Maeng, S., Lee, K., Park, Y.-S., Lee, J.-A., & Oh,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8), 703-718. 

  14.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ncic.re.kr/nation.dwn.ogf.inventoryList.do;jsessioni#d2D00241F7F98EA76C7B4E145D4E93BCB# 

  15. Park, J. B. (2010). The Effects of Science Instructions applying 3D Planetarium Software -on the unit 'Earth and Star' for the 8th grade-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16. Park, S. (2017). History of Planetarium in Korea.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42(2), 71. 

  17. Plummer, J. D. (2009). Early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of astronomy concepts in the planetari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92-209. 

  18.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19. Seong, T.-J. (2009). Educational Evaluation. Seoul, Korea: Hakjisa 

  20. Shin, M.-R., Lee, Y.-S. (2011). A Survey on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Attitudes About Astronomy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y In Astronomy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4(2), 177-185. 

  21. Slater, T. F., & Tatge, C. B. (2017). Research on Teaching Astronomy in the Planetariu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2. Turk, C., & Kalkan, H. (2015). The effect of planetariums on teaching specific astronomy concep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4(1), 1-15. 

  23. Wellington, J. (1990).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the interactive science centres. Physics education, 25(5), 247. 

  24. Yun, H. G.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on the 'Solar System and Star'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25. Yun, M.-B., & Kim, H.-S. (2010).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Based on the Knowledge Space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3), 257-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