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사진과 사진측량을 이용한 정원유산의 3차원 형상 재현 가능성 연구 -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潭陽 瀟灑園)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3D Shape Model of Garden Cultural Heritage using Photogrammetry with SNS Photographs - Focused on Soswaewon Garden, Damyang(Scenic Site No.40)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4, 2018년, pp.94 - 104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이상하 (에코다임(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진측량 기술을 과거의 촬영된 사진들에 활용하여 정원유산의 원형 재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공물과 자연물이 혼재되어 입체 형상 재현 가능성 검토에 적합한 담양 소쇄원(명승 제40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소쇄원에서 근거리와 원거리의 $360^{\circ}$ 전방향에서 장애물이 없어 촬영이 가능한 조경시설물인 매대(梅臺), 애양단(愛陽壇), 오곡문(五曲門) 담장, 약작(略?)과 자연경물인 광석(廣石) 5개 조경요소를 선정하였다. 인터넷 포털에서 5개 조경요소에 대해 촬영날짜, 초점길이, 노출 등의 정보가 포함된 151장의 사진을 수집하여 촬영구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사진들은 요소별로 특정한 구도에서 집중적으로 촬영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조경요소별로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2~3개의 촬영구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조경요소별로 빈도가 높은 촬영구도 1개를 선정하고 그 구도에서 촬영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포토스캔(Photoscan) 프로그램으로 3D 메쉬 모델을 제작하여 입체 형상의 재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제작결과 오곡문 담장, 매대, 애양단과 같은 인공물은 비교적 입체 형상의 재현이 가능하였으나, 질감이 동일하거나 자연 경물인 약작과 광석은 입체 형상의 재현이 불가능했다. 선정된 촬영구도와 유사하게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입체 형상의 재현을 실험한 결과 수집사진에서 불가능했던 약작과 광석에서 3D 메쉬 모델이 제작되었다. 또한 과거와 현재의 형상 비교를 통해 정확한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문화재의 관람객이나 조경가 등에 의해 촬영된 과거의 사진들을 확보하게 된다면 그 당시에 입체 형상을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이 확산된다면 정원유산의 과거 형상을 추정하고 변화를 고찰하는데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photogrammetric reconstruction techniques that can measure the original form of a cultural property utilizing photographs taken in the past. During the research process, photographs taken in the past as well as photograph on the internet of Soswaewon Garden in Damyang(scenic sit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NS에서 수집된 사진에 디지털 사진측량 기술을 적용하여 정원유산의 입체 형상의 재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2가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SNS에 등장하는 사진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디지털 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해서 정원유산의 과거 형상을 재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술이 확산된다면 과거의 형상을 추정하고 변화를 고찰하는데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소쇄원을 대상으로 과거에 촬영된 사진들을 인터넷에서 수집하여 입체 형상의 재현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조경 시설물인 매대(梅臺), 애양단(愛陽壇), 오곡문(五曲門) 담장, 약작(略彴)과 자연경물인 광석(廣石)을 선정하여 재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 소쇄원과 조경요소의 명칭으로 검색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분류와 촬영 구도, 시기 등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SNS에서 수집된 사진으로 재현 가능한 문화유산의 범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수집된 사진을 직접 게재하거나 상업적 이용이 되지 않으므로 저작권의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업용 사진이나 개인이 다수로 촬영한 사진 등의 사용 협조나 저작권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이에 본 연구는 과거에 정원유산을 이용한 방문객들이 SNS에 업로드한 사진들을 수집하여 사진측량 기술로 입체 형상을 재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법들이 가능해진다면 저비용으로 폭넓은 정원유산의 시기별 모습들을 추정하게 됨으로써 원형을 찾고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형에 대한 기록의 역할은? 상시로 발생할 수 있는 정원유산에 대한 1차적인 방재는 원형에 대한 기록이다. 원형에 대한 기록은 훼철되거나 멸실된 문화유산을 회복시키거나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숭례문의 방화사건 이후 문화유산의 형상 정보를 입체적으로 기록하는 사업들이 확산되었다.
정밀도가 높은 레이저 스캐너의 한계로 인해 기록화 사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나? 정밀도가 높은 레이저 스캐너는 문화유산의 형상 정보를 대량으로 취득하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의 장비 및 후처리에 따른 고비용 발생의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단일 건조물 중심으로 기록화 사업이 수행되면서 지형과 자연요소가 많은 정원유산은 매우 미미하게 다루어졌다.
기록 사업은 어떻게 확대되었나? 숭례문의 방화사건 이후 문화유산의 형상 정보를 입체적으로 기록하는 사업들이 확산되었다. 기록 사업은 전문가가 실측으로 도면을 작성하는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미디어(사진, 동영상)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진일보하여 표면 형상의 좌표를 디지털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었다. 문화유산의 입체 형상을 기록하는 방법 중에서 급격하게 확산된 것은 비접촉 측량 장비인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점 데이터를 대량으로 취득하는 것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ong, D. Y., Lim, J. D., Kim, J. Y. and Kim, K. S.(2010). Application of Digital Photogrammetry to Dinosaur Tracks from the Namhae Gain-ri Tracksite.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2): 129-138. 

  2. Ahn, J. H. and Kim, C. S.(2016). Digitalized heritage - 3D documentation and use of cultural heritage. Sigmapress. 

  3. Gwak, Y. B.(2000). The 3D Digital information acquisition of cultural building by photogrammetry. Master Thesis of Choongnam University. 

  4. Han, J. S. and Seo, M. C.(2003). The 3D Modelling of Cultural Heritage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1(4):365-371. 

  5. Arias, P., Herraez, J., Lorenzo, H. and Ordonez, C.(2005). Control of structural problems in cultural heritage monuments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and computer methods. Computers & Structures, 83(21-22):1754-1766. 

  6. Kim, J. S., Park, W. Y. and Hong, S. H.(2003). The 3D Modelling of Cultural Heritage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1(4):365-371. 

  7. Koo, J. B.(2015). Study on Recording Method for Buried Cultural Property Using Photo Scanning Techniqu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6(5):835-847. 

  8. Oh, J. Y. and Kim, C. S.(2017).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Photogrammetry through 3D Recording of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in Singyeong-ri, Hongseong.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50(3): 30-43.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3). Repair report on the recovery of Sungnyemun and the restoration of its castle wall. 

  10. Koutsoudis, A., Vidmar, B., Ioannakis, G., Arnaoutoglou, F., Pavlidis, G. and Chamzas, C.(2014). Multi-image 3D reconstruction data evaluatio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5(1): 73-79. 

  11.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stitute(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Space for Restoration Damyang Soswaewon. 

  12. Jang, I. S.(2014). A Study on the Structure of Ohgokmun Fence from Soswaewon. Master Thesis of Sangmyung University. 

  13. Kang, Y. J.(2001). Sources of Landscape Experience and Evaluation viewed from Soshe Garden's 48 so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1):62-73. 

  14. Wei, T. T., Kim, J. S. and Kim, J. M.(2017). A Semantic Comparative Study of Formative Idea and Landscape Elements Composition of Damyang 'Soswaewon(潭陽瀟灑園)' & Suzhou 'Canglang Pavilion(蘇州滄浪亭)'.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1):36-47. 

  15. Jang, I. S., Jeon, H. S., Ha, T. J. and Lee, J. G.(2013). A Study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ence Ohgokmun Soswaewon Facto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113-122. 

  16. Lee, W. H. and Kim, D. H.(2015). A Basic Study on Spatial Recognition through Poet in Soswaewon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3):38-49. 

  17. So, H. S.(2011).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ochaewon Landscape Garden Featuring Borrowed Scenery -Focusing on the Soshaewon Sisun and the Thirty Poems of Soshaew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59-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