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산 임당고분 출토 철제 고리자루칼 칠의 유기물 분석
Organic Material Analysis of a Lacquered Wooden Sheath of Long Sword with Ring Pommel Excavated in Imdang Ancient Tomb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5, 2018년, pp.369 - 377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조하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북 경산에 위치한 원삼국시대 고분인 임당1호분에서 출토된 칠초 철제 고리자루칼의 칠편에 대해 칠의 구성성분과 풍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열분해/GC/MS법으로 유기물을 분석하였다. 직접 열분해/GC/MS법에서 칠편과 원주산 건조옻이 대체적으로 유사한 크로마토그램을 보였다. THM(thermally assisted hydrolysis and methylation)-열분해/GC/MS법의 경우 칠편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옻나무 종의 특징적인 성분(1,2-dimethoxy-3-pentadecylbenzene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dimethyl nonanedioate 등 건성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는 성분도 검출되었다. 칠편에서 산화된 catechol 성분이 다량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칠의 열화가 우루시올 성분의 산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부터 임당1호분 고리자루칼 칠은 옻과 건성유를 사용하였고 오랜 시간의 경과로 산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amine the constituents and weathered state of a lacquer specimen, analysis of the organic materials was conducted using py/GC/MS(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lacquered wooden sheath of a long ring-pommel sword excavated in the Im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THM-py/GC/MS 분석에서는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solution 10 μl를 열분해용 컵에 추가하였다.
  • diamond crystal이 갖춰진 Nicolet iS5 모델(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을 사용하여 4000∼600 cm-1범위에서 분해능 4 cm-1로 32회 스캔하여 측정하였다
  • 5 ml/분)을 사용하였고, split ratio는 100:1이었다. 검출은 질량분석기(MSD)를 사용하였으며, 질량분석기 조건은 다음과 같다. MS transfer line temp.
  • 도막 관찰을 위해 시편을 에폭시에 고정한 후 연마하였다. 시편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칠해진 면이 수직이 되게 고정틀에 부착한 후 2액형 에폭시 수지인 EpoFix수지를부어 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고분에서 출토된 고리자루칼(환두대도) 칼집에 남아 있는 칠편(Figure 1)을 열분해/GC/MS로 분석하였다. 열분해 방법은 시편만을 열분해하는 직접열분해법과 시편에 유도체화 시약을 첨가하여 열분해하는 THM-열분해법을 도입하였다.
  • 분석칼럼은 DB-1HT column(100% dimethylpolysiloxane, 30 m × 0.25 mm id, 0.10 μm film thickness)을 사용하였고, 50℃에서 3분 유지 후 300℃까지 10℃/분의 속도로 승온한 후 5분간 유지하여 총 33분 동안 분석하였다.
  • 도막 관찰을 위해 시편을 에폭시에 고정한 후 연마하였다. 시편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칠해진 면이 수직이 되게 고정틀에 부착한 후 2액형 에폭시 수지인 EpoFix수지를부어 고정하였다. 고정된 시편을 #400에서 시작하여 #4000까지의 샌드페이퍼로 평평하게 연마하였다.
  • #400에서 시작하여 #4000까지의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투과광으로 관찰 가능한 두께가 되도록 시편을 연마하였다. 연마된 시편은 현미경(Nikon Eclipse Ni, Nikon Instruments Inc.,JPN)으로 투과광 모드에서 관찰하였다
  • THM-py/GC/MS 분석에서는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solution 10 μl를 열분해용 컵에 추가하였다. 열분해용 컵에 담긴 시료를 열분해장치 속에 투입하여 500℃에서 12초간 열분해한 후 분해산물을 GC/MS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칼럼은 DB-1HT column(100% dimethylpolysiloxane, 30 m × 0.
  • 열분해 방법은 시편만을 열분해하는 직접열분해법과 시편에 유도체화 시약을 첨가하여 열분해하는 THM-열분해법을 도입하였다. 이중 THM-분석결과는 옻에서 기인하는 성분, 건성유에서 기인하는 성분 등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으며, 옻에서 기인하는 성분은 다시 catechol, 산화된 catechol 등으로 구분한 후 건조 옻과 비교함으로써 열화에 따른 옻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시편은 경산 임당고분에서 출토된 환두대도 칼집에 남아 있는 칠편을 사용하였다. 건조 옻은 강원도 원주에서 재배하는 옻나무에서 생산한 생칠을 불순물을 제거한 후 유리판 위에 얇게 발라 22℃, 50%RH 조건에서 30일 동안 건조한 도막을 가루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THM-열분해/GC/MS 분석에서 유도체화에 사용한 시약은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solution(25 wt.
  • 1. 시편, 재료 및 시약

    시편은 경산 임당고분에서 출토된 환두대도 칼집에 남아 있는 칠편을 사용하였다. 건조 옻은 강원도 원주에서 재배하는 옻나무에서 생산한 생칠을 불순물을 제거한 후 유리판 위에 얇게 발라 22℃, 50%RH 조건에서 30일 동안 건조한 도막을 가루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 10 μm film thickness)을 사용하였고, 50℃에서 3분 유지 후 300℃까지 10℃/분의 속도로 승온한 후 5분간 유지하여 총 33분 동안 분석하였다. 이동상 기체로 헬륨(0.5 ml/분)을 사용하였고, split ratio는 100:1이었다. 검출은 질량분석기(MSD)를 사용하였으며, 질량분석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론/모형

  • (150℃),mass range(m/z=33∼550). 데이터의 획득과 해석은 ChemStationsoftware(Agilent Technologies, USA)를 사용하였으며, 화합물 규명은 NIST library와의 매칭을 통해 이루어졌다
  • 시편의 IR분석은 ATR법(Attenuated total reflection)을사용하였다. diamond crystal이 갖춰진 Nicolet iS5 모델(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을 사용하여 4000∼600 cm-1범위에서 분해능 4 cm-1로 32회 스캔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고분에서 출토된 고리자루칼(환두대도) 칼집에 남아 있는 칠편(Figure 1)을 열분해/GC/MS로 분석하였다. 열분해 방법은 시편만을 열분해하는 직접열분해법과 시편에 유도체화 시약을 첨가하여 열분해하는 THM-열분해법을 도입하였다. 이중 THM-분석결과는 옻에서 기인하는 성분, 건성유에서 기인하는 성분 등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으며, 옻에서 기인하는 성분은 다시 catechol, 산화된 catechol 등으로 구분한 후 건조 옻과 비교함으로써 열화에 따른 옻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열분해장비(pyrolyzer)는 PY-3030D 모델(Frontier Lab,JPN)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GC/MS)는 7890A GC/ 5975C MSD 모델(Agilent, U.S.A)을 사용하였다. 건조 옻 시료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현미경으로 칠기 유물을 분석한 결과 무엇을 알 수 있었나? 전자현미경은 광학현미경과 같이 칠의 표면과 칠층의 단면을 관찰하는 것 외에 칠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원소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부터 칠기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재료가 철분, 토분, 석간주, 진사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옻은 본질적으로 유기물이므로 IR을 이용하여 옻을 확인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가장 오래된 출토칠기유물은 무엇인가? 그 결과 옻을 사용한 다양한 유물들이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다. 가장 오래된 출토칠기유물로는 기원전 3세기로 추정되는 충남 아산 남성리 석관묘 유적 칠편이 있으며(Kim, 2007), BC1 ~ AD3에 형성된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는 칠초, 원형두, 방형두 등 다양한 칠기 유물이 출토되었다(National Museum of Korea,2012). AD 5세기 무렵에 조성된 신라시대 유적인 황오리고분에서 일종의 칠도금인 금박을 올린 목관 편이 발견되었다(Bureau of Cultural Property, 1969).
이 연구에서 칠의 구성성분과 풍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경북 경산에 위치한 원삼국시대 고분인 임당1호분에서 출토된 칠초 철제 고리자루칼의 칠편에 대해 칠의 구성성분과 풍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열분해/GC/MS법으로 유기물을 분석하였다. 직접 열분해/GC/MS법에서 칠편과 원주산 건조옻이 대체적으로 유사한 크로마토그램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ureau of Cultural Property, 1969, No.33 tumulus in Hwangoh-ri, Bojinjae, Seoul. 66-82. (in Korean) 

  2. Cho, N.C., Kim, S.C., Kim, W.H. and Shin, Y.S., 2010, A study on the bonding materials used for the great jar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rom Daechuri site, Pyeongtaek.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4), 371-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eginbotham, A., Khanjian, H., Rivenc, R. and Schilling, M., 2008, A procedure for the efficient and simultaneous analysis of Asian and European lacquers in furniture of mixed origin. ICOM-CC 15th Triennial Congress, New Delhi, September 22-26, 1100-1114. 

  4. Heginbotham, A. and Schilling, M.R., 2011, New evidence for the use of Southeast Asian raw materials in seventeenth century Japanese export lacquer. In: Rivers, S., Faulkner, R. and Pretzel, B. eds. East Asian Lacquer: Material Culture, Science and Conservation. Archetype; Har/Com edition, London, 92-106. 

  5. Kim, S.C., 2007,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lacquer wares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12, 74-85, 98-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K.H. and Han, G.S., 2017, Study on applying techniques of wooden lacquerware artifacts excavated from Imdang- dong site, Gyeong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2), 6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u, R. and Miyakoshi, T., 2015, Lacquer chemistry and applications. Elsevier Inc., Amsterdam, 9-13. 

  8. Lu, R., Yoshida, T. and Miyakoshi, T., 2013, Oriental lacquer: A natural polymer. Polymer Reviews, 53, 153-191. 

  9. National Museum of Korea, 2012, Daho-ri site: Report of research of antiquitie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19-419 & Annex 22-35. (in Korean) 

  10. Park, J. and Ahn, S.A., 2018, Analysis of dried Asian lacquer by pyrolysis/GC/MS.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31(2), 78-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Park, J. and Lee J.W., 2017, Analysis of binding media used in mural painting of temple wall by pyrolysis/GC/MS and IR.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5), 345-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chilling, M.R., Heginbotham, A. van Keulen, H. and Szelewski, M., 2016, Beyound the basics: A systematic approach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in Asian lacquers. Studies in Conservation, 61(sup3), 3-27. 

  13. Wang, N., He, L., Zhao, X. and Simon, S.,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eastern and western drying-oil binding media used in polychromic artwork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nder the influence of pigments. Microchemical Journal, 123, 201-210. 

  14. Wei, S., Pintus, V., Pitthard, V., Schreiner, M. and Song, G., 2011, Analytical characterization of lacquer objects excavated from a Chu tomb in Chin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8, 2667-26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