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수업의 소집단 토론과 전체 학급 토론에서 나타나는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Socioscientific Issues Clas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2, 2018년, pp.135 - 145  

김민환 (서울대학교) ,  남혜인 (서울대학교) ,  김성훈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SSI 토론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소집단 토론과 전체학급 토론의 논증활동을 분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원자력 발전을 주제로 한 SSI 토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관찰 및 녹화하였고, 수업을 모두 마친 이후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SSI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논증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선행 연구의 분석틀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관점의 고려, 증거에 기반한 추론, 지속적인 탐구와 회의적 사고와 관련된 담화요소는 소집단 토론보다 전체 학급 토론에서 더욱 높은 비율로 등장하였고, 도덕 윤리적 민감성을 고려한 담화요소는 토론 전반에서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전체 학급 토론에서는 새로운 근거와 정보 및 자료가 다양하게 등장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는 것에만 집중하여 다른 의견을 공감 및 인정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합의를 이루기 위한 담화요소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은 전체 학급토론을 경쟁적인 분위기로 인식하여 상대방의 주장 또는 근거에 적극적으로 반박하였고, 논증활동의 수준 또한 전체 학급 토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집단 토론은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져 명료화와 추가정보 및 증거 요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전체 학급 토론은 진지하고 엄숙한 분위기에서 주장 또는 근거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제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SI 토론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rgumentation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socioscientific issues (SSI) discussion classes. Twenty-sev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SI discussion classes on nuclear power generation. We observed and recorded the classes and also conducted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SI 수업은 학생들이 대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조정해나가는 사회적 논증활동인 토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SSI는 다양한 해결방안을 가지는 논쟁적인 문제이므로 SSI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다른 입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논증활동(argumentation)이 중요하다(Kolstø, 2001; Zeidler & Keefer, 2003). 따라서 SSI 수업은 학생들이 대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조정해나가는 사회적 논증활동인 토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SSI 교육이란? SSI 교육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2015)에서 핵심역량으로 강조하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나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중 하나이다.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며 조정하는 것을,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SSI 교육의 목표와도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SSI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쟁점이 지닌 복잡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쟁점을 이해 해야하는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과학관련 사회쟁점(socioscientific issue; SSI)을 직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시민들이 SSI에 대한 소양을 함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SSI는 과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윤리적 가치도 내포하여 복합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하나의 쟁점에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쟁점이 지닌 복잡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쟁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Sadler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be, V. (2008). When scientific knowledge, daily life experience, epistemolog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 intersect: Students' argumentation in group discussions on a socio-scientific issu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1), 67-90. 

  2. Chang, S., & Chiu, M. (2008). Lakatos’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as a framework for analysing informal argumentation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3), 1753-1773. 

  3. Clark, D. B., & Sampson, V. (2008). Assessing dialogic argumentation in online environments to relate structure, grounds, and conceptual qua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3), 293-321. 

  4. Erduran, S. (2007). Methodological foundations in the stud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Erduran, S., & Jimenez-Aleixandre, M. P.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p. 47-69). Dordrecht, NL: Springer. 

  5. Evagorou, M., & Osborne, J. (2013). Exploring young students’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ithin a socioscientific issu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2), 209-237. 

  6. Halverson, K. L., Siegel, M. A., & Freyermuth, S. K. (2009). Lenses for framing decisions: Undergraduates’ decision making about stem cell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9), 1249-1268. 

  7. Johnson, D. W., & Johnson, R. T. (1994). The pro-con cooperative group strategy: Structuring academic controversy with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In Stahl, R. J. (Ed.),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 (pp. 306-331). Menlo Park, CA: Addison-Wesley. 

  8. Kim, M., Anthony, R., & Blades, D. (2014). Decision making through dialogue: A case study of analyzing preservice teachers’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4(6), 903-926. 

  9. Ko, H. (2009). A study of a think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by applying the issues-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Social Studies Education, 48(3), 57-73. 

  10. Ko, Y., Choi, Y., & Lee, H. (2015).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framework for dialogic argumentation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discourse clusters and schem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509-521. 

  11. Ko, Y., & Shin, W. (2011) An analysis of discussion using online discussion forum and smart phone.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7(3), 129-150. 

  12. Kolsto, S. D. (2001). Scientific literacy for citizenship: Tools for dealing with the science dimension of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Science Education, 85(3), 291-310. 

  13. Kwon, H., Kim, M., Kim, S., & Noh, T. (2017). The patterns of analogy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s in collaborative activity of self-generated ana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407-416. 

  14. Lee, H., & Chang, H. (2012). Patter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e of evidence in web-based discussions of the nuclear power generation issue. New Physics: Sae Mulli, 62(4), 364-373. 

  15. Lee, H., Choi, Y., & Ko, Y.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16. Lee, E., Lee, E., & Chung, Y. (2016).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programs on enhancing high school students' moral judgement and SSI reasoning skil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8), 219-237. 

  17. Millar, R. (2006). Twenty first century science: Insights from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cientific literacy approach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3), 1499-1521. 

  18.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9. Nam, H., Kang, H., & Noh, T. (2017). Features of using smart devices in socioscientific issues debat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5), 787-797. 

  20. Oh, S., & Jonassen, D. H. (2007). Scaffolding online argumentation during problem solv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3(2), 95-110. 

  21. Park, J.-Y., & Kim, H.-B. (2011). Analyzing group interaction proces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Biology Education, 39(4), 653-673. 

  22. Park, J.-Y., & Kim, H.-B. (2012).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analytical framework design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group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604-624. 

  23. Patronis, T., Potari, D., & Spiliotopoulou, V. (1999). Students' argumentation in decision making on a socio-scientific issue: Implications for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7), 745-754. 

  24. Sadler, T. D., Barab, S. A., & Scott, B. (2007). What do students gain by engaging in socioscientific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4), 371-391. 

  25. Sadler, T. D., Chambers, F. W., & Zeidler, D. L. (2004). Student conceptualiza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response to a socioscientific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4), 387-409. 

  26. Sadler, T. D., & Zeidler, D. L.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1), 4-27. 

  27. Yang, C., Kim, S., Jo, M., & Noh, T. (2016).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the scientific modeling of the particulate model of matt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3), 361-369. 

  28. Zeidler, D. L., & Kahn, S. (2014). It's debatable!: Using socioscientific issues to develop scientific literacy. Arlington, VA: NSTA Press. 

  29.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In Zeidler, D. L.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7-38). Dordrecht, NL: Springer. 

  30.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31.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