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뉴질랜드의 화학 교육과정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stry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2 no.3, 2018년, pp.235 - 242  

김현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화학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국은 교육과정을 통해 핵심 역량을 기르고자 함을 명시하고 있으며,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이 서로 유사하였다. 우리나라는 과학 교과의 핵심 역량을 제시하였는데, 뉴질랜드가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 제시한 4가지 성취 목표와 유사하였다. 특징적으로, 뉴질랜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NCEA 성취 기준에서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성취기준들이 별도로 제시하고 이를 내적 평가를 통해 학생들을 평가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은 유사하였는데, 화학I 과목의 경우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7단계에, 화학II 과목의 경우 뉴질랜드의 7~8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이 다루는 화학 내용에서 차이가 있는 개념은 탄화수소, 이상 기체 방정식, 총괄성, 분광학 데이터의 이해 등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emistry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Both countries state that they want to cultivate their key competencies through the curriculum, and Korea' key competencies are similar to New Zealand'. Also, we fi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key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국 화학 교육과정의 목표는 모두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사물 등에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able 4).
  • 이 연구는 뉴질랜드와 한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 과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뉴질랜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새 교육과 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양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5 뉴질랜드의 과학의 본성 부분은 4가지 성취 목표(Understanding about science, Investigating in science, Communicating in science, Participating and contributing)를 명시하고 각 성취 목표에 해당하는 성취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각 성취 목표는 우리나라의 과학 교과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과 유사하다. 우리나라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을 별도의 핵심 역량으로 제시한 것이 특징적이다. 양국의 총론과 과학 교과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비교하면 Table 2와 같다.
  •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총론에서 제시하는 핵심 역량은 대체로 유사하였는데, 자기 관리 역량과 공동체 역량은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핵심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의사소통 역량은 뉴질랜드의 언어, 상징, 텍스트의 이용과, 우리나라의 창의적 사고 역량은 뉴질랜드의 사고력과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고력 중 창의적 사고 역량을 강조한 점과 심미적 감성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제시한 것이 특징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과학과목의 교육과정의 변화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잦은 교육과정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고등학교 과학 과목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 시기에 ‘과학교육과정개발사업단’을 구성하여 분과적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융합형’ 과학을 포함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이 개발되었다. 1 그러나 2009 개정 교육과정도 오래지 않아 2015년 새로운 교육과정으로의 개정이 공표되었는데,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과목 중 문·이과 공통과목으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생기는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 과학I 과목과 과학II 과목의 내용 요소가 통합과학, 과학I, 과학II 과목으로 재조정되었다. 이중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과목에 내용 요소가 적었던 화학은 통합과학에 화학 내용의 비중이 생기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I, II 내용이 통합과학, 화학I, 화학II로 재조정이 크게 나타났다. 3
과학과목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학과목은 국제 비교 연구인 TIMS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와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에서 각국의 성취 결과를 비교하는 데 활용되는 교과로 국가간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가 유사한 경우가 많아 국가간 비교가 용이하다. 올해 TIMSS 2018과 PISA 2018이 시행될 예정이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과목 성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도 단계별 시행에 들어가면서 새 교육 과정의 시행과 평가 관련 교사 연수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전 교과 공통으로 기르고자 하는 총론의 핵심 역량과 이를 바탕으로 교과별 핵심 역량을 제안하였다.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은 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6가지이다. 과학 교과의 핵심 역량은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5가지로 과학 과목이 전통적으로 중요시하던 역량과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 handbook of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2009, No 2009-41. 

  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 No 2015-74. 

  3. Ministry of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posal I;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eoul, Korea. BD15070002, 2015. 

  4.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DeSeCo); OECD press: Switzerland, 2003. 

  5. Commission of European Communities, Proposal for a recommend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of the council on key competences for lifelong learning; Commission of European Communities: Belgium, 2005. 

  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2015, No 2015-74. 

  7. Hong, W. P.; Lee, G. H.; Lee, E. Y. Exploring How to Implement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Korean Schools: Based on Foreign Cases. Research Paper;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RRC 2010-2, 2010. 

  8. Yi, K. H.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13, 21, 33. 

  9. Chung, J. W.; Oh, Ji. H. Teacher Education Research 2013, 52, 489. 

  10. NZQA. Comparison of Senior Secondary School Qualifications. From http://www.nzqa.govt.nz/assets/About-us/Publications/KICE-NZQA-report.pdf 

  11.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on 2010 curriculum and evaluation international trend-New Zealand-;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ORM 2010-61-1, 2010. 

  12. Hu, K. C. New Zealand curriculum and evalu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RRC 2006-15, 2006. 

  13. Ministry of Education. New Zealand Schools: Trends in International Enrolments to 2013. From http://www.educationcounts.govt.nz/statistics/international/internationalstudents-in-new-zealand 

  14. http://nzcurriculum.tki.org.nz/ 

  15. Ministry of Education. The New Zealan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Z, 2007. 

  16. Ministry of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objectives by level; Ministry of Education: NZ, 2007. 

  17. Ministry of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objectives by learning area; Ministry of Education: New Zealand, 2007. 

  18. Kwak, Y.; Cho, S.; Choi, I.; Park, J. H.; Lee, J.; Kim, H. Research on establishing content standards for the recognition of senior secondary school qualifications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Mathematics and science curriculum comparative analysi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RRC 2014-2, 2014. 

  19. NZQA. NCEA. From http://www.nzqa.govt.nz/ncea/subjects/chemistry/levels/ 

  20. Kane, D. Level 1 Chemistry Study Guide; ESA Publications (NZ) Ltd: NZ, 2011. 

  21. Boniface, S. Level 2 Chemistry Study Guide; ESA Publications (NZ) Ltd: NZ, 2011. 

  22. Boniface, S.; Giffney, J. Level 3 Chemistry Study Guide; ESA Publications (NZ) Ltd: NZ, 2011. 

  23. Sergey, B.; Gary, H.; Brian M.; David, T. Oxford IB Diploma programme 2014 edition Chemistry course companion; Oxford University Press: United Kingdom, 2014. 

  24. Catrin, B.; Mike, F. High Level Chemistry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 IB Diploma; Pearson Education Press: Malaysia, 2009. 

  25. http://seniorsecondary.tki.org.nz/Science/What-is-scienceabout/What-is-the-nature-of-science-strand-about 

  26. NZQA. Chemistry Matrix Levels 2 and 3. From http://ncea.tki.org.nz/Resources-for-Internally-Assessed-Achievement-Standards/Science/Chemistry 

  27. http://ncic.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