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및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민원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Irregular Bigdata Analysis and Considerations for Civil Complaint Based on Design Thinking 원문보기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 산경연구논집, v.9 no.8, 2018년, pp.51 - 60  

김태형 (Graduate School of Data Science, Dankook University) ,  박병재 (Software Design Convergence Center, Dankook University) ,  서응교 (Graduate School of Business, Dankoo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Civil affairs are increasing in various forms, but civil servants who are able to handle them want to reduce the complaints and provide keywords that will help in the future due to their lack of time. While various ideas are presented and implemented as policies in solving civil affairs, t...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민원문제 해결을 위하여 민원데이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민원의 키워드를 디자인씽킹을 통해 해결하는 프로세스로 접근하여 해결방안을 찾아보았다는 점이다. 공공정책의 입안자들에게 있어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다 세부적인 문제들로 정의해내고, 문제의 대상에 포커스를 두어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수립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며 입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정책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결론을 짓지 않고,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통해 시민이 경험하게 될 해결책을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만큼 시민의 요구와 감성을 파악하고, 과거의 흐름을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민원을 대응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해 나가려고 한다.
  • 간단히 스케치해서 컨셉만 잡을 수도 있고, 모형을 만들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아이템을 채택하였을 경우, 해결 될 수 있는 민원의 키워드와 시민에게 미치는 효과를 정리하였다.
  • Understanding에서는 Field work를 통해 사물에 대한 직접 관찰 혹은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에 공감하고 이해하는 단계이다. 또한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어떻게 극복했는지 조사한다. Creating 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조사한 내용을 기반으로 브레인스토밍이나, Analogical thinking(유추) 기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민원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처리-분석-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으로 이어지는 창의적 사고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시민의 실질적인 목소리를 듣기 위해 민원데이터에 주목하였고, 이를 수집하기 위해 파이썬(Python) 언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인 하둡(Hadoop)에 적재하였다.
  • 이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방법과 실현가능성을 타진하고, 평가하여 아이디어를 선정한다.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실제 아이디어의 모형을 만들거나 스케치를 통해 가능성을 타진하고, 문제가 해결되는지 확인하고, 실제 제안을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이처럼 빅데이터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빅데이터의 가치에 있다. 다양한 형태(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로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사회적 시각이 반영된 것이다. 빅데이터의 주된 속성으로 3V를 꼽는다.
빅데이터의 주된 속성은 무엇인가? 빅데이터의 주된 속성으로 3V를 꼽는다. Volume(양), Variety(다양성), Velocity(속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에 Value(가치)를 포함해서 4V라고 일컫는다. 이렇듯 빅데이터를 개발 및 분석하려는 움직임은 여러해 전부터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IDEO의 특징은? IDEO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꼽히는 디자인기업으로 창의적 사고를 위해 디자인 씽킹을 혁신적인 경영기법으로 널리 소개하였고, 이 기법을 활용하여 수많은 아이디어를 통해 전 세계 기업의 제품을 디자인 하였다. Tim Brown은 그의 저서 ‘Change by Design’에서 디자인씽킹을 divergence와 convergence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러한 가공되지 않은 방대한 양의 자료로부터, 의미 있는 행동 양식을 발견하고, 추출하는 통합작업에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발견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10.15301/jepa.2016.24.2.45 Choi, H. O. (2016). Study on Selecting Priority Criteria Utilizing Civil Complaint Data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Sanitation. Environmental Policy, 24(2), 45-57. 

  2. Chung, E. C., & Kim, E. J. (2014).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 Process Based on Integrated Scenario/Prototyping Model. Design Forum, 44, 417-430. 

  3. 10.13106/jds.2013.vol11.no9.17 Halim, R. E. (2013). The Effect of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onsumer Complaint Behavior.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1(9), 17-24. 

  4. Kang, M. J., & Lee, S. J. (2014). Abduction and Design Thinking -Theory and Practice of Creative Ideation-. Semiotic Inquiry, 54, 7-35. 

  5. 10.4275/KSLIS.2014.48.3.281 Lee, K. E., & Kim, K. Y. (2014). A Study on the Factors of Civil Petitions & Complaints with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ty and Information Science, 48(3), 281-301. 

  6. 10.7465/jkdi.2014.25.6.1431 Lee, K. J., Noh, Y. H., Yoon, S. K., & Cho, Y. S. (2014). Structuring of unstructured big data and visual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5), 1431-1438. 

  7. 10.15722/jds.7.2.200906.89 Lee. S. Y., & Kim, Y. I. (2009).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VOC system in compliance with the shift in customer trend.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7(2), 89-119. 

  8. Lee. S. W., Suh, E. K., & Suh, K. S. (2017). Applying Design Thinking and Design Science to Information System Interface Research.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7(3), 19-35. 

  9. Lee, W. S., & Sohn, S. Y. (2013). Predicting the Pattern of Technology Convergence using Big-Data Technology on Large-Scale Triadic Patents. Proceedings of Fall Conference on Korea Industrial Engineering Society, 1153-1170. 

  10. 10.13088/jiis.2016.22.1.01 Lee, M. S., & Kim, N. K. (2016). Investigating Dynamic Mutation Process of Issues Using Unstructured Text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22(1), 1-18 

  11. 10.15722/jds.13.9.201509.5 Min, J. H., & Bae, J. H. (2015). The Impact of Big Data Investment on Firm Valu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3(9), 5-11. 

  12. Park, H. J., Choi, B. K., Nah, Y. W., & Shin, Y. S. (2015). An Analysis of Environment Complaint Using the Spatial Big Data Mining in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15(9), 224-225. 

  13. 10.5392/JKCA.2010.10.12.254 Park. J. K. (2010). An Analysis on the Traffic Problems of the Urban C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2), 254-266. 

  14. Park, K. K., & Jung, J. H. (2012).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On-Line Civil Administrative Service into Civi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6(4). 419-420. 

  15. Song, H. J., Park, K. S., Jung, H. E., & Song, M. (2013). Trend Analysis of Korean Economy in the Economic Literature by text mining techniques.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Community, 8, 47-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