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s of Pre-learning and Role Learning Using Video on Self-regula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247 - 256  

강숙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군 소재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84명, 대조군 76명으로 총 16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2일부터 6월 20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을 진행하고 대조군에게는 교수시범의 전통적 방법을 진행한 후 자기조절학습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chi}^2-test$, independent t-test, ANCOV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적 구성 요소인 시연, 초인지에서, 동기적 구성요소인 자기효능감에서, 자원관리 구성요소인 도움구하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실습 교육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pre-learning and role learning using video on self-regula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designed to conduct a pre-post test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의 적용이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실습 참여를 도우며,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스스로 간호 술기를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간호학 실습 교육의 효과적인 교육 전략의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과 역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실습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사전 동영상 학습방법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은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14]. 본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 동영상 사전학습을 하고 온 후에 술기 절차를 연습해봄으로써 실제로 조별로 이루어진 간호수행에서 스스로 해보고 얻은 긍정적인 평가가 자기효능감을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는 환경을 제공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실습교육에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해보고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영상 학습은 기본간호학에서 어떤 기대효과를 낳을 것으로 보는가? 동영상 사전학습은 간호대학 학생들에게 실습의 동작을 역동적으로 직접 보여주어 개념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고 집중력을 향상시켜서 이해를 증진시키고 흥미를 돋우는 실습 교육 방법이다[14]. 특히, 기본간호학 실습에서 동영상 촬영을 활용하는 경우 간호술 수행 중 의식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즉각적인 자가 평가가 가능하여 이를 교정하고자 노력함으로써 간호술 수행 역량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15]. 또한 임상 현장 상황을 적용한 환자와 간호사의 역할극을 통한 실습 평가 방법은 간호사와 환자의 역할을 통해서 간호대학 학생 자신들의 자원과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서 간호 수기술을 습득하게 되며[16], 이러한 역할극을 통해서 상호 간의 경험과 과정을 중요하게 다루게 되어서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실무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17].
자기조절학습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Printrich와 De Groot[7]는 자기조절학습을 인지능력과 메타인지능력으로 정의하면서 학습자의 계획, 조절, 인지의 수정, 학습 과제에 대한 노력의 관리와 통제, 학습자가 학습하고 기억하며 이해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지 전략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과 환경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기술과 전략을 가짐을 의미한다[8].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들 간의 학업 성취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자기조절학습이 뛰어난 학습자는 우수한 성취를 이룰 수 있다[9].
기본간호학의 학습목표는 무엇인가? 간호대학 학생들은 기본간호학에서 기본적인 간호술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과 간호 술기를 직접 익히게 된다. 기본간호학의 학습목표는 간호의 기본 개념인 인간, 건강, 환경, 간호에 대해 이해하고 대상자의 기본 요구에 따라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하여 수행하는 것이다[2]. 국내 임상현장은 환자의 안전과 권리 강조로 인해 학생들이 직접 간호를 수행하기보다는 관찰 위주의 실습이 되고 있어 현장에서 술기를 습득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core basic nursing evaluation items (4.1 edition).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Nursing learning objectives.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3. I. S. Hyeon & Y. H. Bae. (2017).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the self-efficacy, confid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lower-class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163-171. DOI : 10.15207/JKCS.2017.8.1.163 

  4. J. I. Kim, K. H. Kim, H. J. Palk, K. Y. Sohng, M. R. Eom, et al. (2010).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st for competency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3), 362-370. 

  5. E. Y. Cheon. (2013).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43-51. DOI : 10.5977/jkasne.2013.19.1.43 

  6. B. J. Zimmerman & D. H. Schunk. (2001).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perspectives. Hillsdale, NJ: Erlbaum. 

  7. P. R. Pintrich & E. V. De Groot.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8. H. Y. Park & S. D. Lee. (2015). Comparing constru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giftedness.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4(1), 267-288. 

  9. B. J. Zimmerman & M. Martinez-Pons.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 

  10.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Evaluation criteria for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1. D. Y. Lee & Y. C. Yang. (2014). The effect of co-regulat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5(2), 49-69. 

  12. S. Volet, M. Summers, & J. Thurman. (2009). High-level co-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How does it emerge and how is it sustained? Learning and Instruction, 19, 128-143. 

  13. Y. C. Yang. (2015). Condition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1(3), 55-79. 

  14. Y. H. Kim. (2014).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0), 6176-6186. DOI : 10.5762/KAIS.2014.15.10.6176 

  15. M. G. Kim & H. S. Lee. (2017).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28-137. DOI : 10.7739/jkafn.2017.24.2.128 

  16. J. W. Cook & P. M. Hill. (1985). The impact of successful laboratory system on the teaching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4(8), 344-346. 

  17. Y. H. Kim & Y. M. Lee. (2012).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147-155. DOI : 10.5762/KAIS.2012.13.1.147 

  18. Y. H. Kim. (2014).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0), 6176-6186. DOI : 10.5762/KAIS.2014.15.10.6176 

  19. E. H. Chang & S. H. Park. (2017).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18-127. DOI : 10.7739/jkafn.2017.24.2.118 

  20. M. R. Eom & Y. H. Seo.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97-105. DOI : 10.15207/JKCS.2017.8.5.097 

  2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of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3758/bf03193146 

  22. P. R. Pintrich, D. A. F. Smith, T. Garcia, & W. J. Mckeachie. (1993).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3), 801-813. 

  23. E. Y. Kim. (2006).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otivation regul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Ph.D.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24. K. A. Song, H. S. Park, Y. H. Hong, K. L. Lee, S. K. Jung, B. H. Cho, et al. (2016). Fundamentals of nursing interventions & skills. Paju: Soomoonsa. 

  25. H. K. Hur & Y. S. Ro. (2013).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574-584. 

  26. M. J. Kim. (2017). The effcts of simulation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college sophomore speech therapy majors' learning type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6(1), 91-100. DOI : 10.15724/jslhd.2017.26.1.009 

  27. M. Y. Jho. (2016). Effects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aking a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30-439. DOI : 10.7739/jkafn.2016.23.4.430 

  28. J. H. Kim & M. K, Park. (2018).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ing flow on in self-regulated learning: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349-357. DOI : 10.15207/JKCS.2018.9.2.349 

  29. M. Y. Jho & M. O. Chae. (2014).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13-522. DOI : 10.5977/jkasne.2014.20.4.513 

  30. S. Y. Han & K. B. Choi. (2017). Effects of the 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structured multimedia on self-efficacy, resili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future nursing professiona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237-254. DOI : 10.22251/jlcci.2017.17.4.237 

  31. S. R. Song & Y. J. Kim. (2015). Effect of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4), 416-423. DOI: 10.7739/jkafn.2015.22.4.416 

  32. E. K. Ahn. (2000). A model for clinical nurses' self-efficacy and work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33.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Y. S. Chung, H. Y. Kim, & S. W. Kang.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rrelations of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ult learn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2), 23-4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