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 도구 개발: 융복합적 접근
The Development of Healthy Aging Scale for Middle aged Women: Convergent Approac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361 - 372  

정혜윤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노화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연구대상자는 대도시 중년여성 385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고, 개발과정은 예비문항 개발, 내용 타당도와 신뢰성 검증, 최종 문항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탕도를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본 도구는 9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자기성취감', '신체변화적응', '심리변화적응', '대인관계', '갱년기증상적응', '경제적 안정', '신체건강유지', '사회적 지지', '사회변화적응'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전체 설명변량이 64.03%로 충분하였으며, 전체 신뢰도도 Cronbach' ${\alpha}$값 .90으로 높았고, 우울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부적 상관관계(r=-.6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시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도구는 높은 타당성과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반복 연구를 통해 추후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지지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for healthy aging of middle aged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5 middle aged women in two large cities in Korea.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scale were followed: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 관련 선행문헌을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고 전문가 타당도와 대상자 개별면접을 통해 예비도구를 개발한 후 40세에서 65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도구의 내적일관성과 신뢰도, 그리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총 38개 문항의 4점 Likert 척도의 중년여성을 위한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의 우울을 조사하였다[10,11] . 우울도구는 Beck[25]이 우울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BDl(Beck Depression Inventory)를 Lee와 Song[26]이 번한한 한국판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구성요인을 규명하여,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개념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자는 중년여성이 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준비하는지에 따라 미래 노년기의 삶의 태도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13] 중년여성이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성공적인 노년의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개념을 적용한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경험내용들을 토대로 성공적 노화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도구를 이용하여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정도를 사정하고 성공적 노화의 어려움과 장애요인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더 나아가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지지해줄 수 있는 간호중재방안 마련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신체적, 정서적 변화와 함께 노화로 인해 발달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중년여성의 특성을 반영하여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자는 중년여성이 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준비하는지에 따라 미래 노년기의 삶의 태도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13] 중년여성이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성공적인 노년의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개념을 적용한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과거보다 높은 경제력과 교육을 받은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사회 풍토는? 1세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1],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과거보다 높은 경제력과 교육을 받은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연장된 자신의 노후를 단순한 생존의 차원이 아닌 사회적 생존으로 보다 풍요롭게 살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즉,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노후 생활의 관점이 과거의 단순히 오래 사는 것에서 길어진 노년기를 좀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다[2].
성공적 노화란? 성공적 노화는 어떻게 행복한 노년기를 보낼 것인가에 대한 긍정적 개념이며,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으로 늙어감이 직면하기 싫은 것이 아니라 노화 혹은 노년기를 전 연령대의 관심사로 확장시키는 동시에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자신의 미래로 인정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요구되고 있다[3]. 이에 중년기에 접어든 사람들 역시 자신의 노년기를 성공적이고 만족스럽게 보내기 위해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성공적 노화를 위해 요구되는 자세는? 성공적 노화는 어떻게 행복한 노년기를 보낼 것인가에 대한 긍정적 개념이며,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으로 늙어감이 직면하기 싫은 것이 아니라 노화 혹은 노년기를 전 연령대의 관심사로 확장시키는 동시에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자신의 미래로 인정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요구되고 있다[3]. 이에 중년기에 접어든 사람들 역시 자신의 노년기를 성공적이고 만족스럽게 보내기 위해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2015). Social indicators. Seoul: Satistics Korea. 

  2. J. S. Ann, Y. S. Chong & S. G. Seo. (2010).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tured aging attitude, successful aging, and psycho-social maturation: The examination of the matured aging.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3), 127-143. 

  3. K. R. Park & Y. S. Yi. (2002). A Study on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3), 53-66. 

  4. C. L. Fry. (1980). Aging in culture and society: Comparatie viewponts and strategies. New York: Prager. 

  5. L. E. Tomas & K. O. Chambers. (1989). Phenomenology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m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iew. Psychology and Aging, 4, 284-289. 

  6. J. W. Rowe & R. L. Kahn.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7. Y. E. Jeon & Y. K. Ju. (2014). Development of Successful Aging Scale for Elderly Women.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0(3), 145-180. DOI :10.26857/JLLS.2014.08.10.3.145 

  8. G. H. Jeong et al. (2003). Bone minenal density, health-promotion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9(2), 170-178. 

  9. J. H. Kim & H. S. Mun. (2006).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s. Journal of Korean Acadmy of Nursing, 36(3), 449-456. 

  10. S. M. Kim & S. Y. Kim. (2008). A Study o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Psychiatr Ment Health Nursing, 17(3), 281-291. 

  11. Y. J. Lee & J. S. Park. (2015).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73-1086.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7.23.3.181 

  12. S. L. Seo et al. (2006). Senior health promotion. Seoul: Hyunmoon. 

  13. M. J. Lee & J. H. Yang. (2012).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among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2), 79-90. http://jkgn.org/journal/crossRefTDM.php?number301 

  14. P. Moen & E. Wethington. (1999). Midlife development in a life course context. In S. L. Willis JD ,Reid (Eds.), Life in the middl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3-23. 

  15. I. Kang. (2003).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 95-116. 

  16. J. S. An, I. Kang, & Y. J. Kim. (2009). Development of successful aging measurement for Korean mid to later adul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4), 225-245. 

  17. M. H. Kim & K. R. Shin. (2005).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2), 35-52. 

  18. J. E. Paik & H. K. Choi. (2005).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korean elderly: the definition, types, and predicting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1-16. 

  19. D. B. Kim. (2008).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1), 211-231. DOI : 10.20970/kasw.2008.60.1.009 

  20. H. B. Hong.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among the aged.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9, 203-235. 

  21. G. J. Conrad & S. K. Elizabeth. (1984). Middle Age: A Time for Thinking About Being Old. Journal of extension. 22(1). https://joe.org/joe/1984january/a4.php 

  22. J. H. Park. (2005). Successful aging : concept and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9, 37-49. 

  23. C. F. Waltz & R. B. Bausell.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24. R. L. Gorsuch. (1983). Fator Analysis(2nd ed.). NJ: Lawrence Eelbaum. 

  25. A. T. Beck.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26. Y. H. Lee & C. Y. Son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27. N. H. Jo & C. H. Seong. (2017). Effects of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7(6), 89-97. DOI : 10.15207/JDC.2016.7.6.089 

  28. C. C. Riddick & S. N. Daniel. (1984).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leisure activities and other factor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2), 96-118. 

  29. L. G. Peppers. (1977). Patterns of leisure and adjustment to retirement. Journal of The Geronotologist, 16, 441-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