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Menopausal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373 - 383  

김영화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최혜경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오은정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국내 전북지역의 친목 및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 227명이다. 측정도구는 자기 효능감,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폐경기 적응정도, 극복력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규칙적인 운동(${\beta}=-.15$, p<.01), 자기 효능감(${\beta}=.29$, p=<.001)과 사회적 지지(${\beta}=.29$, p<.001), 갱년기 적응정도(${\beta}=.17$, p<.01)가 영향요인으로 이들 변인들은 극복력에 대해 35.3%(F=18.65,p=<.00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갱년기에 있는 중년여성들에게 자기 효능감 강화와 사회적 지지가 포함된 간호중재를 통해 갱년기 위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계획 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nopausal resilience in middle-aged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7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friendship and religious activities in the Je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5∼59세 사이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와 갱년기 증상 정도, 갱년기 극복력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중년여성이 갱년기를 극복하는데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갱년기 과정에 있는 중년여성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갱년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그 영향 요인들을 확인해 보았다. 연구대상자들이 평균 51세의 폐경이행기 과정에 있는 연령대의 중년여성들이 대부분이므로 갱년기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폐경 후기 과정의 여성들에게까지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생리적, 정신적, 신체적인 변화가 점차 일어나는 시기인 갱년기에 자기 효능감, 가족 지지, 사회적지지, 갱년기 적응 정도가 갱년기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해 보고 내분비학적 혼란시기로부터 폐경을 지나 안정을 찾을 때까지의 기간에 어떠한 요인이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고 중년 여성들을 위한 중재제공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생리적, 정신적, 신체적인 변화가 점차 일어나는 시기인 갱년기에 자기 효능감, 가족 지지, 사회적지지, 갱년기 적응 정도가 갱년기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해 보고 내분비학적 혼란시기로부터 폐경을 지나 안정을 찾을 때까지의 기간에 어떠한 요인이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고 중년 여성들을 위한 중재제공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이 갱년기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극복력에 자기효능감,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그리고 갱년기 적응 정도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갱년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는데 있어서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갱년기 적응정도가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써 중년 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간호 중재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들은 중년 여성과 중년남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대한 연구, 우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들[16-18]이 진행되어 왔지만 갱년기라는 위기상황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는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갱년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는데 있어서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갱년기 적응정도가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써 중년 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간호 중재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갱년기란? 8%를 차지하고 있으며[1], 인간의 수명이 100세를 넘어 150세를 바라보는 시대를 맞이하여 중년기 이후의 삶이 인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 다. 중년기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및 생물학적 관점에서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월경이 불규칙하거나 완전히 정지되는 시기인 갱년기라고도 불리 운다. 갱년기는 폐경보다는 포괄적인 의미로 성숙기에서 노년기에 이르는 때로 생리 및 정신 신체적인 변화가 점차로 일어나는 시기로 중년여성에게는 제 2의 위기상황이라 할 수 있다 [2].
극복력이 높은 개인이 적응에 성공적인 이유는? 극복력이란 역경에서 회복하여 삶을 지속해 나가는 것으로 개인적, 대인 관계적, 가족적인 보호요인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6]. 극복력이 높은 개인은 상황에 따라 긴장, 인내의 수준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조절능력이 높아 유연하게 반응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적응을 할 수 있다[7].
갱년기 위기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자원인 이유는? 폐경으로 인한 증상을 경험하는 중년기 여성들은 사람들로부터 이해와 공감을 원하며 주변사람들의 따뜻한 관심과 보살핌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14]. 가족을 비롯한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중년기 여성 자신의 존재를 더욱 가치 있게 느끼게 하여 이들에게 긍정적 사고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모든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15]. 따라서 중년기 여성이 갱년기 위기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는 무엇보다 필요한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tatistics Korea. (2017). Statistics Korea News [Internet]. Social indicators of Korea, Retrieved september 13, 2017, from http://kosis.kr/index/index.jsp 

  2. K. W. Kim & K. E. Bae. (2017). Crisis Adaptation of Middle-aged Women During Climacteric Period. Crisisonomy, 13(2), 45-55. DOI :http://dx.doi.org/10.14251/crisisonomy.2017.13.2.45. 

  3. Y. S. Ha et al. (2016).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 Seoul: Shinkwang Publication. 

  4. J. A. Yeom. (2015). Study on Menopausal Experience of Middle 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5. S. S. Lurthar & D. Cicchetti.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Implication for intervention and social polici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 857-885. 

  6. J. G. Dyer & T. M. McGuiness. (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 Psychiatric Nursing, 10(5), 276-282. 

  7. K. M. Chang. (2003). The relation of ego-resiliency,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4), 143-161. 

  8. S. Y. Lee. (2016).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on Depression in Married, Middle-aged Women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Support.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1), 141-158. 

  9. M. S. Hwang.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ospitalization Stress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Chonan. 

  10. H. K. Lee, S. H. Jo, J. H. Kim & H. I. Chu. (2014). Influence of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and Elderly Resident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6), 608-616. DOI : http://dx.doi.org/10.4040/jkan.2014.44.6.608 

  11. H. J. Choi & J. H. Yoo. (2011).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 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2), 149-155. 

  12. J. Hur & A. J. Kim. (2010). Effect of Self-efficacy and Yangsaeng on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76-83. 

  13. W. J. Hwang & Y. H. Park. (2015).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Korean Blu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2), 94-102. DOI : http://dx.doi.org/10.5807/kjohn.2015.24.2.94 

  14. J. H. Yoon & J. H. Han. (2013).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Experienced by Menopausal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4), 2195-2212. 

  15. M. S. Lee. (2005). Depression 119. Seoul: Galimchulpansa. 

  16. H. K. Lee, E. H. Shin & Y. K. Kim. (2015).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187-197. http://dx.doi.org/10.15207/JKCS.2015.6.5.187 

  17. N. H. Jo & C. H. Seong. (2016). Effects of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89-97. http://dx.doi.org/10.15207/JKCS.2016.7.6.089 

  18. S. J. Kim & S. Y. Ki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76-187.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3.176 

  19.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 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0. H. Y. Hong, & H. S. An. (2009).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on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 149-175. 

  21. S. Cobb.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22. H. S. Kwang. (1984). (An)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J. W. Park.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K. E. Bae. (2000). A study on climacteric discomforts and adaptive styles of the middle aged woman. Health & Nursing, 12(1), 64-77. 

  25. G. M. Wagnild & H. M. Young.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Th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5-178. 

  26. Y. S. Song. (2004).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27. Y. H. Kwang. (2013).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937-948. 

  28. C. Y. Lee, E. K. Byun & S. S. Jun. (2011). The Effects of a Self-Growth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2), 721-730. 

  29. E. Y. Jung & E. Y. Kim. (2011).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Related to Osteoporosis in Middle and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5), 2391-2406. 

  30. H. S. Park, A. J. Kim & K. E. Bae. (2010). Lif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of Middle-aged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Journal of Korean Parent Child Health, 13(2), 55-62. 

  3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 Prentice-Hall Lnc 

  32. B. J. Koo. (2008). The Influence of Resilience, Hope,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n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4), 421-430. 

  33. J. E, Heo & Y. S. Tae, (2013).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Middle-aged Wo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7-168. 

  34. S. M. Choi, I. S. Ko, M. N. Choi & Y. S. Jang. (2015). The Relationship among Menopausal Symptoms, Competency of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in Middle-aged Woma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105-115. 

  35. S. A. Kim & S. Y. Kim. (2011). The Impa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2, 109-129. 

  36. H. S. Park, A. J. Kim & K. E. Bae. (2010). Lif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of Middle-aged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Journal of Korean Parent-Child Health, 13(2), 55-62. 

  37. H. S. Park & A. J. Kim. (2010). Adaptation to Menopause and Use of Yangsaeng in middle-aged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Women Health Nursing, 16(1), 1-9. 

  38. M. S. Chung. (2011). Resilience, Coping Method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4), 345-354. 

  39. J. Block & J. H. Block. (2006).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American Psychologist, 61, 31-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