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우울 감소 프로그램의 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Depression managing Program for Menopausal Wome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4, 2019년, pp.257 - 264  

방윤이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갱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해 시행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주요결과를 고찰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시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국내 database로 RISS, KMbase, KoreaMed, KISS를 통해 검색 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출판된 국내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총 14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제공된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중 운동요법은 우울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방법은 구두교육, 시범교육, 실습을 제공하였고, 중재횟수는 주1~6회, 1회당 60분 제공, 중재기간은 5~10주, 중재효과 측정 시기는 6~12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갱년기여성의 우울은 일시적,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상태가 아니므로, 일상생활에 구애 받지 않고 스스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요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in resul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s were searched for RISS, KMbase, KoreaMed and KISS as domestic da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한국 갱년기 여성의 우울감소를 위한 중재연구들의 일반적 특성, 연구방법론에 대해 파악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의 선행연구에 대해 주요 결과를 고찰함으로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안과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 후 갱년기 여성의 우울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최근 10년 동안 갱년기 여성의 우울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면서 우울증상 감소를 위한 간호학적 중재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중재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실험연구로 총 14편의 문헌을 포함시켰다. Table 1과 같이 분석결과 출판년도는 2006년∼2010년은 5편(35.
  • 본 연구는 한국 갱년기 여성의 우울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된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그 연구 내용 및 결과를 분석한 서술적 연구이다.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을 참고하였으며, 문헌의 질 평가도구(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AMSTAR)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의 선행연구에 대해 주요 결과를 고찰함으로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안과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근거중심 간호의 발전을 위해서는 간호중재 개발과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시도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여 임상 현장에 접목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된 갱년기 여성의 우울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효과의 과학적인 근거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검토한 문헌 14편 모두 유사 실험 연구이며, 9편(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갱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해 제공 되어야 할 것은? 총 14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제공된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중 운동요법은 우울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방법은 구두교육, 시범교육, 실습을 제공하였고, 중재횟수는 주1~6회, 1회당 60분 제공, 중재기간은 5~10주, 중재효과 측정 시기는 6~12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갱년기여성의 우울은 일시적,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상태가 아니므로, 일상생활에 구애 받지 않고 스스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요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갱년기란 무엇인가? 갱년기란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소멸되는 시기로, 생식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이 감소되는 시기를 말한다[2]. 대부분의 중년여성은 약 45∼65세에 폐경이 되고, 생식기에서 비 생식기로의 전환기인 갱년기를 경험하게 된다[3].
갱년기여성이 겪는 여러증상은? 이 시기에 갱년기여성은 난소기능 저하 및 폐경으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되고[4,5], 이와 더불어 자녀들의 독립과, 역할상실 및 역할변화가 생겨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부정적인 심리증상이 가중된다[6,7]. 특히 우울은 갱년기 여성들이 경험하는 가장 흔한 증상으로 갱년기 증상,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정적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역할에도 부적관련성이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2017 life table. KOSIS [Onlin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41&conn_pathI2 

  2. C. Penn, D. Lekan-Rutledge, A. M. Joers, J. M. Stolley & N. V. Amhof. (1996). Assessment of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2(1), 8-19. 

  3. P. A. van Keep & J. M. Kellerhals. (1975). The ageing woman: about the influence of som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n the changes in attitude and behaviour that occur during and after the menopause.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54(51 Suppl), 18-27. 

  4. N. Parand avar, L. Mosalanejad, S. Ramezanli & F. Ghavi. (2014). Menopause and crisis? Fake or real: comprehensive search to the depth of crisis experienced: a mixed-method study.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6(2), 246-255. DOI: 10.5539/gjhs.v6n2p246 

  5. A. Y. Park & S. H. Lee. (2012). The effects of reiki self-healing on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2), 95-114. 

  6. C. S. McClain, B. Rosenfeld & W. Breitbart. (2003).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end-of-life despair in terminally-ill cancer patients. Lancet, 361(9369), 1603-1607. DOI: 10.1016/s0140-6736(03)13310-7 

  7. C. Y. Hong & M. Yoon. (2013).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happiness and depression of women in midlif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8(1), 219-242. 

  8. H. K. Jang & B. K. Cha. (2003). Influencing factors of climacteric women'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972-980. 

  9. A. H. Clayton & P. T. Ninan. (2010). Depression or menopause?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Primary Care Companion to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12(1), PCC.08r00747. DOI: 10.4088/PCC.08r00747blu 

  10. R. C. Kessler. (2003). Epidemiology of women and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4(1), 5-13. 

  11. N. Rasgon, S. Shelton & U. Halbreich. (2005). Perimenopausal mental disorders: epidemiology and phenomenology. CNS Spectrums, 10(6), 471-478. 

  12. L. Hoga, J. Rodolpho, B. Goncalves & B. Quirino. (2015). Women's experience of menopause: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evidence. JBI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nd Implementation Reports, 13(8), 250-337. DOI: 10.11124/jbisrir-2015-1948 

  13. A. R. Song. (2005). Health factors related to management of menopause among climacteric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1), 12-19. 

  14. H. Y. Chiu, C. H. Pan, Y. K. Shyu, B. C. Han & P. S. Tsai. (2015). Effects of acupuncture on menopause-related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in natural menopau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nopause, 22(2), 234-244. DOI: 10.1097/gme.0000000000000260 

  15. M. C. Wilmoth. (1996). The middle years: women, sexuality, and the self.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5(7), 615-621. 

  16. S. Y. Kim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7. W. W. K. Zung.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1), 63-70. 

  18.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ment, 1(3), 385-401. 

  19. A. T. Beck.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 C. D. Spielberger, R. L. Gorsuch, R. Lushene, P. R. Vagg & G. A. Jacobs. (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1. Y. S. Lee. (2004). Medical evaluation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Korean Journal of Law and Medicine, 5(1), 45-65. 

  22. J. Oh & J. H. Lee. (2003).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the mother-child interac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2), 149-161. 

  23. S. Bench, T. Day & A. Metcalfe. (2013).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 introduction for nurse researchers. Nurse Researcher, 20(5), 38-44. 

  24. Y. K. Kim & S. H. L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depression of yoga exercise participants. Korean Journal of Sport, 9(2), 205-214. 

  25. S. Shim & K. Choi. (2013). An implementation of sample size and power calculations in testing differences of normal mea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3), 477-485. 

  26. D. Scully, J. Kremer, M. M. Meade, R. Graham & K. Dudgeon. (1998). Physical exercis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 critical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2(2), 111-120. 

  27. M. W. Beets & E. Mitchell. (2010). Effects of yoga on stress,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nonclinical, bi-ethnic sample of adolescents: a pilot study. Hispanic Health Care International, 8(1), 47-53. 

  28. D. Crews, M. R. Lochbaum & D. M. Landers. (2004). Aerobic physical activity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low-income hispanic children 1, 2.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8(1), 319-324. 

  29. T. Mendelson, M. T. Greenberg, J. K. Dariotis, L. F. Gould, B. L. Rhoades & P. J. Leaf. (2010). Feasibility and preliminary outcomes of a school-based mindfulness intervention for urban youth.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8(7), 985-994. 

  30. J. S. Park & C. H. Cho. (2000). Effects of dan-jun breathing training and sport activities on the youngsters' mental health.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4, 155-165. 

  31. H. Y. Kim, J. Y. Koo & M. S. Lee. (2012).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reduction of stress in climacteric urban housewive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6), 435-440. 

  32. R. Kaplan. (2001). The nature of the view from home psychological benefits. Environment and Behavior, 33(4), 507-542. 

  33. M. S. Koh, H. C. Koh, H. S. Kim, M. W. Park & K. H. Lee. (1992). Trends in Korean nursing research related to womens' health. Nursing Science, 4, 5-16. 

  34. H. J. Hwang, Y. A. Lee, J. E. Song & K. C. Son.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reality therapy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e change in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mother.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5(3), 268-276. 

  35. S. H. Lee. (2002). Effects of aroma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and fatigue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3), 435-445. 

  36. H. S. Oh & S. A. Ahn. (2006).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n pain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1), 25-33. 

  37. S. G. Back. (2015). Effects of using convergence circuit weight training on the blood lipids and oxygen-carrying factor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329-336. 

  38. S. G. Back. (2015). Effects of using prop for convergence pilates met exercise on the immunoglobulin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329-336. 

  39. H. S. Park, G. Y. Cho, M. O. Kim & S. R. Lee. (2005). A study on use of complementary-alternative therap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3), 193-2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